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바로 옆에 있는 수원시 공영차고지, rd1=수원동부공영차고지)] [include(틀:수원시의 버스 차고지)] [[파일:광교영업소.jpg]] [목차] == 개요 == [[KD 운송그룹]] 시내부 소속 영업소. 대표전화는 031-212-6657이며, 주소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호수로 252([[광교동|하동]] 1007)이다. [[http://me2.do/I5PGaOI3|네이버 거리뷰]] 2010년 [[광교신도시]] 개발에 맞추어 신대저수지 앞에 착공했다. [[수원동부공영차고지]]와는 사실상 같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두 차고지가 붙어 있다.[* 그냥 울타리를 바로 옆에 두고 나뉘어 있다. 다만 동부차고지는 수원시가 건설한 것이고 이 쪽은 KD 운송그룹이 건설한 [[자가차고지]]이다.] 2011년 중반에 완공됐으며 이와 동시에 [[대원고속]] 65번의 기점이 이곳으로 변경됐고 기존 경기대영업소는 폐쇄되면서 거기서 관리하던 노선들이 주박 용도로 모두 이곳으로 이전했다. 다만 과도기에는 경기대 후문 앞에 임시차고지를 두어 광교차고지-경기대 간 공차회송 후 경기대 앞에서 대기하다가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행했었다. 그러다 2011년 9월, 수지지구 버스 대개편을 통해 모든 경기대영업소 소속 노선들의 출발지가 광교영업소로 변경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시에 임시로 조성한 경기대차고지도 사라졌다. 소속 노선들이 주요 [[수지구|대]] [[영덕동|수요처]]를 무시하고 전면 및 후면에 기점을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광교'''라고만 해놓고 다닌다]].[* 이건 경기대 종점인 시절에도 마찬가지였다. GBUS 개편 전에는 잘만 표시하고 다녔는데 개편 이후 수원 경기대를 크게 써놓고 다녀서 낚시질이 심했다. 정작 수원에서 타는 사람은 없다.] 다만 예외가 있는데 65번의 경우 흥덕지구를 기점으로 해놓고 다니며~~다만 광교호수공원을 표기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흥덕(광교)라 해놓고 다니는 식.~~ 2018년 여름에 상현역으로 연장된 M4101번의 경우 대수요처인 수지를 무시하고 '''광교 상현역'''이라고 표기했다. 이쪽은 실질적으로 M5115번이라는 기종점이 유사한 노선이 있어서 더 우려되는 상황.[* 심지어 해당 차고지에서 주박만 하는 M5115번도 '''광교(호수공원)'''이라고 붙여놓는다.] 실제로 이로 인해 잡음이 있어서 5006번과 5007번도 기점부를 '''광교(호수공원)'''으로 표기하고 다니다가, 흥덕지구 주민들이 흥덕 노선[* 출발지가 광교로 바뀌었음에도 이 노선의 주 수요처는 여전히 흥덕지구이다.]에 왜 광교를 써붙이고 다니냐고 민원을 넣어 결국 '''흥덕지구(광교)'''로 행선판이 변경됐다. 이후 6900번이 공공버스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용인시의 지시로 1550번, 1570번, 5500-2번, 6900번도 '''"수지 광교"'''로 행선판이 변경됐다. 다만 5006, 5007번을 제외하고는 LED 표시는 여전하다. 의외로 이런 행선판 낚시질은 [[KD 운송그룹]]의 종특이며 1151번의 '''죽전''' 표시도 같은 맥락이다. 경기대영업소 시절에는 대부분 연식이 안 좋았지만 광교영업소로 바뀌고 연식이 상향되어 꽤 좋아졌다. 특히 가스 충전소가 설치된 것이 연식 상향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는데, 광교차고지 완공 직전부터 기존 구형 로얄럭셔리들을 빼고 8906번 출신 FX II 116 디젤 신차[* 8906번 감차분으로 들여온 차량들이다.]를 투입했을 정도. 그리고 상당수의 타사 인수분 현대버스를 이 영업소로 끌고 왔다.[* 에어로 스페이스는 [[명진여객]]과 [[선진고속(1954년)|선진고속]] 인수분으로 9001번에서 운행하다가 여기로 넘어왔고, 유니버스는 [[경기버스]] 7007번에서 넘어온 차량과 [[서울여객(고양)|신성운수]]에서 3200번, [[명성(버스회사)]]에서 9600번을 인수하면서 넘어온 차량이다.][* 하지만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의 국내공장 가동 중단과 경기도 공공버스로 인해 다른 영업소에도 현대차가 투입됐다.] 