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나고야고속도로 노선, rd1=나고야고속도로 도심환상선)] [include(틀:수도고속도로)] || [[파일:external/d.hatena.ne.jp/2010-06-22.jpg]]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6px-The_starting_point_of_Asian_highway_Route_1%2CChuo-city%2CTokyo%2CJapan.jpg]] || || (출처 : d.hatena.ne.jp) || 에도바시 분기점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시점 || {{{+1 首都高速道路 都心環状線/Shuto Expressway Inner Circular Route}}} [목차] == 개요 == [[도쿄]] 도심을 순환하는 [[수도고속도로]]의 한 노선이다. 길이는 14.3km. 에도바시 분기점 - 다케바시 분기점 - 다니마치 분기점 구간은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1962년에 최초개통되었고 1968년에 완공되었다. 연식으로 치자면 대충 [[경인고속도로]]와 지금은 없어진 [[청계천|청계고가도로]] 만큼 오래된 도로라는 건데, 경인고속도로가 당시에 허허벌판이던 [[양천구]]와 [[부천]] 쪽에 걸쳐있고 청계고가도로가 도심의 복개된 완만한 선형의 하천 위에 걸쳐있던 반면, 이 C1은 건설 당시에도 [[세계구]]급 대도시였던 도쿄의 도심을 헤집고 다니도록 만들었다 보니 선형이 좋을 리가 없다. 에도바시 분기점과 하마자키 분기점 쪽의 제한속도는 '''40km/h'''이며, 나머지 구간의 제한속도는 50km/h이다. 특히 에도바시 분기점 같은 경우에는 '''왕복 2차로'''라는 위엄돋는 도로상황을 자랑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대에선 교통량이 워낙 많은 관계로 저 제한속도를 낼 수가 없다(...). ~~[[강변북로]]?~~ 물론 순환선 특성상 다른 도로로 가기 위해 잠깐 들리는 것이므로 속도 자체는 큰 의미가 없지만. 선형 문제보다도 도로의 노후화 때문에 더 제한속도를 낮게 잡은 편이라 길이 막히지 않을 때는 정속주행 시 약 60km/h까지는 가볍게 낼 수 있다. 도쿄를 순환하는 고속도로는 이 도로 말고도 [[수도고속도로 중앙환상선]], [[도쿄외환자동차도]], [[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가 있는데 오랫동안 전 구간이 개통된 도로는 이 도로밖에 없어서 교통량이 많은 편이였다. 2015년 3월 7일 수도고속도로 중앙환상선이 전 구간 개통되면서 정체 문제는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도쿄외환자동차도는 2020년 이후, 수도권중앙연락자동차도는 2020년 이후에 전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개통한 지는 오래되고 교통량은 많은 데다가 이걸 막아 놓기라도 하면 [[헬게이트]]가 열리니 보수공사는 찔끔찔끔 할 수밖에 없어서 수도고 노선 중에서도 유난히 낡은 티가 팍 나는 게 특징. 하지만 새벽시간이라면 [[도심 공동화]] 현상과 맞물려 제한속도 이상의 속도를 낼 수도 있다(!). [[하시리야|차량 폭주족]]들의 성지로 유명한 수도고속도로 중에서도 이곳 C1을 중심으로 달리는 이들이 있는데 통칭 '룰렛족'으로 유명하다.[* 오사카의 [[한신고속도로 환상선]]과 나고야의 [[나고야고속도로 도심환상선]], 후쿠오카의 [[후쿠오카고속도로 환상선]]에도 비슷한 부류들이 존재한다. 특히 한신 환상선에서는 개조된 EF~EK계열 [[혼다 시빅]]을 타는 폭주족들이 유명해 이들을 모티브로 한 파츠가 [[GTA5]]에 등장하기도 한다.] 주로 차량이 많이 없는 새벽 시간대에 이 구간을 100킬로가 넘는 속도로 빙글빙글 돌며 기록을 재거나 경쟁을 하는 등의 폭주를 일삼는다.[* 고작 100km 오버가 별 거 아닌 거 같지만 제한속도 50km/h짜리 고속도로(...)