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분류: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밈]]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ylon_SC2-LotV_Cine1.jpg|width=33%]][[파일:external/gaetm.free.fr/SC2_LotV_Pylon.jpg|width=45%]][[파일:SC_FM_pylon.jpg|width=22%]][* 가운데 수정탑의 모델링은 [[아둔의 창]]의 함교에서 볼 수 있으며 클릭하여 활성화, 비활성화할 수 있다.] >{{{+1 '''수정탑'''}}}, 水晶塔 Pylon, [[파일런]] >---- >[[프로토스]]의 고향에서만 발견되는 성스러운 [[케이다린 수정]]을 깎아서 만든 수정탑은 [[연결체]]로부터 발산되는 사이오닉 에너지망에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중에 떠 있는 수정탑은 자신의 힘이 미치는 모든 프로토스 건물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수정탑의 위치를 적절하게 구성하는 것은 프로토스 식민지를 빠르게 건설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You must construct additional pylons(수정탑이 더 필요합니다.).''' >수정탑이 더 필요하다. - 아나운서 아르타니스 음성 >나라면 수정탑을 더 소환할 것이다. - 아나운서 알라라크 음성 >보급품, 부족함. 수정탑. '''비효율적임'''. - 아나운서 아바투르 음성 >아마도 수정탑이 더 있어야 할 겁니다. - 아나운서 노바 음성 >(호너)수정탑이 더 필요합니다. (한)수정? 그게 뭐야? - 아나운서 한과 호너 음성 >수정탑을 더 소환해! '''[[4차원관문|전진 수정탑]]'''도 괜찮고! - 아나운서 [[D.Va]] 음성 >아, 보급품이 부족합니다. 파일런을 건설해야죠. {{{#brown 저그는 [[대군주(스타크래프트 시리즈)|오버로드]] 정찰 나갔다가 죽거나 뭐 그런 경우가 있는데 프로토스는 아니에요. 저그에 비해 변수도 적은데 관리를 잘해야 됩니다!}}} - 아나운서 전용준&엄재경 음성 >인구수가 막혔습니다. 수정탑 빨리 지으세요! {{{#dodgerblue 혹시 아까 수정탑이 하나 터졌나요?}}} - 아나운서 전용준&김정민 음성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프로토스]] 건물. 프로토스에게 정신력과 에너지를 제공하는 건물로 파일론의 원 의미는 전력 공급용 [[송전탑]]이다. 분파에 따라 [[케이다린 수정]], 아르거스 수정, [[혈석]] 수정, [[태양석]] 등으로 건설한다. 설정 상 수정으로 사이오닉 에너지를 공급하는 하이테크의 결정체이고, 실제로 게임 상에서도 이 수정탑이 주변에 없으면 건물을 지을 수 없다. 만약 건물이 이미 존재하는데 [[장비를 정지합니다|수정탑이 파괴되면 건물의 작동이 정지된다.]] [[테란]]의 얄팍한 지식으로는 절대로 수정탑을 다룰 수 없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뫼비우스 특전대]]나 [[사미르 듀란|누군가]]의 비밀 용병들 등의 테란들이 수정탑으로 정지장 따위를 만들어내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물론, 게임 상에서 수정탑을 다루던 테란 일당들은 [[아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어떤 더 위대한 힘]]의 영향을 받고 있었기에 순수 테란기술로 파일론을 조작했다고 보긴 어렵다. 프로토스의 보급품인 정신력을 늘려 주는 건물이고 [[연결체]], 수정탑, [[융화소]]를 제외한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범위 내에 있는 건물들에 전원을 공급하기에 건물 주위에 있던 수정탑이 모조리 박살나면 건물들이 동력 끊김(Unpowered)상태가 되어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가끔씩 수정탑만을 노려서 건물들을 무력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니 취약지점인 경우 여러 개 범위가 겹치도록 지어 놓는게 좋다. 