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아메리카의 통화)] Surinaamse gulden ([[네덜란드어]]) [목차] == 개요 == [[수리남]]에서 2004년까지 사용되었던 통화. '길더'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네덜란드]]의 [[속령]]으로 있었기에 쓰여진 명칭이다보니 수리남의 분리독립 역사보다는 조금 더 길다. 정확히는 1940년에 [[앤틸러스 길더]]와 동등한 구조로 대체된 통화로, 당시 미주지역에 네덜란드 [[해외령]]이 카리브해의 앤틸러스 제도와 수리남 정도밖에 없었던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종종 수리남에서 자신들이 남미에 속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또 다른 하나는 남쪽이 모조리 삼림으로 둘러싸인 지리상의 문제로 교류가 뜸한 것 정도.] 환율은 달러에 묶인 고정환을 채택하고 있어도 구체적인 값이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다. 다만 1940년 당시 1.88585길더/USD, 2004년에는 2,750길더/USD(2013년 현재 3,200길더/USD (통화환산값)) 였고, 90년대에 들어 평균 명목 인플레이션 값이 23%이며, 실제로는 순간값(년단위) 70%까지도 더 올랐다는 이야기도 있다. 대략 한화로 따진다면 길더당 50 ~ 35'''전'''쯤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ISO 4217]]코드는 SRG, 보조단위는 센트(Cent)를 사용했다. 기호는 구분할 이유도 없이 ƒ를 그냥 사용했다. [[수리남 달러]]와는 다르게 전반적으로 화려한 도안이 특징으로, 관광 상품으로도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 1차 == 이전까지는 기존 유통되던 [[네덜란드 길더]]를 발행지부명만 바꾸어[* 본국용과 식민지용을 따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써오던 것을 1957년에 처음으로 수리남 중앙은행(Centrale bank van Suriname)이라는 이름을 달고 등장하였다. 아래 2차부터는 [[네덜란드]]에서 독립한 후 등장한 시리즈에 해당한다. == 2차 == ||||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l021.jpg|width=100%]]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l022.jpg|width=100%]] || || 전 액면 공통앞면 : [[파라마리보]] 혁명 기념비 || 전 액면 공통뒷면 : 대통령 관저 || * ƒ5(청색), ƒ10(적색), ƒ25(녹색), ƒ100(자색), ƒ500(갈색)의 5종이다. == 3차 == ||||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l25.jpg|width=100%]]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l26.jpg|width=100%]] || || 전 액면 공통앞면 : 안톤 드 콤[* 수리남의 작가] || 전 액면 공통뒷면 : [[왕부리새]] || * ƒ5(청색), ƒ10(적색), ƒ25(녹색), ƒ100(자색), ƒ250(청록색), ƒ500(갈색)의 6종이다. == 4차 == |||| || 뒷면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1.jpg|width=100%]] || ƒ5 || 벌목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2.jpg|width=100%]] || ƒ10 || 바나나 수확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3.jpg|width=100%]] || ƒ25 || 안토니 네스티[* 제24회 [[서울 올림픽]] 남자 접영 100m 금메달리스트.]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4.jpg|width=100%]] || ƒ100 || 광물 채굴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5.jpg|width=100%]] || ƒ500 || 석유 굴착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6.jpg|width=100%]] || ƒ1,000 || 쌀 수확 || || [[파일:2000-Gulden.jpg|width=100%]] || ƒ2,000 || (위 5길더와 동일) || || [[파일:66096_A.jpg|width=100%]] || ƒ5,000 || (위 10길더와 동일)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009.jpg|width=100%]] || ƒ10,000 || 알루미늄 공장 || * 앞면 건물은 모두 중앙은행으로 동일한 반면 뒷면 새의 경우 5~2000길더는 흰색왕부리새, 5000~1만길더는 긴부리모기잡이로 다르다. == 5차 (최종) == 역대 수리남 통화 중에서 가장 화려한 편이다. ||||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1.jpg|width=100%]] || ƒ5 || 붉은목딱따구리 || 시계꽃[* 정확히는 긴열매과일시계꽃(Passiflora Quandrangularis), 패션후르츠. ]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2.jpg|width=100%]] || ƒ10 || 녹색멱왕고벌새 || 구즈마니아 링굴라타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3.jpg|width=100%]] || ƒ25 || 흰목큰부리새 || 캐논볼트리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4.jpg|width=100%]] || ƒ100 || 긴꼬리은둔벌새 || 푸르메리아 루브라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5.jpg|width=100%]] || ƒ500 || 기아나루피콜새 || 만데빌라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6.jpg|width=100%]] || ƒ1,000 || 부채머리산적딱새 || 비오라세아난초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07.jpg|width=100%]] || ƒ5,000 || 태양앵무 || 온시디움 파필리오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10.jpg|width=100%]] || ƒ10,000 || 붉은목뿔매 || 클루시아 그란디플로라 || || [[파일:attachment/수리남 길더/surigi111.jpg|width=100%]] || ƒ25,000 || 안경올빼미 || 거미백합 || == 코인 노트 == 동전을 별도로 발행할 여건이 되지 않을때 생산된 지폐로 ƒ1,2½짜리가 있다. [각주] [[분류:옛 통화]][[분류:수리남의 역사]][[분류:2004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