라는 걸 생각하면 제한속도의 두 배 이상의 속도를 내는 셈으로 한국으로 바꾸면 차선이 적고 선형이 불량한 [[북부간선도로]]나 [[내부순환로]]에서 130km/h 이상으로 밟는다고 보면 되겠다. 후술할 [[완간 미드나이트]]에선 거의 200km/h에 근접 혹은 그 이상으로 밟기도 할 정도.] 편도 2차선에 급코너가 태반인 이 구간을 폭주하다 보니 당연히 사고도 다발하며, 경찰도 정기적으로 '룰렛족 특별단속'이라는 명목으로 차량 단속을 하거나 작업차량 두 대로 차선 전체를 나란히 막고 정속주행을 하면서 새벽 시간 일반 차량의 속도를 강제적으로 제한하는 대책을 세우기도 한다. 그럼에도 [[하시리야]]들에겐 성지나 다름없는 곳이다 보니 폭주가 끊이질 않는듯. 이런 행위는 제법 역사가 오래되어 C1이 첫 개통되던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계속 되어오고 있다. 초창기엔 [[닛산 스카이라인 GT-R#s-2.1|하코스카]]가 꽉 잡고 있었다는 모양. [[완간 미드나이트]] C1러너에서는 자동차 평론가인 아라이의 입을 빌어 이 도로의 역사를 설명하면서 일본이 자랑하는 시가지 서킷이자 일본의 [[뉘르부르크링]]이라며 찬양하고 있다. == 주행영상 == === 내선 === [youtube(2dwiIwOZ2VQ)] 1:05 ~ 15:55 구간 === 외선 === [youtube(2RR0axXoBn8)] 1:40 ~ 15:24 구간 == 구조물 목록 == ||<#FF7F00> {{{#ffffff 번호}}} ||<#FF7F00> {{{#ffffff 이름}}} ||<#FF7F00> {{{#ffffff 일본어 명칭}}} ||<#FF7F00> {{{#ffffff 구간 거리}}} [br] {{{#ffffff km}}} ||<#FF7F00> {{{#ffffff 누적 거리}}} [br] {{{#ffffff km}}} ||<#FF7F00> {{{#ffffff 접속 노선}}} ||<#FF7F00> {{{#ffffff 소재지}}} ||<#FF7F00> {{{#ffffff 비고}}} || ||<-100><#848484> {{{#ffffff (C1) 수도고속도로 도심환상선 기타이케부쿠로, 신주쿠 방면}}} || || - || 에도바시 분기점 || 江戸橋JCT || - || 0.0 || [[수도고속도로 우에노선]] [br] [[수도고속도로 무코지마선]] ||<|9>도쿄 도 주오 구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시종착점''' || || 11 || 다카라초 나들목 || 宝町出入口 || 0.8 || 0.8 || - || 에도바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 || 교바시 분기점 || 京橋JCT. || 0.2 || 1.0 || [[도쿄고속도로]] 직결 || - || || 12 || 교바시 나들목 || 京橋出入口 || 0.6 || 1.6 || - || 하마자키바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13 ||<|2>신토미초 나들목 ||<|2>新富町出口 || 0.1 || 1.7 ||<|2>도쿄 도도(道) 50호 이치카와선 || 에도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14 || 0.2 || 1.9 || 하마자키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15 ||<|2>긴자 나들목 ||<|2>銀座出入口 || 0.1 || 2.0 ||<|2> || 에도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16 || 0.5 || 2.5 || 하마자키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17 || 시오도메 나들목 || 汐留出入口 || 0.7 || 3.2 || 도쿄 도도(道) 316호 가이간도리 || 하마자키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 || 시오도메 분기점 || 汐留JCT || 0.2 || 3.4 || [[수도고속도로 야에스선]] || 주오 구 와 미나토 구의 경계 || - || || - || 하마자키바시 분기점 || 浜崎橋JCT || 