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주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1차 지명선수)] ---- ||
'''송주은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0번}}}''' || || [[박시영]][br](2012) || {{{+1 →}}} || '''{{{#fff 송주은[br](2013)}}}''' || {{{+1 →}}} || 박상신[br](2014)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95번}}}''' || || [[정태승]][br](2012~2013) || {{{+1 →}}} || '''{{{#fff 송주은[br](2014)}}}''' || {{{+1 →}}} || [[김승관]][br](2015~201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3번}}}''' || || [[김주현(1988)|김주현]][br](2016) || {{{+1 →}}} || '''{{{#fff 송주은[br](2017)}}}''' || {{{+1 →}}} || [[조홍석]][br](2018~201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0번}}}''' || || [[장시환]][br](2017.4.19.~2017) || {{{+1 →}}} || '''{{{#fff 송주은[br](2018~2019)}}}''' || {{{+1 →}}} || [[조현수(야구선수)|조현수]][br](2020)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주은프사.png|width=100%]]}}} || ||<-2> '''{{{+2 송주은}}}[br]宋周殷 | Song Ju-Eun''' || ||<|2> '''출생''' ||[[1994년]] [[3월 25일]] ([age(1994-03-25)]세)|| ||[[부산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양정초등학교(부산)|양정초]] - [[대천중학교(부산)|대천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신체''' ||189cm, 98kg||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1라운드]] (전체 6번, [[롯데 자이언츠|롯데]])|| ||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3~2019)||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5~2016)|| || '''SNS''' ||[[https://www.instagram.com/sje1042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이민호(1993)|이민호]]의 뒤를 잇는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등학교]]의 에이스였다. 1학년 때부터 시속 140km 전후의 빠른 공을 던지며 차세대 에이스로 기대를 모았다. 고등학교 3학년 때는 최고 구속 149km/h에 이르는 강속구를 던지며 [[윤호솔]], --[[이성민(1990)|이성민]]--, [[조상우]]와 함께 전국 투수 최대어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다만 제구력이 부족하다는 것과 혹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지명 순위가 늦어졌고, 덕분에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할 수 있게 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롯데 자이언츠]]에 2013년 1라운드로 지명되었고, 계약금 1억 6000만 원으로 정식으로 계약되었다. 고교 시절에서부터 시시때때로 투구폼을 변경하였으며, 투구폼에 따라서 140km/h을 넘지 못하다가도 최고 140km/h 후반을 뿌리기도 하는 둥 투구폼에 따른 구위 변화가 큰 인물이었고, 프로 입단 시 투구폼 정착이 최우선 과제로 꼽혔다. 그리고 첫해인 2013년에 2군에서 한 시즌 내내 투구폼 수정과 실전 등판을 반복하며 8경기만을 등판하며 시즌을 보냈고, 성과는 그리 좋지 않았다. 2014년에는 2군에서 풀타임 선발로 뛰었으나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2015년~2016년에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입대, 구원투수로 등판하였으나 부진하였다. 2017년 군 제대 후 복귀하였으나 육성선수로 전환되어 2군에서도 기회가 줄어들었고, 2019년에 그나마 나아진 모습을 보여주며, 2019 시즌 후 [[질롱 코리아]] 19-20시즌 선수로 선발되었다. 구단에서 더 기다려주는 듯 보였으나 2019년 10월 31일 방출 명단에 올르며 롯데의 1라운드 지명 잔혹사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이후 [[질롱 코리아]] 파견도 불발되었다는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16122|기사]]가 나왔는데, 교육리그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해 방출된 것으로 보인다. 송주은의 대체자로는 FA 계약으로 복귀한 [[노경은]]이 실전 감각 확보를 위해 등록되었다. == 은퇴 이후 == 그 후 인스타로 간간이 근황이 올라오다가 2020년 7월 초에 조리사 자격증을 딴 모양인지 자신이 만든 족발과 밀면이 [[https://www.instagram.com/p/CCZrCi9FA6C/?igshid=1pq42t1a5qiwl|인스타그램]]에 올라왔다. 이후 후배인 [[http://m.dcinside.com/board/giants_new2/4482836|윤성빈]]과 [[http://m.dcinside.com/board/giants_new2/4494121|김유영]]이 개업 축하 기념으로 다발을 보낸 것으로 보아 운동선수의 커리어는 이제 관두고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하는 모양인데, 부산 대연동에서 밀면집을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 메뉴는 밀면과 족발이며, 상호는 [[http://kko.to/NaR3ah4R-|대연밀면족발]]이다. == 여담 == * [[리그 오브 레전드]] 다이아를 찍었다는 게 알려지면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에선 '롤주은'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SNS 등을 통해 많이 부풀려졌다고 주장한다. 일설에는 그랜드마스터 400LP를 찍었다고 하는데 [[롯데 자이언츠]] 팬들과 E스포츠 팬들은 [[프로게이머]]가 됐어야 한다면서 종목을 잘못 골랐다고 한탄하는 중(...).[* 그랜드마스터의 경우 연습을 빡세게 돌릴 경우 프로게이머로서 성공할 수 있으며, 스트리머로서도 충분히 성공 가능한 점수다.] * [[NC 다이노스]]의 [[정현(야구선수)|정현]] 덕에 야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친구였던 걸 보면 꽤나 친한 사이인 듯. * [[상무 피닉스 야구단]] 시절, [[구승민]]이 후임이자 룸메이트로 왔었는데 나중에 짬이 차고 나서부터는 관계가 역전되었다.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와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간의 친선 매치에서 6:1로 9이닝 완투승을 기록한 적이 있는데,[* 여담으로 그 당시 포수가 훗날 [[롯데 자이언츠]]에서 함께 뛰게 되는 [[안중열]]이었다.] 그때가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이었다고 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