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삼니움 전쟁]][[분류:지상전]] [include(틀:삼니움 전쟁의 전투)] [목차] [clearfix] == 개요 == 기원전 343년, [[삼니움]]인과 로마군간의 캄파니아 일대의 패권을 둘러싼 전투. == 상세 == 삼니움인들은 [[가우루스 산 전투]]와 [[사티쿨라 전투]]에서 로마군에게 패배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캄파니아에서 로마군을 몰아내기 위해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다. 당시 카푸아에서 장기 주둔하기 위해 보급품 마련에 분주하던 집정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코르부스]]는 적군이 다가오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자 숙영지와 보급품을 보호하기 위해 상당 규모의 병력을 남겨놓고 나머지 병력을 이끌고 수에술라로 행진했다. 이후 적과 가까운 곳에 숙영지를 세우고 대치했다. 상당한 병력을 카푸아에 남겨둔 채 이동했기 때문에, 로마군 진영은 평소보다 훨씬 작았다. 삼니움 병사들은 이를 보고 지휘관들에게 즉시 공격하자고 주장했지만, 장군들은 뭔가 함정이 있는 게 분명하다고 여겨 섣불리 공격하지 않았다. 그렇게 한동안 대치하던 중 식량이 부족해지자, 삼니움인들은 로마인들이 수적으로 열세하니 섣불리 진영 바깥으로 나오지 못하리라 여기고 식량 수집병들을 들판으로 보내기로 했다. 그렇게 적이 식량 수집에 열중하느라 진영 수비에 큰 신경을 쓰지 않자, 발레리우스는 부하들을 이끌고 삼니움 진영을 급습해 단숨에 점령했다. 그 후 적 진영 다수의 병력을 배치하고 발빠르고 용맹한 병사들을 엄선한 뒤 삼니움의 식량 수집병들을 습격하게 했다. 갑작스런 공격을 받은 삼니움인들은 살해당하거나 뿔뿔이 흩어졌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40,000개의 방패와 170개의 군기가 로마군에 노획되었다고 한다. 그 후 발레리우스는 동료 집정관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코수스와 함께 로마로 귀환해 [[개선식]]을 거행했다. [[파스티 카피톨리니]]의 <개선장군 목록>에는 발레리우스와 코르넬리우스가 각각 기원전 343년 9월 21일과 9월 22일에 삼니움족에 대한 승리를 축하했다고 밝혔다. 이후 로마는 [[기원전 342년 로마군 반란|기원전 342년 캄파니아에 주둔했던 로마군의 반란]]으로 인해 전쟁을 더 지속하기 힘들었고, 삼니움 역시 일전의 패배로 인해 큰 손실을 입어서 전쟁을 벌이기 힘들었다. 이에 기원전 341년 삼니움이 캄파니아와 로마의 동맹을 받아들이고 로마와 삼니움간의 조약을 갱신하기로 하면서 제1차 삼니움 전쟁은 막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