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hite '''올림픽 유도 남자 -90kg 금메달'''}}} || ||<-5>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200]] || ||<-5> ||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5]] 이라클리 시제키제[br]([[2008 베이징 올림픽|2008]]) || {{{+1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송대남[br]([[2012 런던 올림픽|2012]])''' || {{{+1 →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5]] 베이커 마슈[br]([[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2016]]) || ||<-5> || ---- ||<-2> '''{{{+1 송대남}}}[br]宋大南|Song Daena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01/2012/08/02/PYH2012080200780001300_P2.jpg|width=100%]]}}} || ||<|2> '''출생''' ||[[1979년]] [[4월 5일]] ([age(1979-04-05)]세) || ||[[경기도]] [[화성시]][*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device=pc&key=669984|#]]]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금오초등학교 {{{-2 (졸업)}}}[br]경민중학교 {{{-2 (졸업)}}}[br][[경민고등학교]] {{{-2 (졸업)}}}[br][[청주대학교]] {{{-2 (체육교육학 / 학사)}}}[br][[용인대학교/대학원|용인대학교 대학원]] {{{-2 (무도체육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은 [[http://www.riss.kr/link?id=T14231764|유도선수들이 지각한 코치신념과 코칭지식 및 운동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2016. 8)다.])}}} || || '''종목''' ||[[유도]] || || '''체급''' ||-90kg || || '''신체''' ||177cm, 81kg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출신 감독이다. 한때는 대한민국 올림픽 도전 역사상 개인 종목 최고령 금메달리스트였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동갑내기 [[사격(스포츠)|사격]] 선수 [[진종오]]에 의해 깨졌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세는 나이 기준으로 41세인 [[오진혁]]이 양궁 남자 단체전에서, 39세인 [[김정환(펜싱)|김정환]]이 펜싱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따냈다. 하지만 개인전 최고령 금메달리스트는 여전히 진종오다.] 그리고 현재까지 대한민국의 마지막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이다. == 선수 경력 == === 어린 시절~[[2003년]] === 전국소년체전 입상 등 유도 유망주로 주목을 받았던 선수였지만, [[경민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슬럼프에 빠지며 별다른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해 유도계의 빅 3 대학교인 [[용인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양대학교]] 등으로부터 부름을 받지 못했다. 이 때 당시 [[청주대학교]] 유도부를 이끌던 박종학 감독[* 1981년 세계선수권에서 대한민국 유도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00 시드니 올림픽]] 남자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던 사람이다.]의 눈에 들어오면서 [[1998년]] [[청주대학교]]에 입학했다. [[청주대학교]]에 입학한 후 1999년 춘계전국대학 연맹전(66kg급) 우승, 2000년 전국체전(73kg급) 준우승, 2001년 추계전국대학 유도연맹전 73kg급에서 우승하며 조금씩 다시 이름을 알렸다. === [[2004년]] === 그러나 번번히 부상과 불운이 겹치며 올림픽에 계속 나가지 못했고, 상무에서 군 복무를 했다.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권영우[* 1981년생이며, 2번의 유니버시아드에서 연속으로 우승한 유망주였다.] 에게 밀려 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다. === [[2005년]]~[[2007년]] === 각종 국제대회에 출전해 우승하면서 세계랭킹 1위에도 오를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 [[2008년]] === [[2008 베이징 올림픽]] 대표 선발전에서는 -73kg급의 [[이원희(유도)|이원희]] VS [[왕기춘]]의 경쟁에서 밀려 81kg급으로 체급을 올린 [[김재범(유도)|김재범]]의 대두로 인해 치열한 선발 경쟁을 벌여야 했다. 