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송창식(야구선수)/선수 경력)] [목차] == 3월 == 3월 30일 [[롯데 자이언츠|롯데]]와의 [[사직 야구장|사직구장]] 개막전에서 팀이 스코어 4:2로 이기던 9회말에 등판하여 2아웃까지 잡아 놓고 7번타자 [[황재균]]에게 안타, 8번타자 [[문규현]]의 대타로 나온 [[장성호]]에게 볼넷을 허용하여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9번타자 [[전준우]]를 3루 땅볼로 아웃시키고 경기를 마무리하여 시즌 첫 세이브를 기록하였다. 이로써 한화는 지긋지긋했던 팀의 개막전 연패를 끊었고 '''단독 1위에 올랐다'''. 1이닝 1피안타 1볼넷 무실점. == 4월 == 4월 1일 [[삼성 라이온즈|삼성]]과의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대전 개막전]]에서 [[김혁민]]과 [[박정진]]이 차례로 주자를 보낸 통에 팀이 스코어 2:5로 앞선 8회초 1사 1, 2루에서 등판했는데, 첫 타자이자 8번타자 [[이정식]]을 3구만에 우익수 플라이로 아웃시킨 것까지는 좋았으나 9번타자 [[김상수(타자)|김상수]]에게 2타점 3루타를 맞아 스코어를 4:5로 만들고 말았다. 그나마 다음 타자인 [[정형식]]을 초구 좌익수 플라이로 아웃시키고 완벽한 [[분식회계(야구)|분식회계]]를 시전하며 일단은 팀의 리드를 지켰다. 하지만 스코어 4:5인 9회초 1사 후 3번타자 [[박석민]]과 다음 타자 [[최형우]]에게 연달아 백투백 홈런을 맞아 역전을 허용한 뒤 [[최영환]]과 교체되었다. 이날 송창식은 1이닝 동안 24투구수 3피안타(2피홈런) 2실점 2자책점을 기록했고, 팀이 스코어 5:6로 패하면서 패전의 멍에를 썼다. 전년도에 비해 구위가 떨어진 모습을 보였고, 결국 위 경기 이후 마무리 자리는 [[김혁민]]이 맡게 되었다. 4월 5일 [[SK 와이번스|SK]]와의 [[문학 야구장|문학 원정]]에서 팀이 스코어 2:5지던 8회말에 3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이닝 18구수 2피안타 1실점을 했다. 이틀 쉬기도 했고 테스트 개념으로 올린 것으로 보이는데 필승조 재승선은 아직까진 어려워 보였다. 팀은 스코어 2:6으로 졌다. 4월 10일 [[NC 다이노스|NC]]와의 [[마산 야구장|마산 원정]]에서 팀이 스코어 3:2로 이기던 6회말에 두 번째 투수로 등판했으나 선두 타자이자 7번타자 [[손시헌]]에게 공 3개 만에 안타를 허용하고 그대로 마운드를 내려왔다. 다음 투수 [[윤근영]]이 손시헌을 홈으로 불러들여서 송창식은 이날 1실점 1자책점을 기록했다. 팀은 스코어 4:3으로 이겼다. 4월 11일 [[넥센 히어로즈|넥센]]과의 홈경기에서는 팀이 스코어 1:6으로 이기던 6회말에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아웃카운트 세 개를 모두 삼진으로 잡으며 어느 정도 구위가 올라온 모습을 보였고, 1⅔이닝 27투구수 1피안타 1사사구 3K 무실점으로 시즌 첫 홀드를 기록했다. 그러나 팀이 8회초와 9회초에 3점씩 실점하여 스코어 7:6으로 패하는 바람에 송창식의 활약이 묻히고 말았다. 4월 13일 넥센과의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선 팀이 스코어 3:1로 지던 7회초에 [[선발 투수]]인 [[유창식]]에 이은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나머지 3이닝을 모두 소화했다. 9회초에 [[서건창]]에게 솔로홈런을 얻어맞은 것이 흠이었지만 대체로 투구 내용은 호평이었다. 