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정종의 후궁[br]{{{+1 숙의 윤씨 | 淑儀 尹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숙의윤씨묘.jpg|width=100%]]}}} || ||<-2> {{{#ffd400 {{{-2 숙의윤씨묘 전경}}} }}} || || '''출생''' ||[[1368년]] [[1월 14일]] || || '''사망''' ||[[1417년]] [[10월 1일]] (향년 50세) || || '''능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고양)|오금동]] 산120-1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해평 윤씨]] || || '''부모''' ||부친 - 윤방언(尹邦彦) || || '''배우자''' ||[[정종(조선)|정종]] || || '''자녀''' ||{{{#!folding 슬하 4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수도군]](守道君, {{{-3 1393 ~ 1449}}}) 차남 - [[임언군]](林堰君, {{{-3 1399 ~ 1450}}}) 3남 - [[석보군]](石保君) 4남 - [[장천군]](長川君, {{{-3 1418 ~ 1465}}}) 장녀 - [[인천옹주]](仁川翁主)}}} || || '''봉작''' ||'''숙의(淑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정종(조선)|정종]]의 [[후궁]]. 아버지는 [[고려]] 말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낸 윤방언(尹邦彦)의 딸이다.[* 《고려사》 133권 〈우왕전(禑王傳) 2년조〉에 따르면 1376년(우왕 2) 윤방언은 밀직제학에 제수되었다. ] 슬하에 [[수도군|수도군 이덕생]], [[임언군|임언군 이녹생]], [[석보군|석보군 이복생]], [[장천군|장천군 이보생]]과 인천옹주를 낳아 4남 1녀를 두었다. == 생애 == 숙의 윤씨가 언제 어떻게 정종의 후궁이 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1430년(세종 12) 그녀의 맏아들 이덕생과 둘째 아들 이녹생을 원윤(元尹)으로 책봉하는 기록이 있어 일찍이 후궁에 들어왔을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4월 3일 계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da_11204003_002|#]] ] == 여담 == * 매년 음력 9월 29일에 숙의 윤씨의 후손들이 모인 서봉회(棲鳳會)가 주관하여 제향을 올리고 있다. [[분류:조선의 후궁]][[분류:해평 윤씨]][[분류:1368년 출생]][[분류:141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