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제주 수월봉.jpg|width=200]] [목차] == 개요 == '''수월봉'''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에 위치한 [[오름]]이다. 지질학적으로는 [[화산]]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수성작용을 동반한 [[응회암]]의 층리를 보여주는 응회환(tuff ring)에 속한다. 수월봉은 제주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행정구역상으론 한경면 고산리에 속해 있다. == 상세 == 수월봉은 제주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오름으로 정상위에는 고산기상대가 위치해 있다.[* 제주도 가장 동쪽에 위치한 오름은 [[성산일출봉]]이다.] 고산기상대에선 날씨를 관측하고 있다. 또한, 수월봉은 뒤쪽에 [[한라산]]이 위치해 있고 서쪽 해안에는 [[차귀도]]가 있어서 수월봉을 통해 차귀도를 바라볼 수 있다. 수월봉은 [[응회암]]이 존재하는데 수월봉의 화산쇄설층은 천연기념물 513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날씨가 좋으면 [[가파도]]와 [[마라도]]를 바라볼 수도 있다. 수월봉의 화산쇄설층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국제 화산학 백과사전에 등재된 곳이다. 2021년 12월 14일 발생한 [[2021년 서귀포 해역 지진|지진]]으로 인해 일부가 무너져 내리는 피해아닌 피해를 입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56&aid=0011176573|관련 기사]] == 기타 == 한국 정부에서 웃산전굴·북오름굴·대림굴·소천굴, 수월봉·[[차귀도]]·용머리해안을 포함한 지역들을 추가로 [[세계유산]]에 등재를 시도하고 있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5/0200000000AKR20160705080800056.HTML?input=1195m|#]]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산]][[분류:제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