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수로왕비릉.jpg|width=900]]|| || 수로왕비릉 항공 전경 || || [[파일:정부상징.svg|width=28]]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의 사적}}}]]''' '''{{{#f39100 제74호}}}''' || || {{{+1 {{{#fff '''김해 수로왕비릉'''}}}}}} {{{-1 {{{#fff 金海 首露王妃陵}}}}}}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fff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120번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 || '''{{{#fff 면적}}}''' || 45\,185㎡ || || '''{{{#fff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 '''{{{#fff 제작시기}}}''' || [[가야]] || ||<-2> '''{{{#fff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120번지, 너비=360)]}}}}}}}}} || [목차] == 개요 == [[수로왕]]의 아내였던 [[허황옥]]이 묻혀있다고 알려진 [[능]].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74호로 지정되어 있다. == 상세 == ||[[파일:external/dbscthumb.phinf.naver.net/659aa224-d924-46.jpg?type=m250_fst_nce&wm=Y?.jpg]]|| || 수로왕비릉[*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8795&cid=46619&categoryId=4661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의하면, 왕비는 [[허황옥|성이 허(許), 이름은 황옥(黃玉)]]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인도]] 아유타의 공주로 16세에 배를 타고 가락국에 와서 [[수로왕]]의 왕비가 되었다고 한다. 왕자 10명을 낳았는데, 그중 2명에게 어머니를 따라 허씨 성을 주어 지금도 그 후손이 이어진다고 한다. 높이 5 m 정도인 원형 봉토무덤으로서, 무덤의 밑부분에 특별한 시설은 없다. 무덤 주위에는 얕은 돌담을 4각형으로 둘러 무덤을 보호하고 있으며, 앞 쪽에는 긴 돌을 사용하여 [[축대]]를 쌓았다. 중앙에는 [[비석]]이 있는데 '가락국수로왕비 보주태후허씨릉(駕洛國首露王妃 普州太后許氏陵)'이라는 명문을 2줄로 새겼다. 무덤에 딸린 부속건물로는 숭보제·외삼문·내삼문·[[홍살문]]이 있다. 보통 평지에 있는 무덤과는 다르게 언덕에 위치하고, 무덤 앞에는 인도에서 가져왔다고 전하는 파사석탑(破邪石塔)[* 얼핏 보기엔 그냥 돌을 쌓아놓은 것이지만 자세히 보면 돌에 붉은 무늬가 있으며 인위적으로 석탑을 조각한 약간의 흔적이 있다.]이 있다. 이 파사석탑은 [[고려]] 중기 [[일연]]의 [[삼국유사]]에 실린 [[http://db.history.go.kr/id/sy_003r_0020_0030_0010|탑상편 금관성파사석탑(金官城婆娑石塔)]]에서도 등장한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12170600001&code=960100|현대에 조사한 결과 실제로 한반도에서는 찾을 수 없는 성분의 돌이라고 한다.]] [[세종(조선)|세종]] 28년(1446)에 [[수로왕릉]]과 함께 보호구역을 넓혔고 [[임진왜란]] 때 [[도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의 비석과 상석 등은 [[인조]] 25년(1641)에 다시 정비하면서 설치하였다고 한다. [[왕릉(무덤)|왕릉]]에 비해서는 시설이 소박한 편이고 수로왕비릉이라고 오래전부터 전해져 왔으므로 [[수로왕릉]]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본다면, 내부의 구조는 널무덤(토광묘) 또는 돌덧널무덤(석곽묘)일 가능성이 높다.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0740000,38|문화재청]]. == 교통 == [[부산김해경전철]]을 타고 [[박물관역(김해)|박물관역]]에서 내리거나 [[김해 버스 1]], [[김해 버스 1-1|1-1]], [[김해 버스 8-1|8-1]], [[김해 버스 58-1|58-1]], [[김해 버스 59-1|59-1]], [[김해 버스 72|72]], [[김해 버스 140|140]], [[김해 버스 911|911]], [[부산 버스 122]], [[부산 버스 123]], [[부산 버스 1004|급행 1004]]를 타면 청소년 문화의집 정류장에서 내려 5분 정도 걸어가면 도착할 수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수로왕비릉|한국어 위키백과: 수로왕비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8795&cid=46619&categoryId=46619|한국민족문화대백과: 수로왕비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012&cid=42840&categoryId=42844|답사여행의 길잡이 14 - 경남: 수로왕비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429&cid=42856&categoryId=42856|대한민국 구석구석: 김해 수로왕비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221&cid=40942&categoryId=33546|두산백과: 김해 수로왕비릉]] == 사적 제74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0740000,38&pageNo=1_1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김해 수로왕비릉 (金海 首露王妃陵)]] >가야의 시조 수로왕의 왕비무덤이다. > >『삼국유사』「가락국기」에 의하면, 왕비는 성이 허(許), 이름은 황옥(黃玉)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인도 아유타의 공주로 16세에 배를 타고 와서 수로왕의 왕비가 되었다고 한다. 9명의 왕자를 낳았는데, 그 중 2명에게 왕비의 성인 허씨 성을 주어 지금도 그 후손이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한다. > >높이 5m 정도의 원형 봉토무덤으로서, 무덤의 밑부분에 특별한 시설은 없다. 무덤 주위에는 얕은 돌담을 4각형으로 둘러 무덤을 보호하고 있으며, 앞 쪽에는 긴 돌을 사용하여 축대를 쌓았다. 중앙에는 비석이 세워져 있는데, ‘가락국수로왕비 보주태후허씨릉(駕洛國首露王妃 普州太后許氏陵)’이라는 글이 2줄로 새겨져 있다. > >무덤에 딸린 부속건물로는 숭보제·외삼문·내삼문·홍살문이 있으며, 보통 평지에 있는 무덤과는 다르게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무덤 앞에는 인도에서 가져왔다고 전하는 파사석탑의 석재가 남아 있다. 세종 28년(1446)에 수로왕릉과 함께 보호구역이 넓혀졌으며, 임진왜란 때 도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의 비석과 상석 등은 인조 25년(1647)에 다시 정비하면서 설치하였다고 한다. > >왕릉에 비해서는 시설이 소박한 편이고 수로왕비릉이라고 오래전부터 전해져 왔으므로 수로왕릉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본다면, 내부의 구조는 널무덤(토광묘) 또는 돌덧널무덤(석곽묘)일 가능성이 높다. > >※(수로왕비릉 → 김해 수로왕비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분류:왕릉]][[분류:가야]][[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김해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