당연한 얘기지만 아군의 수정탑만이 동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적이나 동맹의 수정탑은 동력을 전할 수 없다. 점막 위면 피아상관없는 저그와는 대조적이다. 건물의 성능 특성상 이 수정탑을 지키는 [[RPG]] 계열 유즈맵이 소수 존재하는데 보통 주변에 2기 정도의 [[광자포]]가 배치되어 있으며 주로 수정탑 방어 건물로 활용된다. 설정상 공중에 떠 있는 형태이고 시네마틱 영상에도 이런 모습으로 나온다. 하지만 지면에 가깝게 떠있어서 대공 피해는 입지 않으며, 그래서인지 잔해가 남지 않는다. 이름의 모티브는 고대 이집트 신전에서 신전에 앞에서 입구를 막던 벽 형태의 구조물 [[탑문]]이다. == [[스타크래프트]]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프로토스)]{{{#!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SCR_189_Pylon.png]]}}}{{{#!wiki style="float:left" || 소환 비용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protoss=,mineral=100,supply=8 제공, time=30(+5))] || 단축키 || P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300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30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건물 || 크기 || 대형 || || 면적 || 2 × 2 || 시야 || 8 || ||<-4>{{{#!wiki style="margin: -15px -9px"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SCR_Icon_310_Plasma_Shields.png|width=80]]}}}||'''프로토스 플라스마 보호막''' [br] Protoss Plasma Shields||}}}||}}}[clearfix] 프로토스의 건물의 동력을 제공하고 보급을 관리한다. 제공 인구 수는 8로 [[보급고|서플라이 디포]]와 같다. 가격이 싸고 맷집이 의외로 강한 건물이기 때문에 정찰용이나 방패막이로 꽤 쓸 만하며, 특히 스타1에서 수정탑으로 벽을 쌓으면 [[탐사정|프로브]]나 [[광전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질럿]]같은 소형 유닛은 밑으로 지나다닐 수 있지만 [[시체매|벌처]] 같은 중형 유닛은 못 다니기 때문에 대테란전에서 멀티 입구를 막아놓도록 짓는 경우도 있다. 단 드라군이 지나다닐 수 없기 때문에 멀티가 활성화되고 게이트를 지어놓으면 부수는 편. 소형 유닛이 지나다니는 것은 막을 수 없으니 주의. [[워크래프트 3]]의 [[죽음의 요새|네크로폴리스]]처럼 아래가 허전한 디자인이라 그렇다. [[시체매|벌처]]는 막아 주니 괜찮지만. 팀플에서는 엘리당하는 상황은 피해야 되는데 [[연결체|넥서스]] 지을 돈이 없으면 동맹 진영 안에다가 하나 짓고 버티는 데 사용한다. 그런데 그 동맹 진영마저 나란히 털리면 낭패다. 물론 넥서스가 없는 상태에서 미네랄 400도 없거나 프로브가 전멸했다면 팀원의 시야를 빌려 구경이라도 하기 위한 것 이상의 의미는 없다. 건설 속도가 30초(노말 스피드 기준)로 [[보급고|서플라이 디포]]와 [[대군주(스타크래프트 시리즈)|오버로드]]가 40초인 데 비해 상당히 빠르다. 서플라이 디포나 오버로드와는 달리 건설 시에도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해 준 것 같다. 게다가 건설 방식이 소환 방식이다. 프로토스 건물이라 소환 찍어놓고 프로브가 도망다닐 수 있어서 [[매너 파일런]]을 하거나 상대 앞마당 자리에 파일론을 소환해버리는 등 단순견제용으로는 스타크래프트 1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부서지면 인구 수 트러블이 생기고 업그레이드나 유닛 생산 중인 건물의 동력이 끊긴다. 그러니 여러개를 붙여지어서, 건물의 동력이 멈추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융화소, 실드 배터리와 함께 프로토스의 건물들 중 잔해를 남기지 않는 건물이다. 