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순우리말/목록)] [목차] == 개요 == [[순우리말]]을 테마별로 분류한 문서이다. 흔히 순우리말로 잘못 아는 한자어·외래어가 있으며, 순우리말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말도 있다. 순우리말 목록에 넣을 때에는 이에 주의하기 바람. [include(틀:순우리말)] == 목록 == * 가리맛: 작두콩가리맛조갯과의 하나. *《옛》 가리맏, 가리맛 《출전》 蟶 가리맏 뎌ᇰ - 훈몽자회(상)(1527) * 가오리 * 가마우지: 가마우짓과의 가마우지, 민물가마우지, 쇠가마우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4033|가마오디]], 가마오지, 가마우디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78034|가마우지(샘)]] * 강치: 바다사자를 일반적으로 이르는 말. * 개 * 개구리: 양서강 개구리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04212|개고리]], 개골이, 개구리, ᄀᆡ고리, ᄀᆡ구리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67769|개구리(샘)]] * 개호주: 범의 새끼 * {{{#8b4513,#wheat 괴}}}: ((일부 속담에 쓰여)) ‘고양이’를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512|괴]] * 거머리: 거머리강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거머리, 검어리, 검얼이, 거마리, 거말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4823|거머리(샘)]] * [[거미]]: 동물.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0206|거믜]], 검의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0207|거미(샘)]] * 거북: 파충강 거북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1783|거붑]], 거북,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1626|거복]]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1678|거북(샘)]] * 거위^^1^^: 오릿과의 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39809|거유]], 게유, 거위 《출전》 鵝 거유 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13015|거위(샘)]] * 거위^^2^^: 회충과의 기생충.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39940|것위]],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16250|거ᇫ위]], 거ᅀᅱ 《출전》 【地龍糞^^거ᇫ윗 ᄯᅩᇰ^^水和塗之】 거ᇫ위 ᄯᅩᇰ을 므레 ᄆᆞ라 ᄇᆞᄅᆞ라 - 구급간이방(3)(1489), 蚯 거ᅀᅱ 구 蚓 거ᅀᅱ 인 蛐 거ᅀᅱ 곡 蟮 거ᅀᅱ 션 - 훈몽자회(상)(1527) * 게: 십각목의 갑각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게 《출전》 【又方治食蟹中毒諸方】 ᄯᅩ 게 먹고 毒 마ᄌᆞ닐 고튜ᄃᆡ - 구급방언해(하)(1466), 螃 게 바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4244|게(샘)]] * 고라니: 사슴과의 하나. *《옛》 고라니 《출전》 麅 고라니 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82|고라니(샘)]] * 고래: 포유강 고래목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고래 * 고슴도치: 고슴도칫과의 하나. *《옛》 고솜돝, 고솜돋, 고솜돗, 고솜돗ㅎ, 고솜돗치, 고솜도치, 고숨도치 《어원》 고솜+돝+-이 《출전》 【頭髮猬皮各等分】 머리 터럭과 고솜도ᄐᆡ 가ᄎᆞᆯ ᄀᆞᆮ게 ᄂᆞᆫ호아 - 구급방언해(하)(1466), 蝟 고솜돋 위 - 훈몽자회(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9258|고슴도치(샘)]] * 고슴돛: 고슴도칫과의 하나.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9078|고솜돝]], 고솜돋, 고솜돗, 고솜돗ㅎ 《어원》 고솜+돝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89258|고슴도치(샘)]] * 고양이: 고양잇과의 하나. *《옛》 괴, 고양이, 괴양이 《어원》 괴+-앙이 《참조》[[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41225|고양이(샘)]] * [[곰]]: 포유강 식육목 곰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고마, 곰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86|곰(샘)]] * 괭이: ‘고양이’의 준말. * {{{#8b4513,#wheat 괴}}}: ((일부 속담에 쓰여)) ‘고양이’를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512|괴]] 《출전》 貓 괴 묘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41225|고양이(샘)]] * 구더기: 파리의 애벌레. *《옛》 