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목차] == 개요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의 역사에 대한 문서. === 2009년 ~ 2016년 === * 2009년 5월, 경기도가 GTX 논의를 시작했다. 3노선의 동시착공을 목표했으나 예비타당성조사를 A(2014), C(2018), B(2019) 순으로 통과한다. * 2011년 6월, [[수서평택고속선]]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착공했다.[* [[SRT]]를 단독 운용하면 B/C=0.76이나, 광역급행전철을 공용 운용하면 B/C=1.05가 나와, 고속선 계획 단계부터 반영했다. 대피시설로는 [[수서역]] 진입 전 끊기는 선로, 수서-동탄 구간 중간에 갈라지는 선로 등을 갖췄다. 각각 [[삼성역(GTX)|삼성역]] 방향으로 가는 GTX 선로를 대비한 것, 추후 개통할 [[성남역]]과 [[용인역(GTX)|용인역]]을 위한 시설이다. 성남역, 용인역의 경우 미리 노반을 갖춰놓은 것이며 추가 공사로 개통예정이다. 동탄역은 승강장 가벽 뒤 중상홈/고상홈 간 계단도 미리 만들었다.] [[http://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_view.asp?BS_CODE=S017&number=11514|#]] * 2012년 11월, [[경기도]]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국가 예산안에 GTX 사업 예산을 반영하며 사업이 시작되었다. [[http://www.kyeongin.com/news/articleView.html?idxno=690402|#]] * 2013년 7월 18일, [[국토교통부]]에서 [[http://www.yonhapnews.co.kr/local/2013/07/18/0811000000AKR20130718103300061.HTML|공식적으로 GTX A노선 중간역 위치를 발표했다.]] [[성남역]]은 분당선 이매역과 신분당선 판교역 사이에 위치하며, [[경강선]] 판교역과 이매역 사이에 새로운 역을 하나 추가할 것으로 보였다. [[용인역(GTX)|용인역]]은 [[분당선]] [[구성역]] 서쪽에 위치한다. GTX A노선 중간역 위치 그것도 성남, 용인구간만 먼저 발표한 것은 [[수서평택고속선]] 공사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였다. [[수서역|수서]]~[[동탄역|동탄]]구간은 수서평택고속선(SRT)과 선로를 공유하기 때문에 수서평택고속선 공사에 맞출 수 밖에 없었다. * 2014년 12월 2일, [[신분당선]] 삼송연장 노선과 철도를 공유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2/02/2014120200269.html|#]] * 2015년 10월, [[고양시]]와 [[파주시]]가 [[차량사업소]]를 운정신도시 쪽에 놓는 방면으로 합의했다. 운정신도시와 운정3지구 교통분담금 3,000억원으로 파주시 연장부분 사업비 증액을 해결하는 것을 추진한다.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23477|#]] * 2015년 3월 19일, 삼성-동탄간 노선의 기본고시가 발표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3439107|#]] 2016년까지 [[동탄역]]- [[용인역(GTX)]] - [[성남역]] - [[수서역]]을 잇는 노선이 개통될 예정이었으며, [[삼성역(GTX)|삼성역]]은 2021년, 이북은 2022년경 개통될 예정이었다. * 2015년 11월 17일, 국토교통부는 '''원안인 삼성~킨텍스와 수정안인 삼성~운정을 각각 제 1, 2안으로 두고 기재부에 민자적격성 검토'''를 요청하였다고 한다. 통상 6~8개월 정도 소요됨을 고려할 때, 2016년 여름 경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추정된다. * 2015년 12월 29일 [[킨텍스역|킨텍스]] ~ [[삼성역(GTX)|삼성]] 구간만 2019년 착공하는 것으로 '''[[기획재정부]]에서 [[http://news1.kr/articles/?2529373|의결]]'''하였다. [[운정신도시]] 구간은 민자적격성 검토를 하여 반영시킬지 말지 결정할 듯 하다. 이유는 민자사업자([[건설업]] 컨소시엄)가 나왔는데 [[민자사업]]자가 운정신도시 구간을 빼고 신청했기 때문이다. [[http://www.engdaily.com/news/articleView.html?idxno=3672|#]] * 2016년 7월 19일, 경기도와 성남시간의 건설비 분담금 갈등으로 최악의 경우 신설 취소가 될 수도 있다는 보도가 나오며 어수선해졌다. 당초 원안은 [[성남역]] 신설 계획 → 2014년 8월 28일 [[판교역(성남)|판교역]] 환승 계획 → 원안대로 [[성남역]] 신설 계획 등을 거쳐왔다.