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BEMANI 리듬게임 수록곡, rd1=Pure Evil)] [목차] == 개요 == {{{+1 純粹惡 / Pure Evil}}} [[순수]]한 [[악]]이라는 의미의 [[신조어]]. == 상세 ==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본인의 행동이 선인지 악인지도 모를 정도로 순수하나 타인이 바라 볼 때는 악한 것 또는 그 상태'라는 의미 하나와 '선이 조금도 섞이지 않은 악 그 자체', 즉 '악의 화신'이라는 의미다. 그러나 후자는 '절대악'이라는 표현이 더 직관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전자의 의미로 사용된다.[* 단 영단어 pure evil은 거의 후자의 의미로만 사용된다.] 현실에서는 아주 [[천연|천진한 사람]]이 본의 아니게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피해를 끼치는 경우, 아니면 아예 사람이 아닌 [[동물]]이라서 선악의 구분이 없는데 인간에게 피해를 끼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본인은 도와주려는 행동이었는데 결과적으로 피해를 계속 끼친다거나, 분위기를 읽지 못하고 [[돌직구]] 같은 발언으로 마음에 상처를 입힌다거나 할 수 있다. 창작물에서는 캐릭터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정신연령]]에 비해 너무 강대한 힘을 가지고 있다거나 선악의 구분 자체를 잘 못해서 악행을 저지르는 인물 등을 순수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부러 불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만든 캐릭터인 어린 신이나 인격을 가진 무기 등은 상당히 흔한 [[클리셰]]다. == 예시 == === 현실 === * 어린 [[고양이]], [[강아지]][* 입질이 심하고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해 주변 물건을 부수기 십상이다.] * 미운 두 살, 미운 일곱 살 [[어린이]] * [[완전체(성격)|완전체]] === 창작물 === * [[귀멸의 칼날]]의 [[도우마]] * [[짱구는 못말려]]의 주인공 [[신짱구]][* 작품 초기에는 순수악적인 성향이 강했으나 점점 [[소악마]]에 가까워졌다.] *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의 [[조커(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조커]] * [[드래곤볼]]의 악역 [[마인부우]] * [[몬스터(만화)|몬스터]]의 [[요한 리베르트]] * [[원신]]의 [[클레]] *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구역질나는 사악함]]을 가진 [[죠죠의 기묘한 모험/최종 보스|주요 악역들]][* 푸치와 밸런타인은 제외.] * [[할로윈 시리즈]]의 [[마이클 마이어스]] * [[터닝메카드(애니메이션)|터닝메카드]]의 [[블랙미러(터닝메카드)|블랙미러]], [[젤로시아]] * [[유희왕]] - [[어둠의 마리크]] [[분류: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