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쇠채아재비.jpg|width=250]] || [[파일:dsc05609.jpg|width=500]] || ||||||||||<#00CC00><:>'''{{{#black 쇠채아재비}}}'''|| |||||| Goat's beard||||이명 : || ||||||||||<:><#BDFF12>''' ''Tragopogon dubius'' ''' Scop|| ||<|8><:><#D7FFCE>분류|| ||[[계]]||||||'''식물계'''|| ||[[문]]||||||피자식물문 (Angiospermae)|| ||[[강]]||||||쌍자엽식물강 (Dicotyledoneae)|| ||[[목]]||||||초롱꽃목 (Campanulales)|| ||[[과]]||||||국화과 (Compositae)|| ||[[속]]||||||쇠채아재비속(Tragopogon)|| ||[[종]]||||||'''쇠채아재비''' (T. dubius)|| [목차] == 개요 == [[유럽]]이 원산지이나 현재는 국내에서도 자생중인 귀화식물이다. 왕성한 생장속도와 크기가 돋보인다. 이름은 쇠채+아재비이다. 아재비는 비슷하다는 뜻인데, 대표적으로 꿩의다리아재비, 게아재비 등이 있다. 이름대로 쇠채와 유사한 외래식물이다. 학명의 Tragopogon이 그리스어로 염소수염을 뜻하는 것처럼 수염과 비슷한, 민들레와 비슷한 모양새의 열매를 맺는다 == 특징 == 잎은 어긋나기하며 선상피침형으로 [[강아지풀]]과 유사하다. 잎 길이는 20-30cm, 폭이 1cm 정도이다. 잎이 여릴 땐 털이 있으나 나중에는 거의 없어진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개화한다. 색이 노란색이고 총포[* 꽃잎 바로 밑에 있는 두툼한 초록색 부분]가 1열로 배열되어있다. 전체적으로 좀 큰 민들레 형태다. 뿌리는 원뿌리며 식용이 가능하다. [[치주염]]에 효능이 있다. [[http://www.moreunikka.com/sub_read.html?uid=6938|기사]] == 유사식물 == * 쇠채 쇠채아재비의 총포가 1열로 배열되어있으나, 쇠채는 여러줄로 배열되어 있다. 쇠채아재비는 1~2년생이나 쇠채는 다년생이다. 마지막으로 꽃받침의 길이가 꽃잎보다 짧으면 쇠채, 꽃잎보다 길면 쇠채아재비다. * 민들레 구별이 굉장히 쉽다. [[민들레]]는 잎 폭이 비교적 넓지만, 쇠채아재비는 잎이 [[강아지풀]] 수준으로 좁다. 민들레 꽃은 종일 피어있지만, 쇠채아재비는 오전에만 주로 피어있다. 마지막으로 덩치다. 민들레는 키가 30cm 정도에, 꽃이나 홀씨뭉치가 3~5cm 정도로 다소 아담하다. 그에 비해 쇠채아재비는 키가 30~100cm이며, 꽃은 민들레와 비슷하나 홀씨뭉치는 10cm 정도로 [[크고 아름답다]]. [[분류:꽃]][[분류: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