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동명이인, rd1=송영진)] [include(틀:수원 kt 소닉붐/선수단)] || '''{{{#ffffff 송영진의 수상 및 영예 / 역임 직책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BL 역대 기량발전상)] ---- [include(틀:KBL 역대 신인 1순위)] ---- [include(틀:수원 kt 소닉붐/주장)] ---- }}} || ||<-3>
{{{+1 [[부산 kt 소닉붐|{{{#ffffff '''수원 kt 소닉붐 수석코치'''}}}]]}}} || ||<-3> {{{#ec1c24,#e3121a '''SUWON kt SONICBOOM'''}}}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영진2022-23.png|width=65%]]}}} || ||<-3> '''{{{+2 {{{#ec1c24,#e3121a 송영진}}}}}} [br] {{{#ec1c24,#e3121a 宋永鎭}}}''' || ||<|2><-2> {{{#ffffff ''' 출생 ''' }}} ||[[1978년]] [[10월 2일]] ([age(1978-10-02)]세) || ||[[파일:경상남도 휘장.svg|height=18]] [[경상남도]] [[마산시]] || ||<-2> {{{#ffffff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 신체 ''' }}} ||[[키(신체)|키]] 198cm|[[체중]] 95kg || ||<-2> {{{#ffffff ''' 직업 ''' }}} ||농구선수([[파워 포워드]],[[스몰 포워드]] / 은퇴)[br][[코치(스포츠)|농구코치]] || ||<-2> {{{#ffffff ''' 학력 ''' }}} ||마산용마초등학교 {{{-2 (졸업)}}}[br][[마산동중학교]] {{{-2 (졸업)}}}[br][[마산고등학교]] {{{-2 (졸업)}}}[br][[중앙대학교]] {{{-2 (졸업)}}} || ||<-2> {{{#ffffff ''' 프로입단 ''' }}} ||[[2001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01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1순위, [[창원 LG 세이커스|창원 LG]])}}} || ||<-2> {{{#ffffff ''' 현역시절 등번호 ''' }}} ||23[* 01-02 시즌~03-04 시즌 창원 LG 시절], 38[* 04-05 시즌 창원 LG 시절, 부산 KTF 시절], 2[* 부산 kt 시절] || ||<|2> {{{#ffffff ''' 소속 ''' }}} || {{{#ffffff ''' 선수 ''' }}}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1997~2017).svg|width=30]] [[창원 LG 세이커스]] (2001~2005) [br] [[파일:attachment/KTF/KTFbasketballclub.jpg|width=30]][[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width=30]] '''[[부산 kt 소닉붐|부산 KTF-kt]] (2005~2015)''' || || {{{#ffffff '''코치''' }}} ||[[파일:부산 kt 소닉붐 엠블럼.svg|width=30]] [[부산 kt 소닉붐]] (2015~2018) [br]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width=30]] [[연세대학교]] 농구부 (2019~2020) [br] [[파일:휘문고로고.png|width=30]] [[휘문고등학교]] 농구부 (2020~2022) [br]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width=30]] [[수원 kt 소닉붐|수원 kt 소닉붐]] (2022~ / ^^수석코치^^)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한민국]]의 前 [[농구]] 선수이자 現 [[부산 kt 소닉붐]] 코치.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다. [[현주엽]]을 이겨냈던 살림꾼이자 파이터. [* 실제로 현역 시절 현주엽이 이루지 못했던 KBL 파이널 무대에서 코트에 뛰었고 비록 플레이오프 우승을 못했지만 10-11 시즌 정규리그 우승을 했다.] == 플레이스타일 == 아마추어 시절 큰 키와 운동능력과 기동력을 가진 빅맨이었다. 외국인선수 2인출전이었던 프로초창기에는 외국인선수 수비를 위해서 벌크업을 강요받았다. 그 결과 장점이었던 민첩함은 사라지고 부상만 남았다. KTF로 이적한 이후 추일승, 전창진 감독 밑에서 재능을 꽃피우게 된다. 공격에서는 준수한 3점슛을 바탕으로 탑에서 경기운영에 많이 관여했다. 조성민을 위한 패턴과 모션오펜스의 중심이었다. 송영진의 핸드오프패스, 스크린, 피딩, 어시스트 능력을 팀에 필요한 여러부분을 메우며 kt의 공격을 이끌었다. 준수한 3점슛으로 공격흐름의 정체를 끊고, 수비의 공간을 잘 벌렸다. 수비에서는 리바운드와 블락, 도움수비 등 평균이상의 수비능력을 보여줬다. 수비를 조율하는 것도 그의 역할이었다. == 선수 경력 == ||<-2>