구더기 * 까마귀: 까마귓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73878|가마괴]] * 까치: 까마귓과의 새. *《옛》 가치 《출전》 伽闍山 苦行애 六 年을 안ᄌᆞ샤 마리 우희 가치 삿기 치니 - 월인천강지곡(1447) * 꾀꼬리: 까마귓과의 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87961|곳고리]], 굇고리, 괴ᄭᅩ리, 괻고리, ᄭᅬᄭᅩ리, ᄭᅬㅅ고리, ᄭᅬᆺ고리, ᄭᅬᆺᄭᅩ리, ᄭᅬᄭᅩ리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31646|꾀꼬리(샘)]] * 꿩: 꿩과의 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15848|ᄭᅯᇰ]], ᄭᅯᆼ, 꿩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26853|꿩(샘)]] * 나귀: 말과의 포유류. *《옛》 라귀, 나귀, 나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16165|나귀(샘)]] * [[나비]]: 나비목의 곤충 가운데 낮에 활동하는 무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3478|나ᄇᆡ]],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63678|나뵈]], 나븨, 나뷔 《출전》 蛺 나ᄇᆡ 협 蝶 나ᄇᆡ 뎝 蛾 나ᄇᆡ 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53422|나비(샘)]] * [[납(동음이의어)#s-3|{{{#8b4513,#wheat 납}}}]]: ‘원숭이’의 방언(제주).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79918|납]] 《출전》 獼 납 미 猴 납 후 猢 납 호 猻 납 손 - 훈몽자회(상)(1527) * 너구리 * 너새: 느싯과의 겨울새. *《옛》 너새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16603|너새(샘)]] / '너새'는 '너'와 '새'가 결합한 것인데, '너'는 "너새"의 의미인 '너ᅀᅵ'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너ᅀᅵ'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너새'의 의미로 나타난다({너ᅀᅵ} 爲鴇 1446 훈해 56). - 우리말샘 역사정보(너새) * 노루: 사슴과의 포유류. *《옛》 노로 《출전》 노로為獐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능소니: 곰의 새끼. 곰 역시 순우리말이다. * {{{#8b4513,#wheat 다라미}}}: ‘다람쥐’의 방언(전남, 평안, 함경).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7679|ᄃᆞ라미]], ᄃᆞ람이 《출전》 鼯 ᄃᆞ람이 오 - 왜어유해(1780?) 《참조》 19세기 이전에 “다람쥐”의 의미로 쓰인 단어는 ‘다ᄅᆞ미’와 ‘다라미’가 있었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다람쥐) * [[닭]]: 꿩과의 새. *《옛》 ᄃᆞᆰ, ᄃᆞᆯ, ᄃᆞᇃ, 닭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1635|닭(샘)]] * 담비: 포유강 족제빗과의 검은담비, 노란목도리담비, 담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4500|담뵈]],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4734|담뷔]],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72|담븨]] 《출전》 【天爲拯民 天才是出 藪中蜜狗 卄發盡獲】 天爲拯民ᄒᆞ샤 天才ᄅᆞᆯ ᄂᆞ리오시니 藪中 담뵈ᄅᆞᆯ 스믈 살 마치시니 - 용비어천가(32장)(1447), 獾 담뵈 환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82|담비(샘)]] * 대릉이: 천산갑 * {{{#8b4513,#wheat 도로래}}}: 땅강아지.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7591|도로래]] 《출전》 螻 도로래 루 蛄 도로래 고 - 훈몽자회(상)(1527) * 도롱뇽: 양서류의 일종. 어감상 한자어 같으나 아니다. * 도요: 도요샛과를 이르는 말. * 동고비 * {{{#8b4513,#wheat 돝}}}: ((일부 속담에 쓰여)) ‘돼지’를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8094|돝]], 돋 《출전》 彘 돋 톄 豚 삿기 돈 - 훈몽자회(상)(1527) * [[돼지]]: 멧돼짓과의 포유류. *《옛》 되아지,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2434|되야지]], 도야지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3|돼지(샘)]] / ‘되아지’는 기원적으로 ‘돝’에 관형격 조사 ‘-ᄋᆡ’, “새끼”를 뜻하는 ‘아지’가 결합한 ‘*도ᄐᆡ아지’에서 변화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실제 문헌에는 ‘*도ᄐᆡ아지’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다. ‘되아지’는 ‘망아지, 송아지, 강아지’와 마찬가지로 본래 “새끼”를 가리키는 어휘였으나 19세기부터 이미 의미가 확장되어 ‘돝’을 대신하여 쓰이게 되었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돼지) * [[두꺼비]]: 