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아랍어]] {{{+1 السويداء }}} [[영어]] As-Suwayda [[시리아]] 남부의 도시로, 동명의 주의 치소이다. 해발 1080m 의 자발 엘드루즈 고원에 위치하며, 인구는 약 10만명이다. 주민 대부분은 [[드루즈교]]도지만 그리스 정교회 기독교도 역시 적지 않다. 시내에는 로마 유적이 다수 남아있다. [[시리아 내전]]기 정부군 수중 하에 유지되었다. 다만 드루즈 민병대의 습격이 있었고, 거기에 [[다에시]]의 연쇄 테러까지 겹쳐 다수의 민간인 피해가 있었다. 2020년대 현재까지도 반정부 시위가 종종 벌어진다. 별명으로 '작은 [[베네수엘라]]'가 있는데, 20세기 초 베네수엘라로 이민 갔던 현지 출신들의 후손이 21세기 들어 다수 귀국해 정착했기 때문이다. == 역사 == 하우란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나바테아]]인들이 세웠고, '수아다'라 불렸다. 일대는 포도 재배가 활발했기에, [[헬레니즘]]기에는 포도주의 신 [[디오니소스]]에 헌정된 디오니시아스 (Διονῡσιάς)로 명명되어 '디오니시아스 소아다'로 불렸다. 디오니소스는 기존의 아랍 계열 신인 두샤라와 연동되어 숭배되었다. [[로마 제국]]기 아라비아 속주에 편성되었고, 180년대 [[콤모두스]]의 치세에 키비타스 (시민권)를 부여받았다. 기독교 전래 후에는 [[보스라]] 산하 주교구가 되었고, 635년경 [[가산 왕국]]의 멸망과 함께 [[이슬람 제국]]령이 되었다. 13세기의 지리가 야쿠트 알 하마위는 하우란의 소도시로 언급하였다. [[오스만 제국]]기 도시는 마즈달 사우다로 표기되었고, 하우란 산작에 속하였다. 1596년 기준 10여 가구가 살았고, 6천 악체의 세금 중 3/4는 와크프 (기금 재단)로 쓰였다. [[시리아 내전]]기 수와이다는 인근 다라와 달리 반군에 점령되지 않고 정부군 수중에 남았다. 2018년 ISIL 의 연쇄 폭탄 테러로 3백 가까운 희생자가 났다. 2020년 들어서는 종종 경제난 타개, 민주화를 외치는 반정부 시위가 벌어지고 있다. [[분류:시리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