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90540|#]] === 2017년 === * 2017년 4월 4일, 국토교통부는 일산-삼성 민자구간의 타당성분석을 마치고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7040416170088137|#]] * 2017년 11월 8일, 기획재정부의 KDI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파주시]] [[운정신도시|운정3지구]]로 연장하는 노선 연장안이 B/C 1.11로 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http://news1.kr/articles/?3146803|#]] 이에 국토교통부는 미자사업자 우선협상자를 12월에 발표하고, 2018년 연말 착공을 목표로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 심의를 신청할 계획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3035769|#]] * 2017년 12월 29일, 국토교통부가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사업자를 모집했다. [[http://www.molit.go.kr/USR/BORD0201/m_69/DTL.jsp?id=N01_B&cate=&mode=view&idx=232344&key=&search=&search_regdate_s=2016-12-29&search_regdate_e=2017-12-29&order=&desc=asc&srch_prc_stts=&item_num=0&search_dept_id=&search_dept_nm=&srch_usr_nm=N&srch_usr_titl=N&srch_usr_ctnt=N&srch_mng_nm=N&old_dept_nm=&search_gbn=&search_section=&source=&search1=&lcmspage=1|고시]] === 2018년 === * 2018년 3월 11일, 입찰 마감 결과 [[현대건설]] 컨소시엄과 [[신한은행]] 컨소시엄 간 2파전이 되었다. [[http://news1.kr/articles/?3256376|#]]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경우 주요 구성원은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한라, 태조엔지니어링,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이 있으며 특이 사항으로는 [[시청역(서울)|시청역]]을 추가하고 [[북한산]] 국립공원을 우회하는 노선을 택했다. [[http://news1.kr/articles/?3291581|#]] [[신한은행]] 컨소시엄의 경우 주요 구성원은 [[신한은행]], [[대림산업]], [[대우건설]], [[도화엔지니어링]], [[서울교통공사]], [[주식회사 SR|SR]] 등이 있으며 역 추가 계획은 없으며 [[북한산]] 국립공원을 관통하는 노선을 택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523348|#]] * 2018년 4월 26일,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민간투자 사업 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 [[http://naver.me/5Ln80VzT|#]] * 2018년 9월 3일, 국토부가 사업지연 우려에 2018년 말에 착공한다고 했다. (하지만 연말 착공이 아닌 기공식에 그쳤다.)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516106|#]] * 2018년 10월 31일, 삼성~동탄 구간의 개통이 최대 3년 늦춰질 전망이라고 한다. [[파일:NISI20181227_0014760857.jpg]] [[2018년]] [[12월 27일]] 시행한 GTX A선 기공식. * 2018년 12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 5A홀에서 기공식을 개최했다. 착공은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에서 환경영향평가를 통과시켜줘야 가능하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49364|#]] === 2019년 === * 2019년 5월, 국토교통부에서 3기 신도시 중 하나로 고양 창릉지구를 선정하면서, 대곡역과 연신내역 사이에 역을 신설해달라는 움직임이 생겼으나, 국토부는 고양시청~새절역 간에 경전철을 지어(가칭 고양선) 교통수요에 대응한다고 밝혔다. 고양선은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 직결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운정신도시와 킨텍스 쪽 일산 주민들은 교통대책에 반발을 보였다. * 2019년 6월 12일, 시행사인 [[SG레일]]이 착공계를 [[6월]] 말 [[국토교통부]]에 제출하고, 실제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612000257|#]] 문제가 없이 승인이 빨리 떨어지는 [[고양시]] 구간부터 먼저 착공하고, 다른 구간을 차례대로 착공할 계획이다. 