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천문학]][[분류:성운]]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5> [[메시에 천체 목록|{{{#FFFFFF '''메시에 천체'''}}}]] || || {{{#000000 {{{+1 '''[[메시에 15|M15]]'''}}} [br] '''메시에 15''' }}} [br] 페가수스자리의 구상성단 || {{{+1 ←}}} || {{{#000000 {{{+1 '''M16'''}}} [br] '''수리 성운'''}}} [br] 뱀자리의 발광성운 || {{{+1 →}}} || {{{#000000 {{{+1 '''[[오메가 성운|M17]]'''}}} [br] '''오메가 성운'''}}} [br] 궁수자리의 발광성운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610|{{{+1 '''NGC 6610'''}}}]][br]Unknown ||<:> {{{+1 ←}}} ||<:> {{{#000000 {{{+1 ''' NGC 6611'''}}}[br]뱀자리의 산개성단}}} ||<:> {{{+1 →}}} ||<:> [[NGC 6612|{{{+1 '''NGC 6612'''}}}]][br]거문고자리의 은하 || ||<:> [[IC 4702|{{{+1 '''IC 4702'''}}}]][br]공작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1 ←}}} ||<:> {{{#000000 {{{+1 ''' IC 4703'''}}}[br]뱀자리의 성운 }}} ||<:> {{{+1 →}}} ||<:> [[IC 4704|{{{+1 '''IC 4704'''}}}]][br]공작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M16'''[br]{{{+3 '''수리 성운'''}}}[br]Star Queen Nebula}}}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Eagle_Nebula_from_ESO.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8h 18m 48s || || {{{#FFFFFF 적위}}} || -13° 49' || || {{{#FFFFFF 별자리}}} || [[뱀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전리수소영역|H II 영역]] [br] [[성운#s-2.1.1|발광 성운]] || ||<-2> {{{#FFFFFF '''거리'''}}} || 7,000 [[광년]][br] 2,150 [[파섹]] || ||<-2> {{{#FFFFFF '''영역의 넓이'''}}} || 70 x 55 [[광년]]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6.0 || ||<-3> {{{#FFFFFF '''명칭'''}}} || ||<-3> [[메시에 천체 목록|M]]16, [[NGC]] 6611, [[IC]] 4703 || [목차] [clearfix] == 개요 == {{{+1 Messier 16 / M16}}} '''수리 성운'''은 [[뱀자리]]에 있는 [[산개성단]]을 품고 있는 [[성운#s-2.1.1|발광 성운]]이자 [[전리수소영역]]이다. 그 강렬한 붉은 빛[* [[전리수소영역]]에서 나오는 수소 방출선이 붉은 색을 띄기 때문이다.] 때문에 [[오리온 성운]]과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으며, 실제로 오리온 성운처럼 이 성운 안에서 또한 수많은 새로운 별들이 태어나고 있는 중이다. == 역사 == 1745~1746년 스위스의 천문학자인 필립 로이 드 셰소가 수리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기록하였다. 다만 산개성단만을 기록했을 뿐, 수리 성운을 기록하지는 않았다. 이후 1764년 6월 3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독자적으로 수리 성운까지 발견하여 이를 [[메시에 천체 목록]]에 16번째 천체로 기록하였다. 기록 당시 메시에는 '희미한 빛의 얽힘'이라고 수리 성운에 대하여 묘사하였다. 시간이 지나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수리 성운을 제대로 보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또다시 산개성단에 대한 묘사만을 기록하였고, 이는 [[NGC]]에 수리 성운은 없고 그 안에 산개성단만이 등록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후에 [[IC]] 목록에는 수리 성운을 포함하여 등재되었다. 1895년 E.E.버나드가 최초로 수리 성운의 사진을 찍었으며, 2년 뒤인 1897년에는 아이작 로버츠가 수리 성운을 찍은 뒤 IC 목록에 이 성운을 추가시켰다. == 특징 == 수리 성운은 지구에서 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시직경은 7분, 성운 영역의 넓이는 대략 70x55광년이다. 추정나이는 약 550만년이다. 내부의 산개성단을 포함하여 성운 내에는 약 8100개의 별들이 있으며, 대부분은 북서쪽에 있는 분자 구름의 틈에 집중되어 있다. 가장 밝은 별[* 쌍성이다.]의 겉보기 등급은 8.2등급으로 쌍안경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다.내부의 산개성단 NGC 6611은 약 460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추정 연대는 약 100~200만년이다. 