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3> {{{+2 '''수서차량사업소'''}}}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수서차량사업소,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Suseo Train Depot || || 한자 ||<-2> 水西車輛事業所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5길 46-13 (자곡동) || ||<-3> '''시설 관리''' || ||<-3> [[서울교통공사]] || ||<-3> '''개업일''' || ||<-3> 1993년 10월 || ||<-3> '''노선거리표''' || || [[수서역(수도권 전철)|수 서]][br]← 1.2 ㎞ || '''{{{#ef7c1c 수서차량기지[br]인입선}}}''' || {{{#!html
시종착}}}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수서기.png|width=100%]] || || {{{#white 수서차량기지 구내배선도}}} || || [[파일:수서차량기지.jpg|width=100%]] || || {{{#white 수서차량기지 전경}}} || || [[파일:external/a91d1b2bbc3550173a482a7b3bca23c7ed33b9bac979fa1f54a16895d2a0f773.jpg|width=100%]] || || {{{#white 수서차량기지 구내의 모습}}} || '''수서차량사업소'''(水西車輛事業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밤고개로5길 46-13 (자곡동)[* 자곡동 59번지]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차량사업소]] 중 한 곳이다. == 상세 ==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의 321~349편성, 총 29개 편성이 수서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의 유치와 경정비를 담당한다. 중정비는 [[지축차량사업소]]에서 담당한다. 차량기지 내에는 별도로 전철역은 없고 수서역과 연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량기지 구내에 [[분당선]]과의 [[연결선로]]가 있었다. 문서 첫번째 사진인 구내배선도상의 모터카 유치선 앞 341과 334 분기기 사이 지점에서 북쪽(사진 상의 왼쪽) 방향으로 분기했다.[* [[https://blog.naver.com/ianhan/120194163238|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분당선은 [[왕십리역]]까지 연장되기 전까지는 다른 노선과의 연결선로가 없었기 때문에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들은 [[금정역]]에서 [[과천선]]으로 진입해 [[충무로역]]까지 간 뒤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연결선을 타고 수서기지까지 온 뒤 다시 수서기지에 있는 연결선을 통해 분당선으로 집어넣을 수 있었다. [[신분당선]]의 열차도 같은 경로로 들어왔다. 하지만 이 선로는 [[왕십리역]] 연장 개통 이후 불필요해져 폐쇄되었고, 후에 [[수서평택고속선]] 공사를 위해 철거되었다. 그래서 신규 열차들은 왕십리역에서 접속된 [[경원선]]을 통해 곧바로 분당선으로 끌고 온다. 참고로 수서기지는 기지인입선이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 하행 방향(복선), [[가락시장역]]에서 상행 방향(단선)으로 분기한다. 수서역에서 가락시장역으로 갈 때 도중에 터널이 넓어지는 구간이 있는데 이 수서기지 인입선이 연결된 지점이다. 출입구는 [[밤고개로]]5길과 [[자곡로]]에서 바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다. 전자의 경우 SRT 수서역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골목 바로 다음 골목에 수서차량사업소로 진출입하는 골목길이 있다. 후자의 경우 자곡로로 통하는 출입구는 폐쇄되어 있다. == 배속 차량 == 2022년 9월 기준 *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29개 편성 (321편성 ~ 349편성) * 수도권 전철 3호선 총 73편성 중 29개 편성 관리 == 수서차량기지 - 지축차량기지 교차 열번 == 매일 지축기지에서 출고해 수서기지로 입고하는 열번과 그 반대로 수서기지에서 출고해 지축기지로 입고하는 열번이 존재한다. 교차 열번이 존재하는 이유는 본선에서 차량 고장 발생 시 인근 차량기지로 긴급 입고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고장차량 조치 후 본래 배속된 기지로 돌려보내기 위함이다. 그 열번들은 다음과 같다. 2022년 9월 기준 '''평일 지축기지 → 수서기지''' 1. 3020(삼송발 대화행) → 3051(대화발 오금행) → 3122(오금발 대화행) → 3149(대화발 수서행) (총 운행시간: 5시간 35분, 4편도) 2. 3027(구파발발 오금행) → 3098(오금발 대화행) → 3131(대화발 오금행) → 3180(오금발 대화행) → 3201(대화발 오금행) → 3248(오금발 대화행) → 3275(대화발 오금행) → 3334(오금발 구파발행) → 3343(구파발발 오금행) → 3388(오금발 대화행) → 3409(대화발 오금행) (운행시간 17시간 44분, 11편도) 3. 3277(구파발발 오금행) → 3336(오금발 대화행) → 3371(대화발 수서행) (운행시간 4시간 33분, 3편도) '''평일 수서기지 → 지축기지''' 1. 3298(오금발 대화행) → 3337(대화발 오금행) → 3382(오금발 대화행) → 3405(대화발 삼송행) (운행시간 5시간 46분, 4편도) 2. 3304(수서발 구파발행) → 3315(구파발발 오금행) → 3364(오금발 구파발행) (운행시간 3시간 25분, 3편도) 3. 3320(수서발 대화행) → 3357(대화발 오금행) → 3400(오금발 구파발행) (운행시간 4시간 33분, 3편도) '''공휴일 지축기지 → 수서기지''' 3023(구파발발 오금행) → 3064(오금발 대화행) → 3095(대화발 오금행) → 3140(오금발 구파발행) → 3143(구파발발 오금행) → 3190(오금발 대화행) → 3215(대화발 오금행) → 3266(오금발 대화행) → 3291(대화발 수서행) '''공휴일 수서기지 → 지축기지''' 3028(수서발 구파발행) → 3039(구파발발 오금행) → 3080(오금발 대화행) → 3107(대화발 오금행) → 3152(오금발 구파발행) → 3157(구파발발 오금행) → 3202(오금발 대화행) → 3227(대화발 오금행) → 3278(오금발 대화행) → 3303(대화발 오금행) → 3344(오금발 대화행) → 3359(대화발 구파발행) 중정비, 임시검사, 폐차 등을 위한 기지 간 이동은 별도의 임시 열차로 회송 운행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차량사업소]][[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