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 해수욕장)]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색깔;padding:12px;" {{{+1 '''폐쇄된 시설 혹은 장소입니다.'''}}}[br][br]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시설 혹은 장소는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 중이 아닙니다.}}} [목차] || [[파일:attachment/수영공항/Example3.jpg]] || || [[수영비행장]] 활주로를 찍은 사진 아래로, 수영해수욕장의 백사장이 보인다. 이 정도가 수영해수욕장이 찍힌 몇 안 되는 사진자료이다. || == 개요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수영강]]과 [[우동천]]에 위치하던 해수욕장이었다. 정확한 폐쇄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80년대 초반까지 해수욕장이 있었으며 88올림픽 경기장 조성을 위해 남아있던 부지마저 모두 매립하여 완전히 사라졌다. 옛 해수욕장 부지는 현재 [[센텀시티]], 벡스코, 올림픽공원, 요트경기장이 들어서 있다. == 상세 == [[동해선]]이 개통되기 전 부산 최고의 해수욕장은 [[송도해수욕장(부산)|송도해수욕장]] 이었다. 하지만 송도해수욕장은 [[원도심(부산)|원도심]]에 위치하고 있었고, 해운대는 개발되기 전이었다. 이 시기에 동부산 사람들이 찾던 해수욕장 중에 가장 컸던 곳이 바로 수영해수욕장이다. 지금의 [[센텀시티]] 앞쪽부터 부산시립미술관을 거쳐 수영만 요트 경기장 앞의 경동 아파트 부근까지가 수영해수욕장이었고, 백사장의 경사가 완만한데가 넓어서 동부산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해수욕장이었다. 또 수영 해수욕장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기수를 이용하던 해수욕장이었는데, 길이 1㎞, 폭 30m로 물이 맑고 수심이 얕아 많은 피서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1940년]], 군공항이 필요해진 일제에 의해 수영해수욕장의 동측만 남겨둔체 서측을 매립하고 그 위에 [[수영비행장]]을 만들었다. 이후 수영해수욕장에서는 이착륙하는 비행기를 매우 가깝게 볼 수 있었다. 수영비행장에 의해 규모가 절반 이상 축소되었고 [[우동천]]에서 흘러내려오는 오염된 물로 인해 해수욕장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우동항 조성으로 동측 끝지점이 매립되어 사라졌고 1980년 초반 [[88 서울올림픽]] 경기장을 만들기 위해 남아있던 곳을 모두 매립되어 동부산의 대표 피서지였던 수영해수욕장은 완전히 사라졌다. == 근황 == 군용비행장으로 활용이 되던 수영비행장은 [[1958년]] [[수영공항|부산국제공항]]으로 변경되어 군사 겸용 여객공항으로도 이용되었다. 하지만 부지가 협소해 여객은 1976년 [[김해공항]]으로 이전하여 다시 군사공항[* [[69사단]]이 주둔했었다.]이 되었다가[* 이 때문에 폐쇄 전까지 수영구 등에서는 소닉붐을 들을 수 있었다.] [[1996년]]을 마지막으로 [[수영공항]]은 폐쇄되었다. 이후 컨테이너 야적장으로 쓰였으며 [[센텀시티]]로 개발이 되었다. 도로 바닷가로 되돌리는 데에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소요되어 복원될 가능성은 없다. [[분류:해운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