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호이의 항공기)] [[파일:Kr860_1.jpg]] KR-860의 구상도 [목차] == 개요 == 수호이 KR-860[* KR은 Крылья России(Kryl'ya Rossii)의 줄임말로 러시아의 날개라는 뜻이다.] 또는 SKD-717(СКД-717)[* 보잉의 B717과 헷갈릴 수 있으니 주의.]은 수호이의 4발 복층 광동체 여객기 계획이다. 최대이륙중량이 650톤으로 [[An-225]]를 제치고 세계 최대의 항공기가 될 수 있었으나 축소 목업이 제작되는 수준에서 개발이 중단되었다. == 개발사 == KR-860은 1997년부터 러시아 [[수호이]] 설계국에서 개발되기 시작했다. 1999년 또는 2001년에 파리 에어쇼에서 1/24 크기의 축소목업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민항기 시장을 양분하는 [[보잉]]과 [[에어버스]]의 대형기를 상대하기 위해 높은 비행효율성 확보가 제시되었다. 제시된 높은 성능을 충족하기 위해 당대의 최신 공역학 설계와 신소재 사용이 적극 반영되었다. 초기에는 날개 속에 캐빈이 있는 전익기 디자인도 고려되었으나 높은 개발비용과 리스크로 인해 취소되고 후퇴익, 고바이패스비 엔진, 대형 윙렛 등 종래와 같은 설계요소를 채택했다. 기존 소련기들은 최대 18에서 18.5 수준의 양항비를 가졌으나 [[공돌이]]를 많이 갈아 넣은 덕에 약 19.5의 양항비를 획득할 수 있었다. A380과 형태가 유사하나 조종실이 유선형의 포물선 모양으로 튀어나온 점은 달랐다. 그러나 러시아 국내에서 860석 규모의 초대형 여객기가 필요하지 않아 러시아는 당시 항공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에 여객기를 판매하려 시도했으며, 더 나아가 여객기 개발에서의 리스크를 나눌 공동개발사까지 찾았다. 당장 퇴역해야 하는 [[Tu-134]]와 [[Tu-154]]의 대체 민항기 소요를 감당할 [[수호이 수퍼제트 100|RRJ 프로그램]]으로 개발력이 돌려지면서 KR-860의 개발은 중단되었다. 사실 이 프로젝트가 러시아의 기술력을 [[에어버스]]에 어필하기 위해 진행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A380]]의 개발에 러시아가 참여할 계획이 있었고, [[수호이]]가 러시아의 항공산업 수준을 증명하기 위해 A380과 유사한 초대형 여객기 프로젝트를 기획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종의 사유로 수호이는 A380의 개발에 참여하지 않았다. == 상세 == KR-860에는 FBW가 적용되었지만 항공기관사가 탑승했다. 개발 막바지에는 조종사와 부조종사 두명만 탑승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주익 === 날개 길이만 88m로서 공항 주기시 공간 확보를 위해 [[함재기]]처럼 날개를 접는 구조로 되어 있다. === 엔진 === 러시아에서 라이센스 생산된 [[제너럴 일렉트릭 CF6]]-80E1 터보팬 엔진이나 [[프랫 & 휘트니 PW4000|프랫 & 휘트니 PW4168]]을 수입해 장착했다. 자국산 솔로비요프 PS-90A 터보팬 엔진 또는 쿠즈네초프 NK-98 프롭팬 엔진을 각 8기 장착하는 안도 있었다. === 객실 === [[파일:kr860_5.jpg]] 구조는 2층으로 내장 에스컬레이터가 있다. == 파생형 == === KR-860 수송기 === 최대 수송량은 60TEU였다. 기수와 후방에 화물을 싣고 내릴 거대한 문이 장착되었다. [[러시아 공군]]의 [[An-124]]를 대체할 계획이었다. === KR-860T [[LNG]] 수송기 === 기반시설이 부족한 러시아 북부 지역의 액화천연가스를 수송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시베리아의 툰드라 지역에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비용은 매우 비싸 수송기로 수송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것이라 예상하였다. KR-860T에는 LNG 추진 엔진을 장착했다. == 제원 == || || '''KR-860''' || '''KR-860(수송기)''' || '''KR-860T''' || || '''운항승무원''' ||<-3> 2-3 || || '''최대좌석수''' || 860(표준) [br] 950(최대) || - || - || || '''화물용적''' || N/A || 300,000t [br] (60 TEU) || N/A || || '''길이''' ||<-3> 80 m || || '''폭''' ||<-3> 88 m, 날개 접을 시 64 m || || '''익면적''' ||<-3> 700.0 m² || || '''최대이륙중량''' ||<-2> 650,000 kg || N/A || || '''항속거리''' ||<-2> 15,000 km || N/A || || '''순항속도''' ||<-2> 마하 0.81[br]1,000km/h, 540노트 || N/A || || '''엔진''' ||<-2> [[제너럴 일렉트릭 CF6]]-80E1(66,200 lbst) 4기 [br] [[프랫 & 휘트니 PW4000|프랫 & 휘트니 PW4168]](68,000 lbst) 4기 [br] 솔로비요프 PS-90A(35,270 lbst) 8기 [br] 쿠즈네초프 NK-93(39,680 lbst) 8기 || [[LNG]] 추진 엔진 ?기 || || '''가격''' ||<-2> 1억 6천만 달러 || N/A || == 여담 == === 매체에서 === [[항공사]]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인 [[에어라인 매니저 2]]에 등장한다. 최대 수용가능 인원이 무려 860명(...)이다. 에어버스사의 [[A380]]-900(875명)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승객을 나를 수 있다. 게임 내 마켓에서 공장제 비행기로 구입할 수 있으며 가격은 309,948,744달러. == 참고 == * [[https://en.wikipedia.org/wiki/Sukhoi_KR-860|영어 위키백과, ''Sukhoi KR-860'']] * Y. Gordon & S. Komissarov, ''Unflown Wings: Soviet and Russian Aircraft Projects'', Classic Publications, p.247-248. * [[http://www.testpilot.ru/russia/sukhoi/kr/860/|Test Pilots, ''КР-860 (СКД-717) - Сверхтяжелый транспортно-пассажирский самолет'', 2021년 2월 26일 확인]] * [[https://www.frequentflyers.ru/2019/04/26/kr_860/|Frequent Flyers, ''Несбывшиеся «Крылья»: самый большой в мире российский самолет, который не смог взлететь'', 2019년 4월 26일, 2021년 2월 26일 확인]] [[분류:수호이]][[분류: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