왜냐하면 광교영업소에서 [[자일대우버스]]는 물론 현대버스도 경정비 뿐만 아니라 1급 정비, 중정비도 가능하다고 해서 차량 관리를 수월하게 하기 위해 끌고 온 것으로 추측된다.[* [[KD 운송그룹]] 영업소 중에서 [[현대자동차]] 1급 정비, 중정비도 담당할 수 있는 영업소가 [[내촌영업소]], 광교영업소이다.] 그래서 직행좌석버스에는 현대버스가 자주 보였던 편. 또한 분당이나 다른 영업소에서 쓰던 가스차들이 많이 넘어왔다.[* 물론 [[수원대영업소]]나 [[광주영업소]] 등에 충전소가 생기면서 차량 이동이 추가로 더 일어나는 양상이 보이기도 했다.] 또한 가스충전소의 영향 때문인지 이 영업소가 관할하던 65번은 종전에 운행하던 디젤 차량을 다른 영업소와 명진여객을 비롯한 계열사로 보내고 대신 다른 영업소에서 천연가스버스를 차출해서 주력 차량으로 바꿨을 정도였다.[* 그러다가 2015년부터 기존 차량을 폐차시키면서 다시 디젤버스가 주력이 됐다.] 전반적으로 광교영업소 소속 노선이 [[신분당선]]의 광교 연장 이후 대거 타격을 받았다. 기존의 노선도 승객이 줄어 운행대수가 줄어들었고 심지어 몇몇 노선은 폐선됐다. 그래서 희망자에 한해 광교영업소 소속 기사들은 타 영업소로 전출시켰고 감차된 차량들은 구형차량 말소 과정에서 거의 대부분 타 영업소로 전출됐는데, 2015년에 뽑은 전문형 차량들이 주로 기존 차량들의 내구연한이 만료된 [[광주시]] 쪽으로 전출되고 한때 신차 1순위 투입이었던 영업소 명성이 무색하게 다른 곳에서 쓰던 구형 차량들을 대거 투입했다. 2018년 10월에는 해당 차고지 소속 노선에 [[2층버스]]도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9년 3월부터 직제상 본 영업소에서 [[수원버스터미널]]을 관리한다. 그래서 [[광역급행버스 M5342|M5342번]]의 소속이 이 영업소로 되어 있다. 2021년 1월에는 G BUS 신도색 차량이 들어왔다.[* 18년식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이며 중문이 달려있다.] 단, 신차가 아니라 공공버스 전환에 따라 9407번의 운행권이 대원버스로 바뀌자 [[대명운수]]가 차량까지 통째로 KD 운송그룹으로 넘기면서 딸려온 차량이다. 이후 대광위 준공영제와 공공버스 편입으로 유니버스 프라임 신차가 계속 들어오고 있으며, 2022년부터 소속 노선에 대량으로 신차가 투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영업소 소속 노선들은 대광위 이관 여부와 관계없이 거의 모든 차들이 대광위 도색으로 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담으로 M4101번을 제외한 이 영업소 소속 노선들은 저속 끝판왕인 [[화성여객]][* 예외적으로 [[화성 버스 720-3|720-3번]]은 굴곡과 장거리 노선으로 인해 근무 강도가 높아서 기사들이 엄청나게 밟고 다닌다.]과 대부분의 남양주 소속 버스[* 특히 [[땡큐버스]], [[마석순환버스]], [[남양주시의 공영버스|남양주 공영버스]]와 [[남양주 버스 65-1|남양주 65-1번]]이 가장 느리기로 악명 높다.]와 함께 매우 느린 축에 속한다. == 소속 노선 == 주박만 하는 노선은 ★표시로 구분. === [[경기고속]] 소속 === * [[광역급행버스 M4101]]★ * [[광역급행버스 M5115]]★ === [[대원고속]] 소속 === * [[경기광주 버스 65]] * [[경기광주 버스 660]] * [[용인 버스 1550]] * [[용인 버스 1570]] * [[용인 버스 5006]] * [[용인 버스 5007]] * [[용인 버스 5500-2]] * [[광역급행버스 M5342]][* 노선 관리만 광교영업소 산하 수원시외영업소에서 하며 실질적인 주박과 가스충전은 [[화성영업소]]에서 진행한다.] * [[광역급행버스 M5422]]★ *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43]] === [[대원버스]] 소속 === * [[용인 버스 6900]] === [[평택버스]] 소속 === * [[평택 버스 6800]]★[* 차량은 [[지제영업소]]와 반반씩 나눠서 동시에 주박한다.] [[분류:경기도의 버스차고지]][[분류:KD 운송그룹/영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