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ffd400 '''숙의 김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의 후궁(태조 ~ 고종))]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679, #403F95 20%, #403F95 80%, #373679); color: #FFD400" '''대한제국 철종의 후궁[br]{{{+1 숙의 김씨 | 淑儀 金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철종의 후궁[br]{{{+1 숙의 김씨 | 淑儀 金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서삼릉숙의묘역.jpg|width=100%]]}}} || ||<-2> {{{#ffd400 {{{-2 서삼릉 후궁 묘역 전경}}} }}} || || '''출생''' ||[[1833년]] || || '''사망''' ||1900년대(향년 66~76세 사이)[* 일제감정기 이전엔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 || '''능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삼릉]] 후궁묘역 || ||<|8> '''재위기간''' ||'''{{{#ffd400 조선 궁인}}}''' || ||[[1856년]] 이전 ~ [[1895년]] [[1월 12일]] || ||'''{{{#ffd400 대조선국 궁인}}}''' || ||[[1895년]] [[1월 12일]] ~ [[1897년]] [[10월 12일]] || ||'''{{{#ffd400 대한제국 궁인}}}''' || ||[[1897년]] [[10월 12일]] ~ [[1899년]] [[5월 7일]] || ||'''{{{#ffd400 대한제국 숙의}}}''' || ||[[1899년]] [[5월 7일]] ~ [[1910년]] 이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김해 김씨]] || || '''부모''' ||부친 김치욱[*金致郁] || || '''배우자''' ||[[철종(조선)|철종 장황제]] || || '''자녀''' ||'''슬하 1녀''' 장녀 - 옹주({{{-3 1856}}}) || || '''봉작''' ||궁인(宮人) → '''숙의(淑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철종(조선)|철종]]의 [[후궁]]. 본래 [[궁녀]] 출신으로 아버지는 김치욱(金致郁)이며, 어머니는 알 수 없다. 슬하에 딸 하나를 두었으나 일찍 죽어서 옹주의 봉작은 받지 못하였다. == 생애 == 1856년(철종 7) 7월 5일, 딸을 낳은 기록이 있다.[* 승정원일기 2581책 (탈초본 124책) 철종 7년 7월 5일 경신 5/28 기사. [[http://sjw.history.go.kr/id/SJW-J07070050-00500|#]] ] 이때 김씨를 '궁인 김씨(宮人金氏)' 라고 썼기 때문에 본래 궁녀 출신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이유를 알 수 없으나 이때는 정식으로 후궁 봉작을 받지 못하고 철종 사후에 비로소 종2품 숙의(淑儀)가 되었다.[* 철종의 후궁들 중 왕자를 낳은 박씨와 조씨는 바로 후궁 봉작을 받았으나 왕녀 한명만 낳은 김씨와 범씨는 철종 사후에 후궁 봉작을 받았다. 방씨는 왕녀 둘을 낳고서야 후궁 봉작을 받았다. 예외적으로 이씨는 왕자를 낳고도 후궁 봉작을 끝내 받지 못하였다.] >조령(詔令)을 내리기를, "철종(哲宗) 때 승은(承恩)을 입은 궁인(宮人) 김씨(金氏)의 옛일을 추모하여 마땅히 특별한 은전(恩典)을 베풀어야 할 것이니 숙의(淑儀)로 봉작(封爵)하라." 하였다. >---- >《[[고종실록]]》 고종 36년 5월 7일 철종의 후궁 중, [[귀인 박씨(철종)|귀인 박씨]], [[귀인 조씨(철종)|귀인 조씨]], [[숙의 방씨]]가 자식을 낳고 바로 후궁으로 봉작된 것과 비교되는 경우이다.[* 숙의 방씨는 왕녀 둘을 낳고나서야 후궁으로 봉작되었다. 다만, 왕자를 낳은 궁녀들은 바로 후궁으로 봉작되었다.] == 창작물에서 == * 드라마 [[철인왕후(드라마)|철인왕후]]에서는 철종의 실존했던 3명의 숙의가 등장하고, 숙의 방씨를 포함한 철종의 3명의 숙의 봉작을 받은 이들이 나오는데, 이들은 숙의 김씨 외에도 [[숙의 방씨]], [[숙의 범씨]]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로 보인다. 다만 드라마에서의 이들의 집안이 안동 김씨를 견제할 만한 명문가라는 극중 설정과 달리, 실제 이들은 세도 명문가 정도까지는 아니었다. 셋 다 궁인이었던데다 방씨는 그나마 둘째 딸을 낳고 철종 생전에 숙의 작위를 받았지만, 나머지 둘은 고종 때가 되어서야 숙의 작위를 받았다. [[분류:조선의 후궁]][[분류:1833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