0.9 || 4.3 || [[수도고속도로 하네다선]] ||<|6>도쿄 도 미나토 구 || - || || 19 ||<|2>시바코엔 나들목 ||<|2>芝公園出入口 || 0.9 || 5.2 ||<|2>도쿄 도도(道) 319호 환상3호선 || 하마자키바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20 || 0.5 || 5.7 || 다니마치 방향만 출입 가능 || || - || 이치노하시 분기점 || 一ノ橋JCT || 0.8 || 6.6 || [[수도고속도로 메구로선]] || - || || 21 || 이쿠라 나들목 || 飯倉出入口 || 0.6 || 7.2 || 도쿄 도도(道) 415호 다카나와-아사부선 || 이치노하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 || 다니마치 분기점 || 谷町JCT || 0.6 || 7.8 || [[수도고속도로 시부야선]] || - || || 23 ||<|2>가스미가세키 나들목 ||<|2>霞が関出入口 || 1.0 || 8.8 ||<|2>도쿄 도도(道) 412호 롯폰기 길 ||<|9>도쿄 도 지요다 구 || 다니마치 방향만 출입 가능 || || 24 || 0.4 || 9.2 || 미야케자카 방향만 출입 가능 || || - || 미야케자카 분기점 || 三宅坂JCT || 1.0 || 10.2 || [[수도고속도로 신주쿠선]] || - || || 25 || 다이칸초 나들목 || 代官町出入口 || 1.4 || 11.6 || 다이칸초 길 || 미야케자카 방향만 출입 가능 || || 26 || 기타노마루 나들목 || 北の丸出口 || 0.4 || 12.0 || - || 다케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 || 다케바시 분기점 || 竹橋JCT || 0.3 || 12.3 || [[수도고속도로 이케부쿠로선]] || - || || 27 ||<|2>간다바시 나들목 ||<|2>神田橋出入口 || 0.6 || 12.9 || 도쿄 도도(道) 402호 니시키초-유라쿠초선 || 다케바시 방향만 진출 가능 || || 28 || 0.3 || 13.2 || 도쿄 도도(道) 403호 오테마치 유시마 선 || 에도바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 || 간다바시 분기점 || 神田橋JCT || 0.1 || 13.3 || [[수도고속도로 야에스선]] || - || || --30-- || --고후쿠바시 나들목-- || --呉服橋出入口-- || --0.7-- || --14.0-- || --도쿄 도도(道) 405호 소토보리 환상선-- ||<|3>도쿄 도 주오 구[* 2021년 5월 10일 자정부로 고후쿠바시 나들목, 에도바시 나들목이 폐지되어 철거 수순에 들어갔다. [[https://www.shutoko.jp/ss/nihonbashi-tikaka/deiriguchihaishi/|#]] ] || --에도바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31-- || --에도바시 나들목-- || --江戸橋出入口-- || --0.2-- || --14.2-- || --쇼와도리-- || --간다바시 방향만 출입 가능-- || || - || 에도바시 분기점 || 江戸橋JCT || 0.1 || 14.3 || [[수도고속도로 우에노선]] [br] [[수도고속도로 무코지마선]] || - || ||<-100><#848484> {{{#ffffff (C1) 수도고속도로 도심환상선 하네다, 긴자 방면}}} || == 아시안 하이웨이 == || [[카프쿨레|{{{#!html카프쿨레}}}]] {{{#!html방면}}}[br]← [[수도고속도로 시부야선]] ||<-2>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Tabliczka_AH1.svg.png|width=36]][br]{{{#!html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 || {{{#!html종점}}} || [[분류:수도고속도로]][[분류:1962년 건설]][[분류: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