토지보상도 같이 진행한다. * 2019년 6월 25일, [[한국감정원]]에서 토지보상공고를 게시했다. 8월부터 토지보상이 본격화된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view/2019/06/452531/|#]] * 2019년 6월 30일, [[킨텍스역]]을 착공했다. * 2019년 8월 16일, [[대곡역(고양)|대곡역]]을 착공했다. * 2019년 9월, [[서울역]]을 착공했다. * 2019년 11월, 강남구청은 공사가 주민들의 안전과 재산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강남구 일대에 공사에 필요한 도로점용 허가와 녹지점용 허가를 하지 않았다. 이에 [[SG레일]]은 강남구청을 상대로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200129000822|#]] * 2019년 12월, [[구파발역]], [[무악재역]] 인근을 착공했다. === 2020년 === * 2020년부터, [[https://www.gtx-a.com/onsite|SG레일 홈페이지]]에서 공구별 진행 상황을 업데이트하기 시작하였다. * 2020년 3월 15일, 설계 변경으로 지연이 되어 서울시가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가 2020년 11월 착공, 2027년 12월 준공 예정, [[삼성역(GTX)|삼성역]] 2026년 2월 개통 예정으로 밝혔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003151943i|#]] * 2020년 3월 20일, GTX A선을 운행할 [[전동차]] 120량을 [[현대로템]]에 발주했다. 8량 1편성으로 15편성이 발주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1486190|#]] * 2020년 5월 12일, [[서울특별시청]]에서 진행한 [[행정심판]]에서 SG레일 측이 [[강남구]]청을 상대로 승소하였다. 강남구청이 지속해서 착공허가를 불허할 경우, 노선 개통 지연에 따른 발생 손실을 직접 부담해야 하며, 그럴 가능성이 희박해졌으므로 바로 공사를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634015|#]] * [[2020년]] [[5월]],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연다산동 일대 주민들이 환경영향평가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주민들은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행정심판을 청구하였다. 결과는 3주 뒤에 나올 예정이다.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676|#]] * [[2020년]] [[6월]], [[강남구]]청이 도로점용허가를 함에 따라 [[강남구]] 구간도 공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90290|#]] * [[2020년]] [[6월 16일]], 운정 차량기지에서 멸종위기등급 1급인 [[수원청개구리]]가 발견되어 공사가 중단되었다.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955579|#]] 하지만 환경보전 등 사건 처리가 되었는지 2일만에 다시 공사에 들어갔다. * [[2020년]] [[8월]], [[국토교통부]]는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지 않더라도 [[삼성역(GTX)|삼성역]]은 임시통로를 활용해서라도 정차시키겠으며, 이에 대해 서울시와 협의가 되었다는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0812/102418045/1|입장]]을 밝혔다. * [[2020년]] [[10월 8일]], 8월말 기준 공정률이 4.8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8월말 목표 공정률인 5.71%의 83.05% 수준이다.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0/1030862/|기사]] * [[2020년]] [[12월 3일]], [[종로구]] 당주동의 5공구 공사현장[* [[세종문화회관]] 인근]에서 15세기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터가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02/2020120202491.html|발견]]되었다. 