클릭할 시 케이다린 수정이 반짝이는 듯한 소리가 난다. 수정탑의 사이오닉 동력망 활성화 타일 크기는 완전히 좌우대칭이다. 실제로 클라이언트를 뜯어서 보면 다음과 같은 소스코드가 튀어나온다. 수정탑의 오른쪽 아래 4사분면 위치의 동력망 활성화 표로 1이 동력망 활성화 범위를 나타낸다. 이를 선대칭 시키면서 1, 2, 3사분면의 동력망도 적용하는것. ||{{{#!wiki style="margin:-5px -10px;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static const bool psi_field_mask[5][8] = { { 1, 1, 1, 1, 1, 1, 1, 1 }, { 1, 1, 1, 1, 1, 1, 1, 1 }, { 1, 1, 1, 1, 1, 1, 1, 0 }, { 1, 1, 1, 1, 1, 1, 0, 0 }, { 1, 1, 1, 0, 0, 0, 0, 0 } };}}}}}}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font-size:0.3em; vertical-align:middle"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 || || || || || ||<#000> ||<#000> || || || || || || || || || || }}}}}}|| 여담으로 유즈맵의 경우 [[트리거(스타크래프트)#s-2.3.44|Set Doodad State]] 트리거를 이용하여 [[광자포]]를 활성화(Enable)로 설정하면 수정탑이 없어도 정상 작동이 된다. 다만 이 후 다른 트리거가 작동되면 자동으로 비활성화가 되므로 항시 활성화로 유지 되게 하고 싶으면 [[트리거(스타크래프트)#s-2.3.36|무한 반복 트리거]]를 같이 끼여두는 게 좋다. 물론 그렇게 해도 비활성화가 아예 안 되는 것은 아니고 비활성화가 됐다가 활성화로 되돌아간다. 이 또한 [[트리거(스타크래프트)#s-3.2|터보 트리거]]가 없다면 비활성화와 활성화가 전환되는 시간이 좀 더디다. * 관련 항목 * [[매너 파일런]] * [[파일런의 건물 소환 가능 범위는 대칭이 아니야]]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프로토스)] || [[파일:btn-building-protoss-pylon.png]] [br] 기본 || [[파일:btn-unit-collection-pylon-judicator.png]] [br] 심판관 || [[파일:btn-building-protoss-pylon-forged.png]] [br] 벼려진자 || [[파일:btn-building-protoss-pylon-ihanrii.png]] [br] 이한리 ||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building-protoss-pylon.png|width=76]]}}}||{{{+1 '''수정탑'''}}} ,,Pylon,, 보급품을 공급합니다. 보급품을 늘리면 더 많은 유닛을 소환할 수 있습니다. 주위 구조물에 동력을 공급합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SC2Pic_Pst_pylon.pn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10px 1px; vertical-align:top"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protoss=, m=100, s=8 제공, t=25 (아주 빠름 기준 18))] || || 단축키 || B-E || 시야 || 9 || || 보호막 방어력 || 0 (+1) || 방어력 || 1 || || 보호막 || 200 || 체력 || 200 || || 크기 || 2 × 2 || 동력장 || 반경 6.5[* [[연결체]]와 [[융화소]]를 제외한 프로토스의 모든 건물은 동력 범위 내에 건설되어야 하며 동력이 끊기면 기능을 정지한다. [[차원 관문]]으로 유닛을 소환할 수 있는 것도 동력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 || 특성 ||<-3> 중장갑 - 구조물 || ||<-4>{{{#!wiki style="margin:-4px -9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파일:btn-armor-protoss-buildingplating.png|width=76]]{{{#!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margin:0 20px 0 10px" '''프로토스 장갑''' [br] ,,Protoss Armor,,}}}}}}}}}||}}} ||
