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명종의 후궁[br]{{{+1 숙의 정씨 | 淑儀 鄭氏}}}'''}}} || || '''본관''' ||온양 정씨(溫陽 鄭氏) || || '''부모''' ||부친 - 정귀붕(鄭龜朋)[br]모친 - [[양성 이씨]] 이보(李堡)의 딸 || || '''배우자''' ||[[명종(조선)|명종]] || || '''자녀''' ||없음 || || '''봉작''' ||'''숙의(淑儀)'''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명종(조선)|명종]]의 [[후궁]]. 아버지는 김화 현감을 지낸 정귀붕(鄭龜朋)이며, 어머니 이보(李堡)의 딸 [[양성 이씨]]이다. == 생애 == 1548년(명종 3) 숙의 정씨는 [[숙의 신씨(명종)|숙의 신씨]]와 함께 후궁으로 발탁되었다.[* 명종실록 8권, 명종 3년 12월 21일 임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ma_10312021_001|#]] ] 그러나 당시 명종의 후궁으로 봉작된 두 사람 모두 입궁한지 3년이 지나도록 자식을 낳지 못하였다. >자전(慈殿)이 대신들에게 전교하기를, >"두 숙의(淑儀) 【정 숙의(鄭淑儀)와 신 숙의(申淑儀)이다.】 가 입궁(入宮)한 지 벌써 3년이 되었으나 아직도 왕의 자녀(子女)가 없다. 전례(前例)에도 숙의를 셋씩 둔 때가 있었으니 숙의를 한 명 더 선발하는 것이 어떻겠는가?" >---- >《[[명종실록]]》 명종 6년 2월 25일 이 다음의 기록은 찾을 수 없고, 생몰년 또한 알 수 없다. [[분류:조선의 후궁]][[분류:온양 정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