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분류:2021년 출시된 카트바디]]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솔리드 시리즈)] [목차] || [[파일:솔리드 V1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솔리드 V1 전면 트랜스폼.gif]] || || [[파일:솔리드 V1 후면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카트 패스 챕터 1 시즌 1.jpg]] > '''굳건한 플레이어 솔리드 V1''' == 개요 == 2021년 7월 8일에 출시된 솔리드 시리즈의 V1 버전이다.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는 동년 7월 8일 한국 카트라이더와 같은 날에 출시되었다. 대만은 7월 9일 출시.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솔리드 V1 || || '''획득 방법''' ||아이템 지원, 상점 판매(기간제) || 2021년 7월 8일 처음 도입된 카트 패스에서 일반 패스 최종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기존 시즌 패스가 숙제 패스로 불릴 정도로 실패했다는 것을 인정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해 카트 패스를 출시했으므로 기존 시즌 패스보다는 획득이 쉬워졌다. 일반 패스도 1레벨부터 30레벨까지 꽉 보상이 차있기 때문에 굳이 현질 없이도 대부분의 보상을 타 갈 수 있게 되었다. 단, [[코튼 V1]], [[버스트 V1]]과는 다르게 출시 직후엔 상점에서 기간제를 판매하지 않았으며, 패스 종료 이후 [[마라톤 V1|새로운 카트 패스]]가 출시된 [[2021년]] [[8월 19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다. 항상 루찌 카트로 상점에서 개근해 온 솔리드답게 루찌로 판매된다. 가격은 [[프로토 V1]]과 동일한 30일 10000루찌. 신규 유저의 경우 아이템 지원에서 30일을 얻을 수도 있다. 2021년 12월 9일 솔리드 V1 패키지[* 구성품은 솔리드 V1 무제한, 슬롯 체인저 100개, 아이템 체인저 100개.]가 출시되며 상점에서 무제한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가격은 10900캐시. 현재는 판매 종료. 2021년 12월 16일 마비노기 테마 패치 때 이 카트바디가 PC방 프리미엄 아이템으로 새로 선정되었다. === 중국 === || '''카트 명칭''' ||合金 V1(합금 V1)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대만 === || '''카트 명칭''' ||合金 V1(합금 V1)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930 || || '''가속력''' ||<-3> 924 || || '''코너링''' ||<-3> 850 || || '''부스터 시간''' ||<-3> 860 || || '''부스터 충전량''' ||<-3> 560 || ||<-4> '''속도 {{{-3 (통합속도)}}}''' || || '''직선 속도''' ||<-3> 207km/h || || '''부스터 속도''' ||<-3> 291km/h[* 팀 부스터 기준] || || '''스타트 부스터''' ||<-3> 304km/h[* 더욱 강력한 출발 부스터 착용시 최대치] || || '''헤어핀 감속''' ||<-3> 127~133km/h || ||<-4> '''익시드 시스템 {{{-3 (통합속도)}}}''' || || '''최고 속도''' ||<-3> 218km/h[* 머리를 흔들 경우] || || '''부스터 속도''' ||<-3> 308km/h[* 팀 부스터 기준] || || '''지속 시간''' ||<-3> 2.5 sec (L-type) || || '''쿨타임''' ||<-3> '''{{{#FF0000 1045Frame}}}'''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최상''' || || '''무게중심''' ||<-3> 중간 || ||<-4> '''발동 조건''' || || '''변신''' ||<-3> 160km/h || || '''익시드''' ||<-3> 30% || V1 일반 바퀴 3, V1 일반 엔진 2.4, V1 일반 핸들 5, V1 일반 부스터 6의 파츠를 기본 장착하고 있다. --솔리드답지 않게-- 매우빠름 채널 기준 130 초중반의 감속으로 좋은 축에 속하며 솔리드의 전통적인 특성답게 안정성과 접지력이 우수한 편이다.[* 접지력은 [[스팅레이 X]]에 버금갈 정도로 4륜 중에선 매우 우수한 축에 들며, 안정성은 살짝 뜨는 면은 있으나 높은 접지력 덕분에 차체가 바로 잡아져 크게 지장은 없는 편.] 