[[파일:20000117000007347.jpg]] || ||<-2> 선수생활의 전성기였던 중앙대 시절. || ||<-2> [[파일:/image/065/2015/04/15/a5_1_99_20150415143307.jpg|width=450]] || ||<-2> 부활의 서막이자 현역 말년의 부산 kt 시절 || === 아마추어 선수 === 중학교 1학년 때 농구를 시작했다. 동기인 [[황진원]]과는 이후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까지 모두 같은 팀에서 뛰게 된다. 마산고 재학시절 장신에 빠른 스피드, 그리고 슈팅능력을 바탕으로 청소년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으며, 이후 [[중앙대학교]]에 진학하게 된다. 1학년 때는 [[이은호]], [[정훈종]] 등 선배들에 가려서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2학년 때 [[김주성(농구)|김주성]]이 입학하면서 함께 무적 [[중앙대학교|중앙대]]의 시대를 열며 맹활약했다. 김주성과 송영진의 트윈타워는 대학 최고 콤비로 평가받았으며, [[한기범]]-[[김유택]]의 재림이라는 호평을 듣기도 했다. 엄청난 점프력과 스피드를 바탕으로 한 덩크와 돌파는 그의 주무기였다. 80kg 정도로 체중이 가벼운 편이어서 몸싸움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운동능력으로 이를 상쇄했다. 그리고 비록 전문 슈터 수준은 아니지만 틈틈이 오픈찬스에서 3점슛을 성공시키며 내외곽을 겸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처럼 [[파워 포워드]] 자리에서 속공에도 능하고, 다재다능한 모습을 보이면서 일찍부터 프로에서도 통할 유망주로 지목받았다. 중앙대에서 무수한 대회를 휩쓸고, 2001년 프로 드래프트에서 당당히 '''전체 1번'''의 지명의 영광을 안았다. 당연히, [[창원 LG 세이커스]]에서는 기대가 컸고, 기대대로 활약할 줄 알았는데... === 프로 선수 === [[창원 LG 세이커스|창원 LG]]에서는 프로의 험난한 벽앞에 한계를 보였다. 원래 빠른 움직임과 스피드가 주 무기였던 선수가 프로에서 [[외국인 선수]]와 대결하기 위해 억지로 몸을 불렸다가[* 김태환 감독은 그를 4번으로 기용하고 3점 슛이 좋았던 외국인 에릭 이버츠를 외곽으로 빼기 위해 체중 불리기를 지시했다. 워낙 [[살이 찌지 않는 체질|살이 안 붙는 체질]]에 위장이 선천적으로 약했는데, 밤마다 라면을 두 개씩 먹으며 억지로 체중을 불렸다. 80kg였던 체중을 순식간에 92kg까지 불리며 운동능력이 눈에 띄게 줄었다.] 스피드는 죽고, 몸빵도 되지 않으면서 이도저도 아니게 변해버린 것. 사실 프로 첫 해 평균 8.9점으로 다른 신인이라면 칭송받았을 수도 있었지만, 그 해 '''[[김승현(농구)|김승현]]'''이 등장해서 꼴찌팀이었던 대구 동양을 [[2001-02 KBL 챔피언결정전|우승]]시키면서 센세이션을 일으킨 통에 송영진은 제대로 묻혔다. 결국 [[창원 LG 세이커스|LG]]에서는 두 자리수 평균 득점은 커녕 이도저도 아닌 모습을 계속 보여주면서 성장이 정체되었고, 결국 LG는 2004-05 시즌이 끝나고 [[FA 제도|FA]]가 된 [[현주엽]]을 데려오면서 그를 보상 선수로 보내버렸다. 송영진은 [[창원 LG 세이커스|LG]]에서의 시간이 굉장히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화려하게 데뷔했으나 모든 스포트라이트는 [[김승현(농구)|김승현]]에게 빼앗겼고 개인적인 성적도 나지 않았으니 말이다. 이후 인터뷰를 찾아보면 [[창원 LG 세이커스|LG]] 시절이 [[트라우마]]로 남아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김태환(농구)|김태환]] [[감독]]과의 갈등도 있었으며 선수단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고 극도의 [[스트레스]]로 [[정신과]]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l&ctg=news&mod=read&office_id=380&article_id=0000000573&redirect=true|치료까지 받았다.]][* 이게 더 뼈아프게 느껴질 수 밖에 없는 게 드래프트 당시 전체 1순위인데다가 송영진의 고향이 [[마산]]이었기 때문.(당시에는 통합 전이었다.) 즉, [[창원 LG 세이커스|LG]]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고 이적하지 않았으면 --[[정병국(농구)|정병국]]--보다 먼저 [[로컬 보이]]로 자리잡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새로 옮겨간 [[수원 kt 소닉붐|KTF]]에서는 이야기가 달랐다. [[추일승]] 감독의 조련 아래 한 단계 더 성장한 것.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고, 자신의 장점인 스피드와 움직임을 다시 되찾은 것이었다. 2005-06 시즌 향상된 기량을 보이며 기량발전상을 수상했고, 2006-07 시즌에는 평균 13.7점을 넣으며 KTF의 사상 첫 챔프전 진출의 주역이 되었다. 장신 슈터로 성장하여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로 선발 되기도 하였다. 역대 보상 선수 가운데 가장 성공한 케이스.([[우지원]]이나 [[이상민(농구)|이상민]]이 이름값으로는 가장 높지만 이들은 특수한 경우인지라...) 