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수원시)] [include(틀:수원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목차] ==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 [[마한]]의 54소국 중의 하나인 모수국(牟水國)이었다. 이후 [[백제]] 땅이었다가, [[고구려]]가 백제를 [[한강]] 이남에서 몰아낸 이후 매홀군(買忽郡)으로 개칭되었다. [[진흥왕]]에 의해 신라에 편입됐고 [[9주 5소경]] 중 [[한주]]에 속했으며 [[통일신라]] [[경덕왕]] 때 수성군(水城郡)으로 개칭되었다. == [[고려시대]] == [[태조(고려)|태조 신성대왕]] 때인 940년 수주군(水州郡)으로 개칭하였다. [[강종(고려)|강종 원효대왕]]의 등극 전 봉지가 바로 현 수원시였다.[* 당시는 한남군(漢南郡), 작위는 한남[[공작(작위)|공]].] == [[조선시대]] == 1413년([[태종(조선)|태종]] 13년)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로 개편되어, 현재의 수원이란 명칭이 확립되었다. 한편 현재의 평택시 [[안중읍]] 일대를 관할하는 용성현을 흡수하였다. [[조선]] 중기까지 한적한 촌락에 불과하던 수원은 [[정조(조선)|정조]](正祖)가 아버지인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 영우원(永祐園)을 양주에서 수원의 화산(華山/花山)으로 이전하여 [[융건릉|현륭원]](顯隆園)으로 개칭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원래 있던 수원부 치소와 시가지를 현재의 [[수원화성]]으로 옮겨버리고, 그 자리에 현륭원을 조성한 것. 그로 인해 연구가들이 옛 수원의 연구에 애를 먹고 있다. 현재의 화성시 화산동([[안녕동]], [[송산동(화성)|송산동]] 일대) 지역이 바로 옛 수원의 중심지였다.[* 즉 정조의 수원화성 축조 이전까지 오리지널 수원의 중심지는 현 수원시가 아닌 화성시 화산동 일대였다는 것이다. --거꾸로 수원화성은 화성시에 없고 수원시에 있다.-- 마침 오리지널 수원의 중심지 근처인 화성시 봉담읍에 [[수원대학교]]가 있다. --[[행정구역 개편/경기권/수원광역시|통합]]을 해야하는건가--] 그 와중인 1789년 [[광주시/역사|광주유수부]]의 일용면[* 현재의 [[장안구]] [[영화동(수원)|영화동]], [[조원동(수원)|조원동]], [[상광교동]], [[하광교동]], [[송죽동(수원)|송죽동]], [[정자동(수원)|정자동]], [[파장동]] 등] 과 송동면[* 현재의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송라리, 원리]을 편입하였다.[* [[견아상입지]]여서 [[성남시]]나 [[광주시]] 및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강동구]] 등 성남/광주권 지역이나 서울 [[서울/강동|강동]]권 지역과는 연계성이 거의 없다. 당시 송동면은 광주군 [[반월면|북방면, 성곶면, 월곡면]]과 접했고, 일용면은 [[의왕시|의곡면, 왕륜면]]에 접했으며, 이 지역들은 모두 인접한 타 군으로 편입되었다.] 이원(移園)과 함께 도시 방어를 위한 수원 화성과 왕의 능행차 시 묵었던 [[화성행궁]]이 건립되었다. 그리고 정조는 자신의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수원에도 배치시키고, 상업을 발전시켰다. 수원 역시 도호부에서 유수부로 승격되어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또한 다른 곳에서는 종2품을 두던 유수부였지만, 수원유수는 정2품으로 한성부판윤과 동급이었다.[* 이것은 오늘날로 치면 수원광역시를 사실상 수원특별시로 승격, 취급한 셈이다. 물론 당연히 오늘날의 수원은 특별시는 커녕 광역시도 못 되는 상황이라...] 그러나 정조의 죽음으로 수원은 쇠퇴하고, 정조가 수원에 베풀던 특권 역시 폐지되었다. 다만, 유수부라는 지위는 박탈당하진 않았다...만 이마저도 1895년 [[23부제]] 시행으로 인해 인천부 수원군으로 강등된다(...). == [[일제강점기]] == [[파일:attachment/수원시/역사/suwon1914.jpg|width=500]] 1914년 당시 수원시 일대 1914년 [[조선총독부]]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현재의 수원 생활권이 확정되었다. 남쪽의 넓은 지역[* 현재 [[평택시]] 안중읍·포승읍·오성면·청북면·현덕면의 일부와 고덕면의 일부, 서탄면 황구지리에 해당하는 지역. 해당 지역 중에서는 현재의 [[천안시]]인 직산군의 영역 또한 있었기에 이쪽은 약간 천안과 교류가 많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을 [[진위]]군에 내주고, [[남양군]]의 육지 지역[* [[제부도]]와 국화도 일대를 제외한 도서 지역([[대부도]], [[영흥도]] 등)은 통째로 [[부천시|부천군]]에 이관되었다.]