<-2> {{{+1 '''특수 능력'''}}}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pgrade-artanis-pylonpower.png|width=76]]}}}||'''차원로''' ,,Warp Conduit,, 요구 사항: 차원 관문 또는 연결체 근처 유닛을 동력장으로 소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5초 (아주 빠름 기준 4초)로 단축시킵니다. || {{{#!folding  [ 패치 내역  펼치기 · 접기 ] * 자유의 날개 * 1.3.3: 동력장 범위 감소 7.5 → 6.5[* 언덕 아래에 몰래 수정탑을 짓고 아슬아슬하게 동력 범위에 걸쳐서 언덕 위로 유닛을 올려 보내던 꼼수가 힘들어졌다.] * 군단의 심장 언덕 위로 동력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너프[* 언덕 아래에서의 차관 러시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 공허의 유산 * 베타 2.5.1 BU #1: 동력장에서 유닛 소환 시간 감소 8 → 5 * 베타 2.5.5: 동력장에서 유닛 소환 시간 증가 5 → 16, 연결체나 차원 관문 근처의 수정탑, 차원 분광기에서 소환시 소환 시간이 2초가 됨 * 베타 2.5.5 BU #1: 모선핵의 광자 과충전이 수정탑에 걸리게 변경, 30초 지속, 25 에너지 소모, 공격력 30, 공격 주기 1.25, 사거리 7 * 베타 2.5.5 BU #4: 차원로 동력망에서 소환 시간 증가 2 → 5, 소환 중인 유닛이 타격시 2배 피해를 받지 않게 됨 * 4.0.0: 모선핵 삭제로 광자 과충전 능력 삭제 }}} ---- 전작과 마찬가지로 프로토스 건물에 동력 공급 및 프로토스의 보급품을 담당한다. 건설 단축키가 P에서 E로 변경되었다. 전작과의 차이점은 소환 시간이 5초 짧아졌지만 그 대가로 체력 총량이 600에서 400으로 1/3이나 칼질당했다. 그 때문에 오히려 전작보다 더 쉽게 터져나간다.[* 게다가 스타 1과는 다르게 수정탑을 감싸고 있는 갑주에서 소속 문장이 드러난다.] 전작보다 건물 소환 범위가 좁아졌지만, 가장 많이 건설하는 관문 크기가 4 × 3에서 3 × 3으로 줄어들어 건물 자체를 더 많이 지을 수 있다. 전작에는 유닛이 갇히지 않고 12개까지 건설 가능했는데, 본작에선 16개이다. 전작과는 달리 '''[[차원 관문]]이 존재하기 때문에''' 숨겨서 지은 수정탑 하나가 2관문, 또는 3+@관문의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게다가 그 수정탑이 파괴돼도 사실 광물 100의 손해로 끝나니 프로토스 유저들은 웬만하면 수정탑을 온 맵에 펼쳐 놓는다. '''상대 입장에서는 보는 족족 부숴야하는 악랄한 건물. 기지 앞에 상대의 수정탑이 있는 순간 프로토스의 러시 거리는 제로가 된다.''' 또한 넓게 수정탑을 펼쳐 놓을 경우 그 근처로 들어오는 공중 유닛들의 견제에 대하여 곧바로 병력을 소환하여 막을 수 있다. 수정탑이 있다는 것은 맵의 어딘가에서 몰래 건물로 병력을 생산 중이거나 하여튼 뭔가 적군한테 이득이 되는 무언가 가동되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그 건물에 동력을 공급해주는 수정탑을 먼저 파괴해야 한다. 특히 아군기지로 소환 때리고 있는 차원관문을 제거할 때는 무슨 수를 써서든 수정탑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 가령 소규모 병력 가지고 적군기지 러시를 갔는데 로봇공학 시설 두 채에서 뭔가를 만들고 있는 것을 봤지만 뭣도 모르고 로봇공학 시설만 때리다가 하필 나온 게 거신이여서 몰살당한다거나 하는 경우. 스타크래프트 2의 특성상 대부분의 건물 충돌 판정 크기가 8각형이 되어서[* 섬멸전 기준 1x1크기 건물인 감지탑, 점막 종양과 포자 촉수만 4각형이다.] 수정탑끼리 1칸을 어긋나게 지어도 소형 유닛마저 통과할 수 없다. 