[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 말 손종의 아들, rd1=손정)] 孫丁 (? ~ 285)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세]] [[중국]] [[오호십육국시대]]의 [[모용선비]]의 인물. == 생애 == 285년 [[모용외]]가 [[부여]]를 공격해 그 [[왕]]([[의려왕]])을 자살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부여의 수도까지 평정해 만 여명의 [[포로]]를 잡아 돌아가는 피해를 입으면서 부여가 일시적으로 [[멸망]]했으며, 286년 의려왕의 아들 [[의라왕]]이 [[재조지은|부여에서 예전 나라를 회복하기를 원해]] [[서진]]의 동이교위 하감(何龕)에게 도움을 요청하면서 [[진무제]] 사마염의 명으로 하감이 [[독우]] 가침(賈沈)[* 발음에 따라 가심이라고도 한다.]을 파병했다. [[진(사마씨)|진나라]]가 부여의 [[왕]]을 다시 세우려고 하면서 손정은 모용외의 명령을 받아 [[기병]]을 [[역관광|이끌고 공격했지만 가침이 요격하자 손정은 패하고 전사했으며, 이로 인해 부여국이 회복되었다.]] == 대중 매체에서의 손정 == [include(틀:최비 진영)] [[김진명]]의 [[고구려(소설)|대하소설 '고구려']]에서는 [[손호]]의 먼 손자뻘이 되는 인물로 나이는 어렸지만 문무를 고루 갖춘 명장으로 [[최비]]가 거둬서 군략을 가르쳐 배움이 누구보다 빨랐으며, [[현도군]]의 [[태수]]에 앉혔다고 한다. 이후 [[평주]]군의 선봉이었던 안저가 중상을 입었는데, 진욱은 안저를 대신해 평주군의 선봉을 맏았다. 그러자 손정이 진욱에게 명을 내렸는데 >우측 봉우리에 봉화가 오르면 적은 물러설 것이고, 좌측 봉우리에 봉화가 오르면 적은 진군할 것이오. 봉화 한 개는 느린 움직임이고 봉화 두 개는 빠른 움직임이오. 그것을 명심하되 장군은 적을 넓게 보지 말고 눈 앞에 한 무리만 보시오. 진욱이 당황하며 묻자 손정이 대답했다. >고구려군은 다섯 무리로 나누어 각기 따로 움직이고 있소. 싸움은 오로지 선두에 나선 무리만 하는 것이니, 장군은 그 변화에 현혹되지 말고 처음 선두를 맡은 무리만 쫓되 반드시 봉화의 신호를 따르시오. 진욱은 이후 이 말을 새겨듣고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손정, version=6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진욱(김진명 고구려), version=1)] [[분류:모용선비]][[분류:285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