과 [[안산시|안산군]] 일부, [[광주시|광주군]] 일부를 가져왔다. 대충 [[의왕시]]와 안산시 남동부까지 영역을 확장한 것. 이 시기에 옛 수원군과 남양군 시절 면들의 통폐합이 이루어져, 남부면·북부면이 수원면으로, 태촌면·장주면이 태장면으로, 안녕면·용복면이 안용면으로, 일용면·형석면이 일형면으로, 음덕리면·둔지곶면·화척지면이 음덕면(해방 이후 남양면으로 개칭, 현 [[화성시]] [[남양읍]]) 등으로 통합되었다. 이 중 현재의 수원시 영역은 1914년 당시 수원면(팔달구 매산동, 매교동, 행궁동 일대), 일형면(장안구 전역 및 권선구 구운동, 서둔동, 팔달구 고등동, 화서동 일대), 안용면 일부(권선구 서남부), 태장면 일부(권선구 권선동, 팔달구 동부 및 영통구 일대) 등의 영역에 해당된다. 당시 [[화성행궁]] 내의 낙남헌을 수원[[군청]]으로 사용했다.[* 이후 (시기 미상) 북수동([[행궁동]]) 후생병원 자리로 이전됐다.] [[파일:수원읍 로고.png]] 일제강점기 당시 수원읍의 로고. 1937년에 정해졌다. 1931년 수원면이 수원읍으로 승격되었다. 이때에 수원에 일본식 지명이 도입되었다. || 1930년([[쇼와|소화]]5년) 조선총독부령 제103호(1931년 4월 시행) || || '''개편 전''' || '''개편 후''' || ||<|2>수원면 남창리 ||수원읍 남창정 || ||수원읍 본정3정목 || ||<|3>수원면 남수리 ||수원읍 남수정 || ||수원읍 매향정 || ||수원읍 본정4정목 || ||<|6>수원면 산루리 ||수원읍 궁정(宮町) || ||수원읍 남부정(南部町) || ||수원읍 본정1정목 || ||수원읍 본정2정목 || ||수원읍 구천정 || ||수원읍 영정 || ||<|3>수원면 매산리 ||수원읍 매산정1정목 || ||수원읍 매산정2정목 || ||수원읍 매산정3정목 || ||수원면 북수리 ||수원읍 북수정 || ||<|2>수원면 신풍리 ||수원읍 신풍정 || ||수원읍 장안정 || 1936년 일형면, 안용면, 태장면의 각 일부를 수원읍에 편입하였다. 이때 일형면의 잔여지역은 북쪽의 [[의왕시|의왕면]]과 통합하여 일왕면으로 개칭되었다. ||<-2> 1936년([[쇼와|소화]]11년) 조선총독부령 제94호 || || '''개편 전''' || '''개편 후''' || ||일형면 고등리, 동리, 지소리, 영화리, 서둔리 ||수원읍 고등정, 화서정, 지소정, 영화정, 서둔정 || ||태장면 지리, 인계리 일부, 인계리 일부 ||수원읍 지야정(池野町), 인계정, 우만정 || ||안룡면 평리 일부, 세리 ||수원읍 대평정(大坪町), 세류정 || ||일형면 상광교리, 하광교리, 조원리, 파장리, 정자리, 송죽리, 이목리, 율전리, 천천리, 구운리, 탑리 ||<|2>일왕면 상광교리, 하광교리, 조원리, 파장리, 정자리, 송죽리, 이목리, 율전리, 천천리, 구운리, 탑리(이상 현재의 수원시 지역), 학의리, 포일리, 내손리, 청계리, 오전리, 이리, 삼리, 왕곡리, 고천리(이상 현재의 의왕시 지역) || ||의왕면 학의리, 포일리, 내손리, 청계리, 오전리, 이리, 삼리, 왕곡리, 고천리 || 1941년, 성호면이 [[오산시|오산면]]으로 개칭되었다. == [[대한민국]] == [[파일:attachment/수원시/역사/suwon1949.jpg|width=500]] 1949년 8월 14일 수원읍이 '''수원부'''로 승격되면서(바로 다음날인 1949년 8월 15일 '''수원시'''로 개칭), 수원군의 잔여지역이 '''[[화성시|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이와 동시에 수원의 일본식 지명이 정리되었다. || [[1949년]] 대ㅣ통령령 제161호 || || '''개편 전''' || '''개편 후''' || ||수원군 수원읍 본정(本町)1정목 ||수원부 중동 || ||수원군 수원읍 본정2정목 ||수원부 팔달로3가 || ||수원군 수원읍 본정3정목 ||수원부 팔달로2가 || ||수원군 수원읍 본정4정목 ||수원부 팔달로1가 || ||수원군 수원읍 남창정 ||수원부 남창동 || ||수원군 수원읍 영정 ||수원부 영동 || ||수원군 수원읍 구천정 ||수원부 구천동 || ||수원군 수원읍 남수정 ||수원부 남수동 || ||수원군 수원읍 매향정 ||수원부 매향동 || ||수원군 수원읍 북수정 ||수원부 북수동 || ||수원군 수원읍 장안정 ||수원부 장안동 || ||수원군 수원읍 신풍정 ||수원부 신풍동 || ||수원군 수원읍 남부정(南部町) ||수원부 매교동 || ||수원군 수원읍 궁정(宮町) ||수원부 교동 || ||수원군 수원읍 세류정 ||수원부 세류동 || ||수원군 수원읍 대평정(大坪町) ||수원부 평동 || ||수원군 수원읍 서둔정 ||수원부 서둔동 || ||수원군 수원읍 매산정1정목 ||수원부 매산로1가 || ||수원군 수원읍 매산정2정목 ||수원부 매산로2가 || ||수원군 수원읍 매산정3정목 ||수원부 매산로3가 || ||수원군 수원읍 고등정 ||수원부 고등동 || ||수원군 수원읍 화서정 ||수원부 화서동 || ||수원군 수원읍 영화정 ||수원부 영화동 || ||수원군 수원읍 지소정(紙所町) ||수원부 연무동 || ||수원군 수원읍 지야정(池野町) ||수원부 지동 || ||수원군 수원읍 우만정 ||수원부 우만동 || ||수원군 수원읍 인계정 ||수원부 인계동 || [[파일:attachment/수원시/역사/suwon1963.jpg|width=500]] 1963년 화성군 태장면, 안용면, 일왕면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시역(市域)이 대폭 확장되었다.