이를 이용해 선 [[앞마당]]을 가는 저그에게 수정탑 3기로 입구를 막고 [[캐논 러시|광자포 러시]]나 [[탑블레이드(스타크래프트 2)|광자 과충전 러시]]를 시도하는 악랄한 전술이 가능해졌다. 그래서 모든 맵에 본진에서 내려오는 길의 출구에는 수정탑을 짓지 못하도록 2 x 2 보급고/바위 한 개[* 모두 파괴 가능]가 배치된 것이다. 전작의 [[왕복선]]을 계승하는 [[차원 분광기]]가 수정탑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대신할 수 있어서 수정탑이 터지더라도 일시적으로 땜질이 가능하며, 차원 관문의 소환 위치로도 써먹을 수 있어서 부담이 좀 줄었다. 전작은 카메라 뷰의 각도 때문에 좌우 대칭이긴했지만 점대칭이 아닌 선대칭이 었지만. 3D인 2편에서는 좌우 상하 모두 대칭이 맞게 수정되었다. 덕분에 심시티의 난점도 사라졌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JudicatorPylon_SC2SkinImage.jpg]] 섬멸전(래더)에서는 코르샤칼에서 소환한 [[심판관]] 수정탑으로 스킨을 변경할 수 있다. === 캠페인 === 망각의 속삭임에서는 [[뫼비우스 재단|뫼비우스 특전대]] 소속 테란이 수정탑을 제어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공허의 유산 트레일러에서는 선발대가 [[프로비우스]]를 통해 수정탑을 소환하기까지 매복해있다가 덤벼드는 저그와 사투를 펼치며 하나, 둘 쓰러져가다가 [[칼달리스]]만 남았을 때 수정탑 소환이 완료되자 프로토스 병력이 일제히 순간이동을 하여 나타나는 과정이 묘사됐다. 공허의 유산 캠페인 중 아이어를 배경으로 한 일부 스테이지에서 맵 곳곳에 있는 대형 수정탑을 확인할 수 있다. 당연히 장식이라서 플레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아니다.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sionicMatrix_SC2-LotV_Cncpt1.jpg]] 또 다른 스테이지에선 아이어의 사이오닉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동력 구조체가 직접 등장한다. 즉 모든 수정탑의 근본이 되는 존재다.[* 아이어 함락 이후로는 [[샤쿠라스]]에 사이오닉 매트릭스를 새로 만들어 써먹었다. 프로토스 문명은 모두 사이오닉 매트릭스를 이용한다. 본성의 사이오닉 매트릭스와 식민지 및 전초기지의 연결체가 연동하여 수정탑으로 추가 동력장을 생성하고 건축물을 소환하는 방식이다. 허나 공허의 유산 초반에 샤쿠라스가 폭발하기 때문에 이후에는 [[아둔의 창]]의 사이오닉 매트릭스를 써먹은 것으로 보인다.] 외형은 거대한 케이다린 수정을 건물이 감싸고 있는 형태다. 어찌보면 거대하고 더 화려한 수정탑. 다만 [[칼라(스타크래프트 시리즈)|칼라]]가 오염되어 [[아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몬]]의 수족이 된 황금 함대의 귀환을 늦추기 위해 댈람 프로토스 손에 파괴된다. 대계승자 [[로하나]]의 말에 따르면 본디 프로토스의 문명이 그토록 발달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사이오닉 매트릭스의 발명 덕이었다고 한다. 프로토스 입장에선 상당히 자랑스러운 유물이었던 셈인데 댈람은 대의를 위해 이를 자기들 손으로 파괴했다.[* 물론 사이오닉 매트릭스 자체는 [[아둔의 창]]에 한개가 장착되어 있고 설계도 역시 남아 있으므로 다시 만들면 그만이지만, 아이어에 있었던 사이오닉 매트릭스는 프로토스 황금기 기간뿐만 아니라 프로토스의 문명 발달의 역사 그 자체를 함께 한 유물과 같으니... 이 모든 게 아몬이 없었다면 벌어지지 않았을 일.] 저그 침공 이후 관리되지 않고 방치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동력 구조체를 물리적으로 파괴하기 전 까지는 거의 문제없이 작동했던 것을 볼 때, 관리에 별다른 손을 써도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안정적이거나, 자동으로 관리되고 있었던 모양이다. 임무에서 볼 수 있는 케이다린 수정과 구조체 트러스가 일부 부서진 상태로 있던 것으로 보아 전자인 것으로 보인다. 