결국 연장 접전 끝에 김재범에게 최종 선발전 결승에서 판정패하면서 올림픽에 출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그 대회에서 김재범은 은메달을 차지하면서 동 체급의 강자로 떠올랐고, 이어 2010년과 2011년 세계선수권 우승 등으로 최강자의 입지를 굳히게 되면서 졸지에 송대남의 입지는 묘하게 흔들리게 되었다. === [[2010년]] === 11월 무릎 부상을 당해 무릎 십자인대를 잇고 연골 봉합 수술을 받아 재활하게 되면서, 4개월 넘게 유도판을 떠났다. === [[2011년]] === 갑자기 굴러들어온 돌에게 밀려난 송대남은 처음에는 방황했지만, [[정훈(유도)|정훈]] 감독의 지도 아래 방황을 멈췄다. 대신 동 체급의 강자로 부상한 김재범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90kg으로 또 한 번 체급을 올렸다. 하루에 스테이크를 12개를 먹는 강행군 끝에 증량을 시도해서 자리를 잡는데는 성공했지만, -80kg과는 달리 세계 무대에서 초강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다행히 이 체급은 [[대한민국]] 선수들이 그리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던 상황이어서 자동 시드 배정자가 없었고, 결국 이규원[* 2009 세계선수권 이 체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과의 대표 선발전 끝에 [[2012 런던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 [[2012년]] ===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만 33세의 나이로 일종의 다크호스 정도로 여겨졌지만, 본선에서 그야말로 인생 최고의 경기를 선보이면서 8강에서 당시 세계랭킹 1위의 [[일본]] 선수를 누르면서 4강 진출에 성공하더니, 4강에서는 [[브라질]] 선수를, 결승에서는 [[쿠바]] 선수를 연장 접전 끝에 끝내기 안뒤축 기술로 극적인 금메달을 차지했다. 그리고 [[2012 런던 올림픽]]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면서 파란만장했던 자신의 선수 생활을 화려하게 마무리하는 데 성공했다. 은퇴식은 청춘민박에서 감독과 2012 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와 같이 진행했었다. == 은퇴 이후 == 남자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로 재직 중이다. 2015 세계선수권에서 대한민국 남자 유도가 금메달 2개를 따내고 [[곽동한]], [[안바울]], [[안창림]] 등 많은 유망주들이 등장하면서 코치로서의 능력도 인정받았다. 2016년 8월 [[용인대학교/대학원|용인대학교 대학원]]에서 [[무도학과|무도체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8년부터 2020년 11월까지 유도 중국 국가대표팀 총감독으로 재직했다.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까지 중국에서 유도 감독직을 권유했으나 이를 거절하고 한국으로 들어와 사기업 실업 유도단인 [[KH그룹#스포츠|KH그룹 필룩스 유도단]] 감독으로 재직 중이다. 2021년부터 한국 유도 국가대표팀 코치로 재선임되었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자신이 지도한 [[안창림]]과 [[조구함]]이 각각 동메달과 은메달을 따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12 런던 올림픽|2012 런던]] || -90kg || ||<-3> {{{#white 동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10 마카오 || -73kg || ||<-3> {{{#white 실내 무술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09 방콕 || -90kg || == 여담 == * 한자는 큰 大에 남녘 南으로 쓰는데, 사실은 사내 男으로 쓰려던 것을 잘못 기록했다고 한다. * 올림픽 당시 국가대표팀 감독인 [[정훈(유도)|정훈]] 감독은 송대남과 동서 사이, 즉 [[정훈(유도)|정훈]] 감독의 처제가 송대남과 결혼했다. [[정훈(유도)|정훈]] 감독이 사람 좋고 성실한 모습에 처제를 소개해줬다고 한다. * 선수 시절 체급 증량을 위해 하루에 스테이크를 12개씩이나 먹는 강행군 때문에 스테이크를 극혐한다고 한다. * 은퇴식을 청춘민박을 통해서 했다. * [[2020 도쿄 올림픽]]이 끝난 후 [[안창림]]이 [[https://www.instagram.com/p/CR_Hc3PLTtj|인스타그램]]에 뜨거운 포옹을 나누는 사진과 'And love my coach☝' 글을 올렸다. * 2021년 8월 18일 [[유 퀴즈 온 더 블럭]] 안창림 편에 인터뷰 영상으로 출연해 올림픽 당시의 소회를 밝혔다. * 2021년 9월 5일 [[다큐멘터리 3일]] 과거에서 온 편지 특집편에 후배 안창림과 함께 출연했는데, 이는 2009년 2월 14일 선수 시절 출연 이후 12년 만이다. [[분류:1979년 출생]][[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경민고등학교 출신]][[분류:청주대학교 출신]][[분류:용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유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분류:2012 런던 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유도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