그 뒤로는 [[FA 제도|FA]] 자격을 얻고도 팀에 남으며 자신을 알아준 팀에 대한 애정을 보였다. 추일승 감독 시절에는 [[스몰 포워드]]에 가까운 플레이를 하면서 외곽슛을 주로 던졌다면 [[전창진]] 감독 부임 이후에는 [[파워 포워드]]에 가까운 선수가 되었다. 전창진은 송영진을 보고 저렇게 큰 선수가 외곽을 떠도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면서 인사이드에서 수비와 리바운드 등 궂은일을 해주길 원했고 송영진은 이 역할도 훌륭하게 수행하였고 은퇴 직전까지 kt의 골밑을 지켰다. 포워드가 많은 kt지만, 큰 키를 바탕으로 골밑에서 활약해주는 선수는 송영진이 역시 1옵션. 움직임도 괜찮고, [[스트레치 포워드|미들 라인이나 골밑에서든 어느 위치에서든지 다양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비록 [[신인]] 시절의 기대처럼 4번 자리에서 대활약하는 정도는 아니어도 상당히 유용한 활약을 보여주는 선수다. 수비력도 적당히 괜찮은 편이라서 kt 이적 후에는 [[국가대표]]에도 종종 발탁될 정도로 성장했다. 기대만큼은 아니라도 준수한 [[파워 포워드]]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2013-2014시즌에는 많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팀내 빅맨 자원인 [[민성주]], [[장재석]], [[김승원(농구선수)|김승원]]의 성장세가 더딘 관계로 결국 주전으로 계속 출전하며 팀의 6강 진출에 힘을 보탰고, 준PO에서는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를 상대로 평균 12.8득점을 넣으며 후안 파틸로[* 2012-13 시즌 안양 KGC에서 뛰면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용병이다.], [[전태풍]], [[조성민(농구)|조성민]]과 함께 4강 진출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4강에서는 친정팀인 LG에게 힘 한 번 쓰지 못하고 3패를 당하고 말았다. 시즌이 끝난 후 다시 [[부산 kt 소닉붐|FA]] 자격을 얻은 송영진은 2년간 보수 총액 2억원(연봉 1억 5천만원, 인센티브 5천만원)에 재계약했다. 아울러 [[김승현(농구)|김승현]], [[황진원]], [[전형수]], [[이현준(농구)|이현준]]이 은퇴하면서 97학번 중 유일한 [[현역]] [[선수]]로 남게 되었다. 하지만, 2014-2015 시즌 이후 정들었던 코트를 떠나게 되었고 97학번의 현역 선수는 더 이상 남아있지 않게 되었다. == 지도자 == ||<-2>
[[파일:/image/065/2015/10/21/news_20151021202146_DP_99_20151021202408.jpg|width=450]] || ||<-2> kt 코치 1기 시절 || 2014-15 시즌 종료 후 은퇴한 이후 친정인 부산 kt 소닉붐의 수석코치를 맡게 됐다. 하지만, 3년간 팀 선배이자 주장 출신이었던 조동현 감독의 성적부진으로 인해 2017-2018 시즌 종료와 함께 계약 만료로 동반 사퇴를 했고 미국 연수를 거치게 된다. 이후 2019년 정기전 직후 자신의 모교가 아닌 [[은희석]] 감독의 [[연세대학교]]의 코칭 스태프로 합류했다. 2020년에는 계약이 만료된 김승관 코치의 후임으로 [[휘문고등학교]]의 코치로 선임됐으며, 제51회 추계 전국남녀중고농구연맹전에서 지도자상을 수상받았다. 2022년 [[배길태]] 수석코치의 건강문제로 인한 사퇴로 떠났던 친정이지만 [[연고지 이전]]한 수원 kt 소닉붐의 수석코치로 재선임되면서 4년만에 돌아오게 되었다. 하지만, 일부 kt 팬들은 팀의 레전드지만 조동현 암흑기 시절의 수석코치를 다시 데리고 온 kt 프런트에 비판을 가했다. 어떻게 보면 성적부진으로 쫓겨났던 코치가 다시 돌아온 모습으로 얄궂은 운명이다. 조동현 후임인 [[서동철]] 감독 밑을 보좌하게 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허훈이 상무에 입대한 바람에 팀의 영건인 양홍석과 하윤기의 성장을 맡게 되었다. 하지만 kt 소닉붐은 12월 4일 현재 리그 공동 최하위까지 추락했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ec1c24,#e3121a '''코치'''}}} || || '''{{{#fff 부산 kt 소닉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영진2022-23.png|width=100%]]}}} || || '''{{{#ec1c24,#e3121a 2022-23 시즌}}}'''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 * [[수원 kt 소닉붐/선수단]]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송영진, version=30)]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창원시 출신 인물]][[분류:1978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2015년 은퇴]][[분류:파워 포워드]][[분류:창원 LG 세이커스/은퇴, 이적]][[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분류:마산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