3이닝 34투구수 1피안타 1피홈런 1실점 1자책점을 기록했고, 팀은 스코어 4:2로 패했다. 4월 15일 [[KIA 타이거즈|KIA]]와의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광주 원정]]에서는 팀이 스코어 4:2로 8회말에 등판했지만, 1사 후 3번타자 [[브렛 필]]에게 안타, 다음 타자 [[나지완]]에게 투런홈런을 맞고 [[블론세이브]]를 기록하고 강판당했다. 그러나 끝내 역전패하고 나서도 송창식을 까는 한화팬들은 거의 없었다. 3이닝 던지고 고작 하루 쉰 투수한테 셋업을 맡기는 감독이 잘못이란 건 다 알기 때문이었다. ⅓이닝 12투구수 2피안타(1피홈런) 2실점 2자책점, 블론세이브를 기록했고 팀은 스코어 4:5로 '''재재'''역전패당했다. 4월 23일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7:6으로 뒤진 8회 1사에 등판, 첫타자를 삼진으로 잡았으나 다음 타자에게 홈런을 맞으며 역전을 거듭한 경기의 쐐기 점수를 내주었다. 올해의 홈런공장장이 될 기세. 다만 이날도 전날 1이닝을 던진 채 연투인 상태였다. == 5월 == 5월 7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유창식에 이어 두번 째 투수로 등판하였다. 2⅔이닝 동안 1볼넷 2K 무실점을 기록하고 최영환과 교체됐다. 그리고 불과 하루 쉬고 5월 9일 KIA전에서 3⅓이닝을 던졌다(…). 당연히 구위가 성할 리가 없었고 그 결과는 12회 [[백용환]]에게 결승 피홈런. 경기후 각종 게시판은 [[김응용]] 감독의 불펜운용을 성토하는 글이 폭주했다. 그 이후 충분히 쉬었는지 5월 15일 삼성전, 5월 16일 SK전서는 각각 ⅔이닝,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그런데 바로 다음날인 17일 SK전에서 2⅔이닝을 던졌다. 3일 연투 중인데도 50구를 굴리는 킬끼리의 위엄. == 6월 이후 == [[한화 이글스/2014년/6월/10일|6월 10일 경기]]에서 [[마일영]] 다음 투수로 등판, 이날 나온 양 팀의 18명의 투수 중 가장 긴 이닝(3⅔이닝)동안 56개의 공을 던지며 1실점으로 KIA 타이거즈 타선을 잘 막아 대역전의 발판을 만들었다. 6월 10일의 좋은 모습을 기대하며 [[케일럽 클레이]]의 퇴출 이후 새 용병 영입까지 선발진을 맡아주기를 바라며 6월 15일 [[NC 다이노스]]전에 등판했으나, ⅓이닝 동안 7실점을 하며 개털렸다.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부터 시작해서 [[모창민]]까지 20구를 던지며 아웃을 하나도 잡지 못하며 안타, 안타-볼넷-안타-2루타-홈런을 내주며 6실점을 했고, 이후 [[권희동]]에게 워닝트랙에서 잡히는 대형 타구를 맞은 뒤, [[손시헌]]에게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투수가 되었다. 이쯤 되면 권희동의 타구가 잡힌게 대단한게 될 지경. 이 경기로 인해 평균자책점이 7.22로 폭등했다. 결국 6월 23일자로 1군에서 말소되었다. 팬들은 잘 쉬고 오길 바랐다. 대신 2군에서 괜찮게 던지던 [[허유강]]이 시즌 처음으로 등록되었다. 8월 8일 [[KBO 퓨처스리그]] 등판을 끝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최종성적은 29이닝 1승 3패 1세이브 3홀드 평균자책점 7.45. [각주] [[분류:야구선수/커리어]][[분류:한화 이글스/2014년]][[분류:송창식(야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