겉보기 등급은 6.0으로 날이 맑은 날에 맨눈으로도 성운을 볼 수 있다. 4인치 정도의 망원경으로는 내부의 20여개의 별들과 흐릿한 성운기를 볼 수 있다. 12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성운의 어두운 '기둥'들도 분간이 가능하다. [[파일:external/blog.joins.com/497dadef7e8db.png|width=450&height=450]] 수리 성운에는 굉장히 --크고 아름다운-- 유명한 구조물(?)이 두 개 있다. === 별의 첨탑(Stellar Spire)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Stellar_spire_eagle_nebula.jpg]] 수리 성운의 남쪽 부근에서 위 방향으로 솟아있는 거대한 기둥. 중심부쪽으로 뻗어가는 모습에서 '기둥'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약 9.5광년의 높이를 가지고 있다. ===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 === ||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파일:Pillars_of_creation_2014_HST_WFC3-UVIS_full-res_denoised.jpg|width=100%]]}}} || 1995년,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독수리성운 중심부의 성간가스 및 성간먼지 덩어리를 촬영한 결과 드러난 세 개의 가스 구조물을 한데 부르는 이름이다. 수리 성운이라는 이름이 붙은 원인인데, 세 개의 기둥을 멀리서 보면 마치 독수리처럼 보인다는 것이 그 이유. 맨 위 사진에서 보면 검은 우측 하단 부분에서 독수리가 중심부의 빛덩이로 날아오르는 듯한 모습을 그려볼 수 있다. 창조의 기둥이 부리 부분이고, 그 주변 가스 구름이 날개가 된다. 사진으로 보기에는 꽤 어두운 가스 구름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로도 이 안에서 활발하게 항성생성 등의 활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가스 기둥 윗부분에 뾰족하게 나온 부분은 수소와 먼지들로 서서히 뭉쳐지면서 떨어져 나가 각각이 새로운 별이 된다.] 동시에 이 별들이 방사하는 에너지끼리 충돌하는 것도 있어서[* 스피처 우주망원경 팀의 보도에 의하면 과거에 있었던 초신성 폭발의 영향이 먼지기둥을 흩어놓는다고 한다는 가설도 있었는데, 최근 관측에서 부정되었다.][* [[https://www.space.com/3154-pillars-creation-toppled-stellar-blast.html]]], 결과적으로 이 기둥들은 빠른 속도로 증발하고 있다고 한다. 기대 수명은 100만년 정도밖에 안된다고 한다.[* 엄청 긴 것 같지만 천문학적 기준에서는 굉장히 빠른 시기다.] 한 가설로는 6천년전 이미 기둥이 사라졌다는 설이 있으며, [[빛의 속도]] 특성상 7천년전의 모습을 보고 있는 우리는 기둥이 사라지기 시작하는 장면을 최초로 포착하게 되는 시점은 약 1천년 이내라고 한다.[[https://www.newscientist.com/article/dn10925-pillars-of-creation-destroyed-by-supernova/|#]] 역시 최근 관측에서 부정되었다. 최초 관측으로부터 20년 후 재관측하였는데, 두 사진의 오차(기둥의 이동반경)이 빠른 시일 내에 사라졌다고 하기엔 너무 짧았기 때문. [[파일:제임스웹 창조의 기둥.jpg]] [[파일:제임스웹 허블 창조의기둥 비교.png]] 그러나 2022년, [[제임스웹]]이 근적외선 영역에서 새로이 촬영한 창조의 기둥 사진을 보내왔다. 허블 때와의 차이가 확연히 두드러지는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이 사진을 살펴본 결과 이 성운의 수명이 적어도 수백만년은 남았다고 분석되었다. 이 창조의 기둥이 이미 사라졌을 것이라는 추측은 완전히 틀린 추측이 된 셈이다. [[https://www.space.com/james-webb-space-telescope-pillars-creation-excites-astronomer|#]] 여담으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만든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이 성운의 이름을 딴 [[창조의 근원|창조의 기둥]][* 한국어판에서는 '창조의 근원'으로 번역되었다.]이라는 아이템들이 존재한다. == 위치 및 찾는 방법 == [[파일:external/img.etnews.com/article_03233140752959.jpg]] 수리 성운은 [[뱀자리]][* 원래 [[뱀자리]]와 [[뱀주인자리]]는 하나의 별자리였으나 둘을 분리하면서 뱀이 머리와 꼬리로 '''두동강나버렸다!''' 물론 하나의 별자리로 쳐주기는 하지만...]에서 '뱀의 꼬리' 영역에 있다. 이 주변부는 [[우리은하]]의 중심부여서 상당히 많은 별들과 성운들이 밀집해 있다. 가장 가까우면서도 그럭저럭 밝은 별은 4.7등급의 백색거성인 [[방패자리]] 감마이다. 수리 성운은 이 별에서 서쪽으로 2.5° 떨어져 있다. 또는 [[오메가 성운|M17 오메가 성운]]을 찾았다면 북쪽으로 2° 이동하여도 된다. [[메시에 18|M18]]에서는 북쪽으로 3° 이동하여도 된다. ==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 관련 문서 ==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