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 관련 정보]], [[도시철도]] [include(틀:방콕 도시철도 노선)] ||<-2><)>{{{#!wiki style="margin: 0px -5px" [[방콕 도시철도|[[파일:BTS_skttrain_logo.png|height=7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방콕 도시철도|{{{#FFFFFF {{{+1 '''BTS Skytrain'''}}}}}}]]}}}|| ||<-2>[[파일:BTS_skytrain_SEMENSE.jpg|width=100%]] || ||<-2> {{{#7ab924 '''รถไฟฟ้าบีทีเอส สายสุขุมวิท'''[br] BTS Sukhumvit line[br]수쿰윗선}}} || ||<-2> '''{{{#ffffff 노선 정보}}}''' || || '''소유자''' || [[방콕|[[파일:방콕 시기.svg|width=60%]]]] || || '''운영기관''' || [[방콕 도시철도|[[파일:BTS_skttrain_logo.png|width=40%]]]] || || '''분류''' || [[도시철도]] || || '''상징색'''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7ab924; border-radius: 2px; padding: 2px 4px" {{{#fff 라임색 {{{-2 (#7ab924)}}}}}}}}} || || '''개업일''' || 1999년 12월 5일 || || '''사용차량''' || 지멘스 || || '''차량기지''' || 쿠쿳 차량기지 [br] 모칫 차량기지 [br] 케하 차량기지 || ||<-2> '''{{{#ffffff 노선 제원}}}''' || || '''영업거리''' || 54.25 km || || '''궤간''' || 1,435 mm || || '''역 수''' || 47 || || '''사용전류'''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카테너리가선] || || '''신호방식''' || [[CBTC]] / [[ATC]] / [[ATO]] || || '''최고속도''' || 80 km/h || || '''지상구간''' || 전 구간 || || '''개통연혁''' || 1999. 12. 05. 모칫 ↔ 온눗[br]2011. 08. 12. 온눗 ↔ 배링[br]2017. 04. 06. 배링 ↔ 삼롱[br]2018. 12. 06. 삼롱 ↔ 케하[br]2019. 08. 09. 모칫 ↔ 하얙랏프라오[br]2019. 12. 04. 하얙랏프라오 ↔ 까셋삿대학[br]2020. 06. 05. 까셋삿대학 ↔ 왓프라시마하탓[br]2020. 12. 16. 왓프라시마하탓 ↔ 쿠콧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국의 수도 방콕의 지상 도시철도이다. 1999년 국왕의 생일에 맞추어 개통되었으며 노선색은 라임색이다. 도시철도가 지상철인 BTS와 지하철인 MRT로 나뉘어 있어 조금 복잡하다. 연계성은 좋지 않은데, 이들 간의 환승은 전용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역들을 이동하는 방식이다. 교통카드도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데, 2016년 중순 현재 망뭄(MANGMOOM)이라는 통합 교통카드의 출시를 앞두고 있다. BTS에서 사용하는 카드는 [[래빗카드]](Rabbit)이다. BTS(수쿰윗선과 [[실롬선]]) 간의 환승역은 [[시암역|사얌역]] 하나이다. 원래는 1층에 개찰구가 있고 2층에 상대식 복선 철도가 있으나 특이하게도 사얌역에서만은 김포공항역처럼 개념환승을 위해 노선을 복층으로 운영하여 2층과 3층에 섬식 복선 철도가 다닌다. 별칭으로 스카이트레인(SkyTrain)을 사용하고, 가끔 BTS 스카이트레인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웬만해선 다들 태국식 영어 발음인 "비티엣"이라고 한다. == 노선 설명 == [[파일:방콕지하철노선도.png]] ||<-6> 수쿰윗선 역 목록 || || 역번호 || 역명 || km || 환승 ||<-2> 소재지 || || N24 || 쿠콧[br]คูคต[br]Khu Khot || || || 빠툼타니주 || 람룩까군 || || N23 || 얙코뽀오[br]แยก คปอ[br]Yaek Kor Por Aor || || ||<|37> 방콕 ||<|3> 돈므앙구 || || N22 || 피피타판꽁탑아깟[br]{{{-1 [태국왕립공군박물관]}}}[br]พิพิธภัณฑ์กองทัพอากาศ[br]Royal Thai Air Force Museum || || || || N21 || 롱파야반푸미폰아둔야뎃[br]{{{-1 [푸미폰아둔야뎃병원]}}}[br]โรงพยาบาลภูมิพลอดุลยเดช[br]Bhumibol Adulyadej Hospital || || || || N20 || 사판마이[br]สะพานใหม่[br]Saphan Mai || || || 사이마이구 || || N19 || 사이윳[br]สายหยุด[br]Sai Yud || || ||<|4> 방켄구 || || N18 || 파혼요틴하십까오[br]พหลโยธิน 59[br]Phahon Yothin 59 || || || || N17 || 왓프라시마하탓[br]วัดพระศรีมหาธาตุ[br]Wat Phra Sri Mahathat || || {{{+2 {{{#ea67e9 ●}}}}}} [[방콕 MRT 핑크 라인|핑크 라인]] || || N16 || 끄롬타한랍티십엣[br]{{{-1 [제11보병사단]}}}[br]กรมทหารราบที่11[br]11th Infantry Regiment || || || || N15 || 방부아[br]บางบัว[br]Bangbua || || ||<|8> 짜뚜짝구 || || N14 || 끄롬빠마이[br]{{{-1 [왕립산림청]}}}[br]กรมป่าไม้[br]Royal Forest Department || || || || N13 || 마하위타얄라이까셋삿[br]{{{-1 [까셋삿대학]}}}[br]มหาวิทยาลัยเกษตรศาสตร์[br]Kasetsart University || || || || N12 || 세나니콤[br]เสนานิคม[br]Sena Nikhom || || || || N11 || 라차요틴[br]ร้ชโยธิน[br]Ratchayothin || || || || N10 || 파혼요틴이십시[br]ซอยพหลโยธิน24[br]Phahonyothin 24 || || || || N9 || 하얙랏프라오[br]ห้าแยกลาดพร้าว[br]Ha Yaek Lat Phrao || || {{{#1b6aeb ●}}} [[방콕 MRT 블루 라인]][br][[파혼요틴역]] ({{{-1 {{{#f00 간접환승}}}}}}) || || N8 || [[모칫역|모칫[br]หมอชิต[br]Mo Chit]] || || {{{#blue ●}}} [[방콕 MRT 블루 라인]][br]짜뚜짝공원역 ({{{-1 {{{#f00 간접환승}}}}}}) || || N7 || 사판콰이[br]สะพานควาย[br]Saphan Khwai || || ||<|4> 파야타이구 || || N6[br]{{{-1 {{{#red (미개통)}}}}}} || 세나루암[br]เสนาร่วม[br]Senaruam || || || || N5 || 아리[br]อารีย์[br]Ari || || || || N4 || 사남빠오[br]สนามเป้า[br]Sanam Pao || || || || N3 || [[전승기념탑역|전승기념탑[br]อนุสาวรีย์ชัยสมรภูมิ[br]Victory Monument]] || || ||<|3> 라차테위구 || || N2 || [[파야타이역|파야타이[br]พญาไท[br]Phaya Thai]] || || [[파일:미국교통부 철도inv 아이콘.svg|width=15]] 국철[br]{{{#cc0000 ●}}} [[에어포트 레일 링크]] ({{{-1 {{{#f00 간접환승}}}}}}) || || N1 || [[라차테위역|라차테위[br]ราชเทวี[br]Ratchathewi]] || || --{{{#orange ●}}} [[방콕 MRT 오렌지 라인]]-- [br][[클롱 샌 샙 보트|클롱샌샙 보트]] || || CEN || [[시암역|시암[br]สยาม[br]Siam]] || || {{{#00827f ●}}} [[실롬선]] ||<|3> 빠툼 완구 || || E1 || [[칫롬역|칫롬[br]ชิดลม[br]Chit Lom]] || || || || E2 || [[플른칫역|플른찟[br]เพลินจิต[br]Phloen Chit]] || || --{{{#skyblue ●}}} [[방콕 도시철도]] 스카이블루라인-- || || E3 || [[나나역|나나[br]นานา[br]Nana]] || || ||<|5> 클롱뜨이구[br]와타나구[* 두 구 사이에 걸쳐있다.] || || E4 || [[아속역|아속[br]อโศก[br]Asoke]] || || {{{#1b6aeb ●}}} [[방콕 MRT 블루 라인]][br]수쿰윗역 ({{{-1 {{{#f00 간접환승}}}}}}) || || E5 || [[프롬퐁역|프롬퐁[br]พร้อมพงษ์[br]Phrom Phong]] || || || || E6 || [[통로역|통로[br]ทองหล่อ[br]Thong Lo]] || || --{{{#gray ●}}} [[방콕 도시철도]] 그레이라인-- || || E7 || [[에카마이역|에까마이[br]เอกมัย[br]Ekkamai]] || || 방콕동부버스터미널(시외버스) || || E8 || [[프라카농역|프라카농[br]พระโขนง[br]Phra Khanong]] || || || || E9 || [[온눗역|온눗[br]อ่อนนุช[br]On Nut]] || || || || || E10 || [[방짝역|방짝[br]บางจาก[br]Bangchak]] || || || || || E11 || [[푼나위티역|뿐나위티[br]ปุณณวิถี[br]Punnawithi]] || || || || || E12 || [[우돔숙역|우돔숙[br]อุดมสุข[br]Udom Suk]] || || --공항경전철-- || || || E13 || [[방나역|방나[br]บางนา[br]Bang Na]] || || --공항경전철-- || || || E14 || [[배링역|배링[br]แบริ่ง[br]Bearing]] || || ||<|10> 사뭇쁘라깐주 || || || E15 || [[삼롱역|삼롱[br]สำโรง[br]Samrong]] || || {{{#e9b000 ●}}} [[방콕 MRT 옐로 라인]] || || || E16 || 뿌짜오[br]ปู่เจ้า[br]Pu Chao || || || || || E17 || 창에라완[br]ช้างเอราวัณ[br]Chang Erawan || || || || || E18 || 롱리안나이르아[br]{{{-1 [태국왕립해군사관학교]}}}[br]โรงเรียนนายเรือ[br]Royal Thai Naval Academy || || || || || E19 || 빡남[br]ปากน้ำ[br]Pak Nam || || || || || E20 || 시나카린[br]ศรีนครินทร์[br]Srinagarindra || || || || || E21 || 프랙사[br]แพรกษา[br]Phraek Sa || || || || || E22 || 사이루앗[br]สายลวด[br]Sai Luat || || || || || E23 || 케하[br]เคหะฯ[br]Kheha || || || || 북쪽에서 싸얌까지 직선으로 내려와 [[시암역]] 직전에서 90도로 선형을 바꾸어 수쿰윗 도로를 따라 동쪽으로 뻗어진다. 선형이 매우 좋은 편이지만 사남빠오역과 Victory Monument역 사이의 [[방콕 전승기념탑|전승기념탑]] 로터리에서 무려 R=80m 의 곡선을 보여준다. 한국의 철도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광경(...)이며 지상철로 지어진 이상 로터리 중앙을 지나칠 수 없어 로터리를 빙 둘러서 돌아간다. === 주요 경유지 === ||<-5> [[방콕 도시철도|{{{#!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 #005BA6 20%, #005BA6 80%, #00467F)" '''{{{#ffc224 방콕 도시철도 일평균 최다 이용역[* 2018년 기준]}}}'''}}}]] || || || || || || || || || || || || || || [[시암역]] || [[아속역]] || [[머칫역]] || [[살라댕역]] || [[전승기념탑역]] || || 148,000명 || 135,000명 || 118,000명 || 88,000명 || 87,000명 || 방콕 도시철도 중 최대 승하차량을 보여주는 역중 4개가 수쿰윗선의 역이다. == 특징 == 1회용 티켓은 MRT와 공항철도와는 달리 카드 형태로 나오며 카드 앞면에는 지하철 안전 관련 그림과 문구가 그려져 있다. 카드 뒷면에는 Sky Train 노선도가 그려져 있다. 티켓은 나갈때 개찰구에서 회수되며, 재사용 된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22523.jpg|width=480]] 싸얌역 개념환승. 역번호는 수쿰윗선과 실롬선에 한해 싸얌역(CEN)을 기준으로 동서남북으로 매겨져 있다.(EWSN) [[파일:external/www.world-travel-photos.com/2527.jpg|width=600]] [[지멘스]]의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 요금체계 == 일회용 티켓을 발권할 경우 최소 17바트에서 시작하며 거리에 따라 정해져 있는 도착지 역별 요금표에 맞는 표를 발권하여 이용하면 된다. MRT와 환승할인이 되지 않으며 환승을 할 경우 별도의 MRT 요금을 내야 한다. 싸얌이나 아속 같은 주요 번화 지역은 한참 동안 줄을 서서 표를 뽑아야 할 정도로 승객으로 넘쳐난다. 특히 모든 역의 모든 장소가 고가 위에 지어져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기다리면서 더워서 매우 짜증난다. 게다가 대부분의 역에서 티켓판매기에는 동전만 사용가능하고, 지폐사용이 가능한 기계가 있어 지폐를 넣어 뽑더라도 거스름돈은 죄다 동전으로 바뀌어 나와서 짜증이 더욱 난다. 거스름돈이 10바트짜리로 나오지 않고 5바트짜리로만 나오기도 한다. 티켓판매기에 지폐를 사용할 수 없는데 동전이 없는 경우에는 창구에서 티켓을 구매하거나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 할 수 있다. 미리 교통카드를 준비한다면 도움이 된다. 교통카드 충전은 자동화가 아직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현금을 지불하면 담당자가 충전해 주거나, 지폐사용이 가능한 신형 기계를 통해 충전하는 방식이다. [[분류:방콕 도시철도]][[분류:1999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