[* 이때 태장면, 안용면의 잔여지역은 통합되어 태안면(훗날의 [[태안읍(화성)|태안읍]], 현재의 [[병점동|병점]] 일대)이 되었으며, 일왕면은 옛 [[의왕시|의왕면]] 영역만 남게 되어 다시 의왕면으로 명칭을 회복하고 [[시흥군]]으로 넘어갔다.] 1967년 [[서울특별시]]에 있던 [[경기도청]]이 수원시로 이전됐으며[* 당대의 지역구 국회의원 [[이병희(1926)|이병희]]가 삭발시위까지 하여 유치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1970년 북수동(행궁동) 후생병원 자리에 있던 화성군청이 [[오산시|오산읍]]으로 이전됐다.[* 이후 화성군청은 2000년 남양읍으로 이전하였고, 현재 이 자리에는 [[롯데마트]] 오산점이 들어섰다.] [[파일:attachment/수원시/역사/suwon1987.jpg|width=500]] [[파일:수원시 휘장(~2000).png|width=40%]] 1963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된 수원시 휘장. 1983년 용인군 수지면 [[이의리]], 하리를, 1987년 화성군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현 금호동 지역)를 편입[* 사실 [[금곡동(수원)|금곡동]]이나 호매실동은 매송면과는 별로 연관이 없다. [[칠보산]]을 넘어가야 매송면사무소가 있는 어천리가 나오기 때문에 오히려 구운동 지역과 더 연관이 있다.]하면서 시역을 계속 넓혀 갔다. 1988년 구제가 실시되어 [[장안구]]와 [[권선구]]로 분구되었다. 1993년 장안구와 권선구의 일부를 [[팔달구]]로 분구하였다. 일반구를 최초로 설치한 [[부천시]]보다 6개월 늦게 분구됐다. 1994년 12월과 1995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화성군 반월면 입북리, 당수리, [[태안읍(화성)|태안읍]] 영통리, 신리, 망포리 및 용인군 기흥읍 영덕리 일부(현 영통지구의 황골마을 및 청명마을 일부)를 편입했다. 2003년 팔달구 일부를 [[영통구]]로 분구하였다.[* 이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장안문]]이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장안구에 있지 않게 되었다]]. 왜냐하면 영통구가 분구됨과 동시에 북수동, 장안동, 신풍동, 화서동이 팔달구 소속으로 개편되었기 때문. 이외에도 매교동, 교동, 매산로1~3가, 고등동이 권선구 소속에서 팔달구 소속으로 개편되었다.] [[김용서|모 시장]]이 수원시를 [[토요타시]]처럼 삼성시로 바꾸겠다는 헛소리를 지껄였다가 진보/보수 막론하고 크게 욕을 먹었다. 2012년 [[왕송호수공원]]을 중심으로 [[의왕시]]와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0024779|경계조정이 이루어졌다.]] 2019년 9월,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일부(청명센트레빌, 영통업타운코트더테라스 일대)가 영통구 영통동에, 영통구 원천동 일부(나촌말삼거리 일대 중 중부대로 북쪽 지역)가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에 맞교환 방식으로 편입돼 경계가 조정됐다. 2020년 7월 24일, 화성시 반정동 일부([[땅거스러미]] 형태로 나있는 반정4지구 예정 일대)가 영통구 망포동, 영통구 신동 및 권선구 곡반정동에, 영통구 망포동 일부(망포2지구 일부, 망포고등학교 서쪽 지역)이 화성시 반정동에 맞교환 방식으로 편입돼 경계가 조정됐다. [[일제강점기]]에 화성행궁이 철거되고, [[2차대전]] 종전 이후 [[한국전쟁]]으로 화성마저 총탄과 포격 등으로 심한 피해를 입는 등 수난을 겪었으나, 현재는 화성과 화성행궁의 대부분이 복원된 상태이다. 2022년 1월 13일 [[대도시 특례/특례시|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관련 문서 == * [[화성시/역사]] [[분류:향토사]][[분류:수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