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파일:수원787.jpg|width=9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수원시 CI_White.svg|width=15]] {{{#ffffff 수원시 일반시내버스 787번}}} || ||<-2><:>기점||<:>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수원역.AK플라자)||<-2><:>종점||<:>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수원북부공영차고지)||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30|| ||<:>막차||<:>00:00||<:>막차||<:>00:30|| ||<-2><:>평일배차||<:>15~20분||<-2><:>주말배차||<:>15~20분|| ||<-2><:>운수사명||<:>[[경진여객]]||<-2><:>인가대수||<:>5대|| ||<-2><:>노선||<-4><:>수원역.AK플라자 - 수원여고 - [[화서문]] - [[장안문]] -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 [[수원 한일타운|한일타운]] - 파장동삼익아파트 - 경기도인재개발원 - [[수원북부공영차고지]]|| == 개요 == 경진여객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이다. == 역사 == * 본래 2017년 4월에 개통될 예정이었으나, [[성우운수]]의 반발로 인해 연기되었다. * 2017년 7월 3일에 신설되었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infra&no=74175|관련 게시물]] 차량은 모두 [[수원 버스 777|777번]]에서 가져왔다. * 777번을 감차하면서 신설된 노선이여서인지 정작 본선인 777번은 배차간격이 길어져 심하면 '''20분'''까지 보게 되는 때도 있었다.[* 그나마 수원시내 구간은 310번, 의왕, 안양구간은 900번이라는 대체 노선이 있지만 문제는 수원에서 인덕원역, 과천, 남태령, 사당역이 777번 노선만 단독운행 하는터라 피해가 컸다. 수원 - 남태령 - 사당 직행은 원래부터 [[수원 버스 7770|7770번]]이 메인이고, 수원 - 인덕원 - 과천은 900번을 타고 의왕에서 [[서울 버스 441|441번]]이나 [[서울 버스 502|502번]]으로 환승하면 되긴 한다.] 이 때문인지 787번은 점점 운행할 의지가 없어지는 것은 물론 파행운행이 지속되다가 2017년 12월 14일부터는 아예 운행이 중단되어 사실상 휴업 상태가 되었다. [[http://www.kyeonggi.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424782|관련 기사]] ~~[[수원여객]]식 노선 신설 후 폐선 방식을 배워서 따라하고 있는 모습이다.~~ * 이후 일자 미상으로 GBIS에서도 사라지면서 사실상 완전히 폐선된 것으로 보인다. == 특징 == * [[수원 버스 900|900번]]이 좌석버스에서 일반시내버스로 전환하고, [[수원 버스 310|310번]]의 대량 증차로 인해 777번의 수원시내 수요가 줄어들어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설한 노선이었다. 노선은 [[수원 버스 777|777번]]의 '수원역 - 파장동' 모든 구간이 중복되어 사실상 777번의 보조 내지는 지선이었던 셈이다. * 경진여객 최초로 수원 시내에서만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 뉴 슈퍼 에어로시티 5대(경기 70사 1540~4)로 운행했다. 그러나 이 차량들은 777번에 복귀하지 않고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주차장에 방치되다가 2018년 중반에 들어서야 일부가 복귀한다.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원역]] *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 관련 문서 == * [[수원시 버스 목록/폐선]] [[분류:수원시의 시내버스]][[분류:201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7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