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꽃]][[분류:국화목]] ||
<-3> [[파일:cornflower.jpg|width=100%]] || ||<#00CC00><-3> '''수레국화''' || |||| Cornflower ||이명 : '''시차국''', '''남부용''', '''도깨비부채'''|| ||<-3><#BDFF12> ''Centaurea cyanus'' || ||<|7><#D7FFCE> 분류 || [[계]] ||'''식물계'''|| || [[문]] ||속씨식물문(Angiospermae)|| || [[강]]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목]] ||국화목(Asterales)|| || [[과]] ||국화과(Asteraceae)|| || [[속]] ||수레국화속 || || [[종]]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L.)|| [목차] == 개요 == [[국화]]의 한 종류. 30~90cm 남짓한 키에 짙은 보라색 내지 [[파란색]] 꽃잎 색깔이 특징적인 꽃이다. 꽃은 4~9월에 걸쳐서 피며 8~10월에는 종자가 맺힌다. [[3월 5일]]의 탄생화이며 꽃 색깔은 주로 [[파란색]]이지만 종자에 따라 [[흰색]]부터 [[분홍색]], [[보라색]], [[자주색]]까지 다양하다. 꽃말은 [[행복]]감. == 설명 == 한국 토종 식물은 아니고 유럽에서 건너온 귀화식물이다. [[독일]]의 국화로도 알려졌지만 이는 [[프로이센 왕국]]의 상징이 수레국화였던 것이 와전된 이야기다.[* 실제 독일의 국화는 [[참나무]]다.] [[프로이센]]의 상징 색인 [[프러시안 블루]]와 색상이 비슷하다는 이유에서 수레국화는 프로이센, 나아가 [[범게르만주의]]의 상징으로 쓰였다. 그런데 정작 수레국화가 국화인 나라는 [[벨라루스]]와 [[에스토니아]]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 꽃이지만 태생이 [[들국화]]이며 아름다운 색상으로 인간에게 주목받기 전에는 그냥 [[잡초]]였기 때문에 아무데서나 잘 자란다. 한 번 심으면 따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다음 해에 수백, 수천 송이로 퍼져나간다. 특유의 쨍한 푸른색 덕분에 꽃잎을 말려서 [[염료]]로 쓰기도 한다. 게임 [[마인크래프트]]에서도 파란색 염료를 만들 때 [[청금석]] 또는 수레국화를 사용한다. [[국화차]]로도 단골로 쓰이는 꽃이다. 특유의 달콤한 국화향과 푸른 꽃잎으로 인해 [[홍차]] 블렌딩에도 자주 쓰인다. 트와이닝 사의 유명한 홍차인 레이디 그레이에도 수레국화 꽃잎이 포함되어 있다. 수레국화의 푸른색은 [[안토시아닌]] 성분으로 인한 것이다. 안토시아닌은 [[지시약]]으로도 쓰이는데 [[산(화학)|산성]]이 강할수록 붉은색, [[알칼리성]]이 강할수록 푸른색을 띤다. 때문에 수레국화차에 [[레몬]]즙을 뿌리면 차 색깔이 푸른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한다. [[사파이어]]는 [[https://i.ytimg.com/vi/pWjYVqRLQR8/maxresdefault.jpg|수레국화 꽃잎색]]을 최상품으로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