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후궁]][[분류:1506년 사망]][[분류:참수된 인물]] [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연산군의 후궁[br]{{{+1 숙원 최씨 | 淑媛 崔氏}}}'''}}} || || '''출생''' ||미상 || || '''사망''' ||미상 || || '''휘''' ||보비(寶非) || || '''부모''' ||부친 - 최유회(崔有淮) || || '''부군''' ||[[연산군]][* 본래 황윤헌(黃允獻)의 측실이었으나 구수영(具壽永)이 연산군에게 후궁으로 바쳤다.] || || '''자녀''' ||없음 || || '''봉작''' ||'''숙원(淑媛)'''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연산군]]의 [[후궁]]. 이름은 최보비(崔寶非)이다. 아버지는 최유회(崔有淮)이라는 사람으로 가계에 대해 더이상 알려진 바 없다. == 생애 == 《연산군일기》 60권, 연산 11년(1505년 명 홍치(弘治) 18년) 10월 6일 (정사) >황윤헌(黃允獻)의 첩 보비(寶非)는 성이 최(崔)가로, 얼굴과 몸맵시가 곱고 아름다우며 가야금도 잘 탔는데, 구수영(具壽永)이 바쳤다. >왕이 곧 귀여워하고 매우 사랑하여 숙원(淑媛)으로 봉하였는데, 얼굴과 재주가 모두 뛰어나 그보다 나은 후궁이 없었으나 성질이 매우 사납고 괴팍하여 말하기와 웃기를 좋아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