익시드는 L타입으로 출시되었고 매우 빠름 기준 팀부스터와 익시드 사용 시 319km까지 최고속도가 찍힌다. 솔리드의 장점인 몸싸움과 안정성 중 안정성이라는 솔리드만의 장점이 상향평준화되어 그다지 부각되지 않는다는 점은 아쉽지만, 몸싸움은 여전히 좋으며 기존에 단점이었던 낮은 감속이 사라져 호평을 받고있다. 그리고 [[유버스 V1]]을 제외한 다른 V1 카트바디들의 몸싸움이 매우 취약했음을 생각하면 커다란 장점이다. 몸싸움의 경우는 V1의 특성이 몸싸움에 불리하게 작용하기에[* 익시드는 현재 속력이 작을수록 가속이 더 크게 들어가는데, 때문에 익시드 발동 도중에 몸싸움으로 감속을 먹으면 '''플레이어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갑자기 급가속이 들어간다.''' 그러면 라인이 흐트러져서 평소같았으면 회복했을 몸싸움도 말려버린다. 다만 솔리드 V1은 익시드 가속이 다른 L타입 대비 약간 약하기에 문제가 덜하다.] [[솔리드 X]]에 비해 "확실히 좋다!"고는 할 수 없으나 V1 초기 모델인 [[코튼 V1]], [[버스트 V1]] 등의 카트바디에 비하면 훨씬 낫다. 그러나 '''크래시 게이지가 180이기 때문에''' 주행적인 포텐셜은 좀처럼 나오기 힘들다. [[아이언 솔리드 V1]] 문서 참조. 자체 스펙도 안좋은데 크래시 180 때문에 익시드의 활용도 어려워 [[프로토 V1]], [[도깨비불 V1]], [[몰리(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몰리]]와 맞먹는 V1 최약체라고 할 수 있다. 그나마 최약체 중에선 가장 좋은 편. 잘 알려지지 않은 단점으로 출발 부스터가 다른 일반급 V1 카트바디들에 약간 약하다. 하지만 이는 큰 문제는 아니다. == 파생 카트바디 == === [[아이언 솔리드 V1]] === 항목 참조. === [[스틸 솔리드 V1]] === 항목 참조. === [[솔리드 SRX V1]] === 항목 참조. == 여담 == * 이전에 [[코튼 V1]]이 처음 출시될 때 조재윤 리더가 언급하길, 기존 5대 라인업을 이번 V1엔진에서 살리겠다고 하였고 그에 따라 라인업 각각의 특성을 살려 출시하였다.[* 코튼의 경우 핸들링(편안한 주행감)을 살리기 위해 핸들 파츠를 높이고, 버스트는 가속력을 살리기 위해 엔진 파츠의 수치를 높게 내놓고 S타입의 익시드를 적용했다.] 즉 솔리드의 특성인 몸싸움과 든든함을 어떻게 살릴지, 그리고 과연 현재 몸싸움 1대장인 [[흰 소 X]]를 이길 정도의 충돌 방어력으로 내놓을 것인지가 주목된다.[* 다만 흰 소 X의 경악스러운 몸싸움 성능은 충돌 방어력뿐만 아니라 --뇌절카트--동물형 카트 특유의 기괴한 충돌판정이 더해진 결과물이기 때문에 단순히 충돌 방어력만 높아서는 몸싸움이라는 강점을 제대로 살릴 수 없으리라는 회의적인 예측도 간혹 나오고 있다.] * 일반 부스터의 색이 솔리드의 상징인 노란색으로 나온다. 이것으로 5대 라인업의 일반 부스터 색은 각자의 퍼스널 컬러로 나온다는 것이 완전히 확정되었다. 다만 기본 테일램프는 디폴트 컬러인 빨간색으로 기본 5대 시리즈 중 유일하게 테일램프에 퍼스널 컬러가 적용되지 않았다. * 시리즈 로고가 SR 시절의 로고와 유사한 형태이다. * SIX 시절의 디자인으로 회귀한 프로토, 그리고 SR 시절의 외관을 거의 [[Ctrl CV]]한 디자인으로 출시된 코튼과 버스트와는 달리, 솔리드 V1의 경우 후방 디자인은 [[솔리드 SR]]로부터 차용하였으나 전면부,측면부는 [[뉴 솔리드]]와 솔리드 X가 반씩 섞인 모습이다. 변신 부스터의 경우 후방 노즐의 변신은 솔리드 SR의 변신 구조를 많이 반영하였으나 솔리드 SR 때처럼 차체가 전후좌우로 확장되지는 않고, 오히려 튀어나왔던 날개가 안으로 들어가 [[블랙비틀 X|좌우로 근소하게 작아지는 등]] 앞선 세 시리즈에 비하면 SR 시절 디자인의 영향을 다소 적게 받았다. * [[루루 V1]]과 비슷하게 크래시 게이지가 180km/h부터 발동된다. 사실 이는 페널티로, [[아이언 솔리드 V1]] 문서 참조. * 트랜스폼 시 우측 윙이 제대로 수납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이는 같은 변신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아이언 솔리드 V1]]도 마찬가지. [[https://blog.naver.com/smarteugene/222438696119|해당 버그를 정리한 블로그 글]] 이후 7월 29일 패치로 수정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카트패스 역대 일반 패스 최종 보상 리스트)]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아이언 솔리드 V1]] * [[스틸 솔리드 V1]] * [[솔리드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