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링크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바렐(유희왕))] ||[[파일:ショートヴァレル・ドラゴン.jpg]]||[[파일:MiniborrelDragon-CYHO-EN-C-1E.png|width=390]]|| || 내수판 || 해외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쇼트바렐 드래곤, 일어판 명칭=ショートヴァレル・ドラゴン, 영어판 명칭=Miniborrel Dragon, 레벨=2,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800, link4=, link6=, 소재="바렛"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바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링크 3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릴리스한 몬스터와 링크 마커의 수가 같은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 [[유희왕 VRAINS]] 44화에서 [[코가미 료켄|리볼버]]가 사용한 링크 2 바렐 몬스터.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서 OCG화되었다. 그러나 OCG 성능은 그 [[리로더 드래곤]]보다도 처참하여 [[바렛(유희왕/카드군)|바렛]] 몬스터만 쓰도록 소재 제한이 달렸는데도 불구하고 공격력이 고작 800밖에 안 되어 빨리 링크 소재로 쓰지 않으면 샌드백이 되기 십상이다. 효과도 바렐 몬스터들 공통의 프리 체인 대상 지정이 아닌 소생 효과인데 이마저도 다른 바렐 링크 몬스터가 존재할 때 링크 3 이하의 다른 링크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해야 부활이 가능한 미묘한 효과다. 거기다 명칭 제약이 달려 원작처럼 우려먹는 것도 불가능하며 이 효과로 살려온 이 카드는 릴리스한 몬스터와 같은 링크의 소재로 쓸 수 없어 링크 3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부활시키면 몬스터가 1장 더 있어도 링크 3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 없다. 이쯤되면 구리다고 까인 [[리로더 드래곤]]이 훨씬 유능해보일 정도. 리로더 드래곤은 같은 소재 조건에 같은 링크 방향임에도 기본 능력치가 이 카드보다 훨씬 높으며 다른 링크 몬스터를 필요로 하는 건 동일하나 굳이 그 몬스터를 릴리스할 필요도 없고 딱히 바렐 링크 몬스터일 필요도 없다. 거기다 전투 파괴 한정이긴해도 파괴되면 묘지의 바렛 몬스터를 샐비지 할 수 있는 유언 효과도 있어 터져도 아무것도 못하는 이 카드보다는 훨씬 낫다. 이 카드가 리로더 드래곤보다 나은 점이라면 유일한 저링크 바렐 몬스터이기에 함정 카드 바렐 리프리저레이션을 쓰기 편하단 점 정도? 확실히 바렐 리프리저레이션을 장착해 효과를 얻으면 다른 바렐 몬스터들처럼 바렛 몬스터와의 연계를 중점으로 운용할 수 있고 파괴 내성도 얻어 좀 더 버틸 수 있게 되긴 한다. 허나 이마저도 같은 링크 2에 소환 조건도 느슨하고 효과도 훨씬 좋은 [[소운바렐 드래곤]]이 나오면서 의미없게 되어버렸다(...). 링크 마커 방향 상 초동 전개에 쓸 수 없단 것도 단점. 이건 자체 부활 효과로 메인 몬스터 존에 부활하여 양쪽 마커를 활용할 수 있기에 그나마 낫다. 일단 링크 1, 2 몬스터라면 본전 이상을 낼 수 있다. 예시로 [[천구의 성각인]]과의 콤보가 그나마 쓸만한 편. 천구의 성각인은 릴리스 되면 패 / 덱에서 드래곤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시켜주기에 묘지에서 천구의 성각인을 릴리스하고 부활하면 천구의 성각인 효과로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을 특수 소환.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의 효과로 묘지의 드래곤족 효과 몬스터를 소생시켜 새로운 링크 4 바렐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수도 있다. 그 외에는 아네스바렛 드래곤을 소재로 [[링크리보]]를 링크 소환해 이 카드로 바꿔먹는 정도? 허나 필드에 바렐 몬스터가 있다면 그냥 효과를 쓰게 만드는게 더 낫다는게 흠. 이런 별 볼 일 없는 능력과는 별개로 원작에선 꽤나 활약한 몬스터인데 여기선 명칭 제약이 없었기에 [[바렐가드 드래곤]]과의 콤보로 몇 번씩 부활하며 링크 소재로 사용되어 엑스트라 링크를 완성한 상태로 [[토폴로직 검블러 드래곤]]을 링크 소환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현재로는 바렛 덱에서는 효율이 없으며 후에 [[스트라이커 드래곤|링크 1 바렛 관련 링크 몬스터]]가 나온다면 링크 4 바렐 몬스터 소환에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지만 정작 [[리볼버(스트럭처 덱)|스트럭처 덱-리볼버-]]에서 완전 상위호환인 [[소운바렐 드래곤]]의 등장으로 완전히 묻혔다. 미국의 총기 규제 문제로 예외없이 일러스트가 수정되긴 했는데, 보통 같으면 총구를 비롯한 총 전체를 수정하는 것이 관례였던 이전 카드들과 다르게 약실에만 수정이 가해졌다. 때문에 왼쪽 어깨에 달린 리볼버가 일반 리볼버식 약실이 아닌 드럼 탄창을 단 것처럼 보인다. || 수록 시리즈 || ||<(>2018-07-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YHO-KR040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4-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CYHO-JP040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サイバネティック・ホライゾン]]'''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8-07-2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CYHO-EN040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CYBERNETIC HORIZ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9-EN103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