역사적 유산이 발견된 것은 반가운 일이나,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사례에서 보듯이 문화재 발견은 공사 지연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적시 완공에 또다른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특히 [[수안역]]의 동래성 유적 발견이 결정타였는데, 이게 단순 유적을 떠나 [[동래성 전투]] 당시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노선 개통이 3년이나 연기되었다.] * [[2020년]] [[12월 28일]], [[국토교통부]]는 [[창릉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4988|보도자료]] 이로서 창릉역은 [[국토교통부]], [[고양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함께 하는 사업이 되어 사실상 확정되었다. 사업비 1,650억 원은 LH가 전액 부담하며, 향후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29/2020122901042.html?utm_source=urlcopy&utm_medium=share&utm_campaign=biz|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 [[2020년]] [[12월 31일]], [[문화재청]]이 공사 도중 발견된 유물에 보존 결정을 내렸으며 이에 따라 [[종로구]] 5공구 공사가 일단 200일 공사 중단이라고는 하였으나, 문화재로 인한 공사 중단의 사례들에서 볼 수 있듯이 무기한 중단 될 가능성이 높다. [[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31/2020123101716.html|#]] SG레일 측에 따르면 2021년 1월 정밀 발굴은 끝났고, 문화재청에 보고서 제출이 완료되면 4~5월쯤 공사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한다. [[http://www.newspim.com/news/view/20210120001121|#]] === 2021년 === * [[2021년]] [[1월 5일]], [[창릉역]] 역사 신설은 LH 내부적으로 2026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관계자의 발언이 기사로 보도되었다. [[http://www.wikileaks-kr.org/news/articleView.html?idxno=101550|#]] * [[2021년]] [[3월 17일]], 아직도 공정률은 10.97%인 것으로 밝혀졌다. [[킨텍스역|2공구]]가 17%의 높은 공정률을 보인 데에 반해 [[운정역(GTX)|1공구]]는 아직도 9.8%의 공정률밖에 보이지 못 하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3186910i|#]] 참고로, [[2021년]] [[12월 31일]]까지 32.8%의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 기존 계획이었다. --2023년 개통은 이미 물 건너갔다.-- * [[2021년]] [[4월 20일]]부터 3주간 매주 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GTX-A의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신규 차량]]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D%98%EC%9E%90-%ED%8F%AD-%EB%84%93%ED%9E%88%EA%B3%A0-%EC%86%8C%EC%9D%8C%EB%B0%A9%EC%A7%80-%ED%9A%A8%EA%B3%BC-%ED%83%81%EC%9B%94%EB%AF%B8%EB%A6%AC-%EB%A7%8C%EB%82%98%EB%8A%94-gtx-a/|목업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 '''[[2021년]] 8월 말 기준, 공정률은 20.6%'''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계획 공정률 대비 84%에 불과한다고 하는데, [[2021년]] [[12월 31일]]까지 32.8%의 공사가 완료되는 것이 기존 계획이었던 것임을 감안하면 아직 갈 길이 좀 먼 모양이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1/10/05/EY5IMDNIDZAGHLQO7KIGLMGBQQ/|#]] [* 다만 3월부터 8월까지 5개월 동안 공정률이 거의 10%p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남은 4개월 동안 32.8%까지 공정률을 끌어올리는 것도 그나마 가능성은 있을 전망이다.] === 2022년 === * 2022년 5월, 제3공구 공사장에서 약 7m 높이 천장에서 콘크리트 잔해물이 근로자의 머리로 떨어져 병원으로 빠르게 옮겨졌지만 사망한 사고가 있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20513222443957|#]] * 2022년 6월 30일, 국토교통부는 서울시가 삼성역에 시행하는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영동대로 복합개발 사업]]이 지연되어 운정~서울역, 수서~동탄 구간 분리운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서~동탄 