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공공도서관)] [include(틀:수성구의 공공도서관)] ||<-3> {{{+1 {{{#ffffff '''수성구립고산도서관'''}}}}}} [br] {{{#ffffff '''壽城區立孤山圖書館'''}}} [br] {{{#ffffff '''Suseong Distirict Gosan Library'''}}} || ||<-3>  [br][[파일:고산도서관로고.png|width=80%]][br] || ||<-2> {{{#fff '''표어'''}}} || '''책장에서 꺼내는 나의 꿈''' || ||<-2> {{{#fff '''구분'''}}} || [[대구광역시]] [[수성구청]] [[공공도서관]][* 수성문화재단이 수성구청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영.] || ||<-2> {{{#fff '''관장'''}}} || 서명혜 || ||<-2> {{{#fff '''개관일'''}}} || [[2015년]] [[12월 30일]] 수성구립고산도서관 || ||<|3> {{{#fff '''자료'''}}} || {{{#fff '''도서'''}}} || 154,615권 ([[2023년]] 기준) || || {{{#fff '''비도서'''}}} || 3,944점 ([[2023년]] 기준) || || {{{#fff '''정기간행물'''}}} || 106종 ([[2023년]] 기준) || ||<-2> {{{#fff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650길 6([[신매동]]) || ||<-3> [include(틀:지도, 장소=수성구립고산도서관, 너비=100%, 높이=100%)] || ||<-2> {{{#fff '''홈페이지'''}}} || [[https://library.daegu.go.kr/gosan/index.do|[[파일:수성구 CI.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gosanlibrar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4px -10px" [[파일:수성구립고산도서관.jpg|width=100%]]}}} || || '''{{{#ffffff 수성구립고산도서관 외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 수성구 신매동에 위치해 있는 3번째 구립 도서관. 2015년 개관했다. == 특별한 과정 == [[수성구]] [[시지지구]] 일대에는 도서관이 [[수성구립 고산어린이도서관]] 밖에 없었다. 그것도 [[이마트 시지점]] 지하에다 조그만하게 지어놓고는 숙원사업을 해결했다며 자랑하고 다녔다. 사실 수성구청에서도 제대로 된 도서관을 하나 짓고 싶지만 도서관을 세우기 위한 많은 예산은 구청이 아닌 시청에서 나오기 때문에 뾰족한 수가 없었다. 그리고 시청에서도 [[수성구립 고산어린이도서관]]이 빈약한 것을 알고 제대로 된 도서관을 새로 짓는다는 떡밥만 꾸준히 나오던 차에. 2014년 2월 28일에 신매미래어린이공원에 가칭 고산권 구립도서관이 착공했고 이후 수성구립 고산도서관으로 명칭이 확정되어 2015년 12월 개관했다. 근데 이게 그냥 짓는 게 아니라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21009.010230731410001|2012년에 국제 건축 공모전으로 공모해서]] 고르카 블레스 레빌라라는 사람이 설계했다. 그래서 국내 최초의 스페인풍 도서관으로 자리매김할 뻔 했으나... [[수성구]] 예산부족으로 여기저기 바꾸느라 외형은 비교적 평범한 도서관이 되었다. 건축적으로 특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 특징 == 도서관 내에 개인학습이 금지되어 있다. 이는 수성구립도서관의 전반적인 철칙으로, 주민들의 문화공간을 취지로 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규칙이다. 초반에는 혼돈이 좀 있었던 것 같지만 요즘은 일대에 워낙 스터디카페가 발달하기도 해서 개인학습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수성구립 도서관 중에서는 문화 행사나 이벤트가 가장 알찬 도서관으로, 매주, 매달 다양한 이벤트와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이 덕분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수상을 한 것은 덤. 시지지역이 중고등학생은 물론 초등학생 수요가 많아서 지역주민 참여도도 높은 편이다. 종합자료실의 건축적인 미가 돋보이는 도서관. 천장이 옥상 부분까지 통째로 뚫려있으며, 채광창이 나있어 자료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따뜻한 분위기를 준다. 다만 천장이 높아서 소리가 울리는데, 책을 떨어트린다던지 사서에게 질문을 하는 등 사소한 소리도 넓게 퍼져서 민망할 때도 있다. == 교통 == === 도시철도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매역]] 5번 출구, [[사월역]] 2번 출구 === 버스 === * 고산도서관/시지보성아파트 정류장 * [[대구 버스 309]] * [[대구 버스 403]] * [[대구 버스 449]] * [[대구, 경산 버스 509]] * [[대구 버스 609]] * [[대구 버스 649]] * [[대구, 경산 버스 840]] * [[대구 버스 849, 849-1]] * [[대구 버스 909]] * [[경산 버스 100]] * [[경산 버스 100-1]] * [[경산 버스 399]] * [[경산 버스 990]] * [[경산 버스 991]] [[분류:대구광역시의 도서관]][[분류:2015년 설립]][[분류:수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