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노선명=미정, 노선개통예정일=미정)] [include(틀:수도권 광역전철 노선/미개통)] [include(틀: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E노선''' }}}[br]首都圈 廣域急行鐵道 E路線[br]'''G'''reat '''T'''rain e'''X'''press; '''GTX''' Line E ||}}} || ||<-2> [[파일:GTX-E 예상.jpg|width=100%]] ---- '''[[https://youtu.be/TlYKJAm3Zeo|사진 출처]]''' || ||<-2> '''노선 정보''' || || '''분류''' || [[광역급행철도]] || || '''기점''' || [[인천공항2터미널역]] || || '''종점''' || [[덕소역]] || || '''역 수''' || 최소 17개 || || '''구성 노선''' || [[인천국제공항철도]][br]수도권 광역급행철도 E노선[br][[중앙선]] || || '''개업일''' || 미정 인천공항2터미널역 - 덕소 || || '''소유자''' || 미정 || || '''운영자''' || 미정 || || '''사용차량''' || 미정 || || '''차량기지''' || 미정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교류]] 25,000V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 미정 || || '''최고속도''' || 180㎞/h || || '''표정속도''' || || || '''지상구간''' || 미정 || || '''통행방향''' || 좌측통행 || || '''개통 예정''' ||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중구(인천광역시)#s-12.1|영종구]] [[인천공항2터미널역]]에서 [[경기도]] [[남양주시]] [[덕소역]]을 잇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인천공항2터미널역]]부터 [[김포공항역]] 구간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구리역]]부터 [[덕소역]] 구간은 [[중앙선]]과 선로를 공용한다.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의 2기 GTX공약으로 제기된 신규사업노선이다. == 작용 예측 == * '''수도권 북부지역을 동서로 빠르게 이어주는 쾌속 통로 ''' * [[인천국제공항철도]] 고속화로 증가될 선로용량의 활용(인천공항2터미널역-김포공항역) * 경전철 [[강북횡단선]]과의 협력작용[* 실제로 강북횡단선 급행열차가 타당성 문제로 무산될 가능성이 커서 이를 대신해주는 작용도 있다.] 및 서울 서북부와 동북부의 철도 음영지역 해소[* 특히 그동안 북한산의 존재로 막혔던 수색지역과 성북구사이에 직통하는 중전철 도시철도 노선을 제공할수 있다.](등촌역-정릉역-광운대역) * 심한 혼잡도를 보이는 중앙선의 이용수요를 일부 분담(신내역-덕소역) === 문제점 === 서울 구간이 주요 수요처를 지나지 않아 수요가 우려된다. 일단 [[평창동]]은 기업 오너같은 부유층이 사는 부촌이므로 출퇴근 시 대중교통 수요가 낮고 업무지구가 아니어서 유입 수요도 낮다. 이는 [[정릉동]]에도 어느정도 적용된다. 결국 자체 수요는 적어서 환승 수요에 의존해야 하므로 환승 저항 및 사업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광역급행철도는 주요 거점을 빠르게 잇는 '허브 앤 스포크'를 노리고 하는 사업인 만큼, 환승이 늘면 잠재력이 의문시되게 된다. 물론 북악산을 관통하는 수요가 있겠지만 현재 비슷한 경로를 달리는 강북횡단선도 수요문제로 급행을 빼려는 상황에 굳이 중전철을 건설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고려해야 하는게 많다. 또한 위에서 공항철도 선로용량이 남게 되어 활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2023년 11월 기준 공항철도-9호선 직결 추진이 성사돼 장래에 강북•강남 방면으로 모두 열차를 보내게 되므로 GTX에 그렇게 많이 여유를 낼수 있을지도 의문점. 그나마 남은 건 경의중앙선 구간인데, 그곳도 [[GTX-B]]가 준공되면 청량리-상봉 구간이 많이 개선될 예정이라 굳이 GTX-E를 타야하는지도 아직은 미지수. 추가로 [[김포국제공항]]에는 현재 이미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수도권 전철 9호선|9호선]], [[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 [[서해선]] 5개의 광역전철노선과 국내선, 국제선 항공기, 대량의 버스 회차지까지 있어서 환승을 하는데 애를 먹을 가능성도 높다. 특히 계획대로면 서해선 승강장을 공용할 GTX-F를 환승하는데 상당히 골치아플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을 말하자면, 서울-근교간 중단거리 수송측을 보면 GTX-E는 기존선 대비 경쟁력이 그리 높게 보이기에는 힘들고, 성북구, 구리, 남양주의 주민이 인천공항쪽으로 이동하는 장거리 수요에는 조금 경쟁력이 더 높을것이다.[* 문제는 이마저도 만약 글로벌 판데믹 등 항공수요가 요동치면 적자 직격탄을 맞을 위험이 있다. 인천공항철도는 최소한 경인간 통근 역할도 갖추고 있어서 코로나 19기간에 큰 피해는 없었다.] 동쪽으로 양주-포천이나 양평-원주/홍천방면으로 연장하면 타당성이 조금 더 높게 나올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나오지 못하면 선형을 진지하게 재연구할 필요가 있다. == 상세 == * 2022년 5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윤석열 정부]] 내 착공하지 않을 것을 못박았다.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8631|#]] * 2022년 7월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GTX 노선의 조속한 개통을 주문함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현 GTX 관련 일정 전체를 재정비하기로 결정하였음이 보도되었다.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대통령이 1년이라도 빨리 개통할 수 있도록 모든 방법을 강구하라고 한 만큼 '''예타 면제'''를 포함해 다양한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발언하였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719/114525247/1|#]] * 2022년 지방선거 이후에는 무산된 7호선 북부연장 Y자분기안(도봉산-탑석-양주/포천)대신 이 GTX-E를 포천시로 연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성사되면 또 Y자 분기로 될듯하다. 또한 장래에 신철원까지의 연장도 가능할듯. 