구간의 운영을 위해 동탄역 인근에 경정비 시설을 설치[* 이렇게 분리운영을 하면, '''1년 간은 차량기지가 없는 노선'''이 되기 때문이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2022년 7월, [[고양시]], [[파주시]] 구간은 수직구(환기구) 타공이 완료되었고[* 마지막 수직구 구간인 [[삼송역]] 수직구 타공 완료가 [[2021년]] [[12월]]이다.], 수직구 간을 잇는 [[터널]] 구간이 상당폭 진척이 이뤄졌으나(고양 가좌동 및 장항-백석동 구간은 2022년 연내 관통이 완료될 예정) [[서울특별시]] 시내 구간은 아직도 수직구(환기구) 굴착만 진행하고 있다. [[2024년]] 개통이 되려면 서울시내 구간 역시 수직구 타공이 끝나고 터널 굴착을 시행해야 하지만 서울시내 구간은 터널 굴착 진행을 못 하고 있다. 현재 8월 기준으로 공정률은 40%이다. * 2022년 8월, [[국토교통부]]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가 차질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자료를 배포하였다. [[국토교통부]]는 수서~동탄 구간을 시작으로 2024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개통할 계획이며 운정~서울역 구간은 2024년 중으로 개통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다만 [[삼성역(GTX)|삼성역]]의 경우 공사가 늦어짐에 따라 2025년 11월 중으로 무정차 통과, 2028년 완전 개통으로 계획을 발표하였다. * 2022년 12월 19일, 창원 [[현대로템]] 공장에서 GTX-A 첫 차량의 출고식이 진행되었다. 원희룡 국토부장관 및 지역구 국회의원이 참석하는 등 큰 관심을 받았으며 현대로템 측에서는 [[K-2 전차]] 기동식을 보여주며 분위기를 띄웠다. [[https://youtu.be/gi7JFSPlBNc|#유튜브1]], [[https://www.youtube.com/watch?v=gi7JFSPlBNc|#유튜브2]] * 2022년 12월 22일,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수서~동탄 구간을 2024년 6월에서 4월로 개통시기를 당기겠다고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064355|#]] * 2022년 12월 29일, 삼성-동탄 구간 터널 관통식이 진행되었다. 이 시점의 수서-동탄 구간 공정률은 65%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7703|#]] === 2023년 === * 2023년 3월부터 [[수서역]]~[[동탄역]] 구간의 궤도부설이 시작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onorail/371368|#]] * 2023년 5월 중순 기준으로 운정~서울역 공정률은 59%이다.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73182|#]] * 원희룡 국토부장관과 기자들을 대동해 새벽 1시경 시험 운행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zvSO7U1TOE|#]] 시운전 당일은 [[중상홈]]인 SRT 수서역사를 이용해서 계단을 타고 올라가야 했으며 승객의 무게를 산정해서 물탱크와 모래주머니를 싣고 운행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_e8EbUF38fQ|#]] * 2023년 8월 말 기준으로 수서역~동탄역 구간의 공정률은 78.3%로 계획 공정률 75.3%보다 상회하고 있다고 한다.[[https://v.daum.net/v/20230921111600765|#]] * [[수서역]]~[[동탄역]] 구간의 GTX-A 노선이 2024년 6월 개통에서 2024년 3월 말 개통으로 당겨졌다. 단, [[용인역(GTX)|용인역]]은 공정률이 낮아 기한 내 개통이 어려워 2024년 6월 개통예정으로 유지한다. [[https://m.yna.co.kr/view/AKR20231106122600003|#]] * [[대통령실]]에서 GTX-A 노선을 평택까지 연장하는 것으로 전달하였다. 자세한 연장 계획은 연말에 다시 보도자료를 뿌릴 예정이다. [[https://www.president.go.kr/president/speeches/hDk5cvWG|#]] ## === 2024년 === ## * 2024년 3월 0일, [[수서역]]~[[동탄역]] 개통[*용인_무정차[[용인역(GTX)|용인역]]을 제외한 수서-동탄 전 구간 연결. 수서-동탄 구간이 용인역을 제외하고는 전 구간이 준공률이 높아서 일단은 총선 전에 용인역을 제외하고 선개통으로 추진하고 있다. [[https://www.president.go.kr/president/speeches/hDk5cvWG|#]]] ## * 2024년 6월 0일, [[용인역(GTX)|용인역]] 개통 ## * 2024년 8월 0일, [[운정역]]~[[서울역]] 개통 [[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