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은진 송씨]][[분류:합천군 출신 인물]][[분류:1863년 출생]][[분류:1919년 사망]][[분류:건국포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 || 성명 ||송호완(宋鎬完) || || 자 / 호 ||우약(愚若) / 의재(毅齋) || || [[본관]] ||[[송(성씨)|은진 송씨]] || || 생몰 ||[[1863년]] [[1월 22일]] ~ [[1919년]] [[3월 5일]] || || [[출생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하금리[* 인근의 역평리·유전리와 함께 [[송(성씨)|은진 송씨]] 집성촌이다.] || || 사망지 ||[[경상남도]] [[합천군]] || || 매장지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 추서 ||건국포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6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송호완은 1863년 1월 22일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하금리에서 아버지 송근배(宋根培)와 어머니 [[신창 맹씨]]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숙부 송근례(宋根禮)에게 입양되었으며, [[곽종석]]의 문인이 되어 학문을 연마했다. 50여 년간 책상을 떠나지 않고 학문 연구에 몰두했다고 한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폐기를 주장하려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노성에서 [[최익현]]의 초청을 받아들여 모임에 참석한 뒤 궐리사에서 선조에게 고하는 글을 지었다. 그러나 실제로 의병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1919년 3월 중병에 걸린 와중에도 [[곽종석]], [[장석영(독립운동가)|장석영]], [[김창숙]] 등이 주도한 파리장서 서명 운동에 가담해 137명 중 한 사람으로서 서명한 뒤 집에 돌아왔다가 3월 5일에 사망했다. 저서로 의재문집(毅齋文集)을 남겼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6년 송호완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