자세한 내용은 [[옥정포천선]] 문서 참조. * 2023년 11월 기준 윤석열 정부 내 착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https://youtu.be/TlYKJAm3Zeo|#]] == 역 목록 == * 파란색 칸은 [[인천국제공항철도]] 공용구간, 옥색 칸은 [[경의·중앙선]] 공용구간. ||<|2><:> 역번 ||<|2><:> ㎞ ||||<|2><:> 역명 ||||<:> 승강장 ||<|2><-2><:> 환승노선 ||<|2><-2><:>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 0.0 || [[인천공항2터미널역|{{{#fff 인천공항2터미널}}}]] ||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b8860b ●}}} [[GTX-D]] ||<|8> [[인천광역시]] ||<|5> [[중구(인천)|중구]] || || || || [[인천공항1터미널역| {{{#fff 인천공항1터미널}}}]] ||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파일: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아이콘.svg|width=20]]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br]{{{#b8860b ●}}} [[GTX-D]] || || || || [[공항화물청사역|{{{#ffffff 공항화물청사}}}]] || {{{#ffffff 空港貨物廳舍}}}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b8860b ●}}} [[GTX-D]] || || || || [[운서역|{{{#ffffff 운 서}}}]] || {{{#ffffff 雲 西}}}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 || || || || [[영종역|{{{#ffffff 영 종}}}]] || {{{#ffffff 永 宗}}}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 || || || || [[청라국제도시역| {{{#ffffff 청라국제도시}}}]] || {{{#ffffff 靑羅國際都市}}}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2> [[서구(인천광역시)|서구]] || || || || [[검암역| {{{#ffffff 검 암}}}]] || {{{#ffffff 黔 岩}}}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20]]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2호선]] || || || || [[계양역| {{{#ffffff 계 양}}}]] || {{{#ffffff 桂 陽}}}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파일:Incheonmetro1_icon.svg|width=20]]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1호선]][br]{{{#b8860b ●}}} [[GTX-D]] || [[계양구]] || || || || [[김포공항역|{{{#ffffff 김포공항}}}]] || {{{#ffffff 金浦空港}}} || || ||<-2> [[인천국제공항철도|[[파일:AREX_icon.svg|width=20]] 공항철도]][br][[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br][[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br][[파일:GoldLine_icon.svg|width=20]] [[김포 골드라인]][br][[파일:Seohae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br]{{{#c0c0c0 ●}}} [[GTX-F]] ||<|7> [[서울특별시]] ||<|2>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 || || || [[등촌역|등 촌]] || 登 村 || || ||<-2>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br]{{{#c0c0c0 ●}}}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강북횡단선]] || ||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 ||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br][[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br]{{{#c0c0c0 ●}}} [[대장홍대선]][br]{{{#c0c0c0 ●}}}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강북횡단선]] || [[마포구]][*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은 [[은평구]]에도 해당.] || || || || 평 창 || 平 倉 || || ||<-2> {{{#c0c0c0 ●}}}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강북횡단선]] || [[종로구]] || || || || [[정릉역|정 릉]] || 貞 陵 || || ||<-2> [[파일:UiLine_icon.svg|width=20]]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br]{{{#c0c0c0 ●}}} [[서울 경전철 강북횡단선|강북횡단선]] || [[성북구]] || || || || [[광운대역|광운대]] || 光云大 || ||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br][[파일:GreatTraineXpress_C.svg|width=2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 || [[노원구]] || || || || [[신내역|신 내]] || 新 內 || || ||<-2>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br][[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br][[파일:GreatTraineXpress_B.svg|width=20]]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br]{{{#c0c0c0 ●}}} [[서울 경전철 면목선|면목선]] || [[중랑구]] || || || || [[구리역|{{{#fff 구 리}}}]] || {{{#fff 九 里}}} || || ||<-2>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20]]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2> [[경기도]] || [[구리시]] || || || || [[덕소역|{{{#fff 덕 소}}}]] || {{{#fff 德 沼}}} || || ||<-2>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c0c0c0 ●}}} [[GTX-F]] || [[남양주시]] || == 관련 문서 == * [[간선철도]] * [[광역철도]] * [[광역급행철도]]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