캠페인에 등장하는 특수한 수정탑으로는 [[젤나가 수정]]과 [[공허 수정탑]]이 있다. === 협동전 === 제라툴을 제외한 프로토스 사령관들과 아몬의 프로토스가 사용한다.[* 제라툴은 건물이 동력장을 필요로 하지 않고처음부터 인구수 100까지 뚫려있다. 그러나 수정탑은 물론 어떠한 밥집도 생성 불가능해서 100이상의 유닛 생산이 불가능하고 차원 관문도 사용 못한다.] 보라준은 암흑 수정탑이라는 특수한 수정탑을 보유하고 있다. 암흑 수정탑의 동럭장 안에 들어간 건물과 유닛이 은폐가 된다. 카락스는 사령관 특성으로 1초만에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둘 다 프로토스라면 동력장 공유가 가능하다. 아르타니스의 동력장이나 보라준의 암흑 수정탑은 시야가 닿는다면 어디든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차원 관문을 활용하여 플레이어 둘 모두 전장에 즉각적인 병력 충원이 가능하다.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는 [[탐사정]] 영웅 [[프로비우스]]가 소환한다. 테란 스킨을 착용하면 테란 테마로 바뀐다. == 오버워치 == [[파일:Orisa ultimate pylon skin.png]] [[오버워치]]에서는 [[오리사]]의 불멸자 스킨 착용한 상태로 궁극기를 사용하면 수정탑 모양 강화기를 설치한다. 하지만 [[오버워치 2]]에서는 삭제되었다. [[파일:블리자드월드 수정탑테라스.jpg]] 또한 테마파크인 [[블리자드 월드]]에서 수정탑 모양의 장식물이 달린 기념품 가게 및 식당(수정탑 테라스) 있는데, 2층에서 수정탑 모형 근처에 가면 원작에서 수정탑 클릭 시 나오는 소리가 들린다. == 스타크래프트 고스트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ylon_SC-G_Game1.jpg]] 취소된 [[스타크래프트 고스트]]에서도 등장 예정이었다. == 그 외 == [youtube(C5e6eG6bXAQ)] 인구수가 모자랄 경우[* 프로토스는 다른 종족들에 비해 유닛 하나당 인구수가 많아, 수정탑을 더 지어도 금세 인구수가 모자라기 십상이다.] 수정탑을 더 지으라고 나오는 [[브루드워]]의 알림 멘트: "You must construct additional Pylons!"는 그 묘하게 중독성 있는 리듬과 박자로 인해 해외에서 인터넷 유행어가 된 바 있다.[* 리믹스된 원본 음악은 Alice Deejay의 Better off Alone] [youtube(T4Ox2t5c4As)] 위 영상은 [[스타2]] 출시후 리믹스도 되었다. [[수정탑RPG|수정탑이 아이템으로 등장하는 게임]]이 있다. [[파일:수정탑.jpg|width=400]] 블리자드 기어에서 수정탑 모형의 충전기를 판매하고 있다. --[[탈리스(스타크래프트 2)|저렇게 미개한 인간들이 우리의 수정탑을 제작하다니, 믿을 수 없습니다.]]-- [[http://gear.blizzard.com/index.php/default/starcraft-gear/starcraft-pylon-usb-charger.html|#]] 콘센트는 110V의 11자 콘센트이지만 250V까지 호환되는 프리볼트 제품이므로 철물점에서 저렴하게 판매하는 콘센트 변환 젠더를 구입해 사용할 수 있다. 품절시에는 "You must construct additional Pylons." 메세지가 뜨고, 재입고되면 "We construct additional Pylons."메세지와 함께 판매를 재개한다. 간혹가다 물량이 풀릴 때가 있으니 구입하겠다면 가끔 살펴보자. 생산량이 요구수량을 맞추기 힘들었는지 2016년 5월 기준 1인당 2개의 구매 제한이 생겼다. 레이싱 게임인 [[포르자 호라이즌 3]]에는 '[[https://www.exophase.com/achievement/forza-horizon-3-windows/127680-you-must-construct-additional-pylons/|수정탑이 더 필요합니다]]'라는 도전 과제가 있다. 원문은 'YOU MUST CONSTRUCT ADDITIONAL PYLONS'. 본래 기획 단계에서는 [[테란]]도 발전소 같은 것을 짓고 그 주변에서만 건물이 작동하도록 되었는데 그 도중에 빠졌다. [[마음의 소리]]에서는 [[프로토스]]도 수정탑 하나에 8명이서 사는 [[공동주택]] 생활을 한다고 드립을 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