두꺼빗과의 양서류. *《옛》 둑겁, 둑거비, 둑겁이, 둑구비, 둑게비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81850|두꺼비(샘)]] * 두껍: ‘두꺼비’의 준말. *《옛》 둑겁 《출전》 둑겁집 蟾家 - 한불자전(1880) * 두루미: 두루밋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두루미, 두로미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04055|두루미(샘)]] * 두루치: 상어 * {{{#8b4513,#wheat 두터비}}}: ‘두꺼비’의 방언(평북). *《옛》 두텁,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8003|두터비]], 둣터비, 두텁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81850|두꺼비(샘)]] * {{{#8b4513,#wheat 두텁}}}: 두꺼비.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5779|두텁]] 《출전》 두텁為蟾蜍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따오기: 저어샛과의 겨울 철새. *《옛》 다와기, 다오기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35134|따오기(샘)]] * [[매(조류)|매]]: 맷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매 《출전》 奮은 매 ᄂᆞᆯ애 티ᄃᆞ시 가ᄇᆡ얍고 ᄲᆞᄅᆞᆯ씨오 - 월인석보(10)(1459) * 매미: 매밋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1707|ᄆᆡ야미]], ᄆᆞ얌이, ᄆᆡ얌이, ᄆᆡ암이, 매암이 《출전》 蜩 ᄆᆡ야미 됴 蟬 ᄆᆡ야미 션 螓 ᄆᆡ야미 진 螗 ᄆᆡ야미 다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0485|매미(샘)]] * {{{#8b4513,#wheat 머구리}}}: ‘개구리’의 방언(함경).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90239|머구리]] 《출전》 蟼 머구리 겨ᇰ 黽 머구리 며ᇰ 蛙 머구리 와 蟈 머구리 국 - 훈몽자회(상)(1527) * 메추라기: 꿩과의 겨울 철새. *《옛》 모ᄎᆞ라기, 모ᄎᆞᄅᆞ기, 몯ᄎᆞᄅᆞ기, 못ᄎᆞᄅᆞ기, 묘차락이, 뫼ᄎᆞ라기, 뫼ᄎᆞ락이, 뫼초라기, 묏초락이, 뫼쵸라기 《출전》 鷸 모ᄎᆞ라기 암 鶉 모ᄎᆞ라기 슌 - 훈몽자회(1527), 鶉 모ᄎᆞ라기 - 시경언해(5)(1613)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49760|메추라기(샘)]] * 무소: 포유류의 코뿔솟과에 속하는 수마트라코뿔소, 인도코뿔소, 흰코뿔소, 검은코뿔소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코뿔소]].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9266|므쇼]], 무쇼, 무소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2645|무소(샘)]] * 물뚱뚱이: 하마 * 물족제비: 수달 * 미르: 용 * 바다삵: 비버과의 동물을 이르는 말. * 바다족제비: 해달 * [[바더리]]: 말벌과의 벌.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58990|바ᄃᆞ리]] 《출전》 螉 蠮螉細腰蜂 바ᄃᆞ리벌 - 사성통해(1517), 蠮 바ᄃᆞ리 예 螉 바ᄃᆞ리 오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52192|바더리(샘)]] * 바람개비: 쏙독샛과의 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8159|ᄇᆞᄅᆞᆷ가비]] 《출전》 鷁 ᄇᆞᄅᆞᆷ가비 ᄋᆡᆨ - 신증유합(상)(157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1137|바람개비(샘)]] * 박쥐 * 뱀: 파충강 뱀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ᄇᆞ얌, ᄇᆡ암, ᄇᆡ얌, 바얌, 배암 《출전》 ᄇᆞ얌為蛇 - 훈민정음 해례본(144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6796|뱀(샘)]] * 뱁새: 휘파람샛과의 하나.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49786|볍새]], 뱝새 《출전》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7228|볍새(샘)]] * 범: 고양잇과의 포유류. 호랑이. *《옛》 범 《출전》 범為虎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67706|범(샘)]] * {{{#8b4513,#wheat 비두리}}}: 비둘기.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0636|비두리]] 《출전》 鳩 비두리 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0845|비둘기(샘)]] / 현대 국어 ‘비둘기’의 옛말인 ‘비두리’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현대 국어와 같은 ‘비둘기’ 형태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17세기까지 ‘비두리’와 ‘비둘기’가 공존하였다. 이후 18세기에 와서 ‘비두리’는 사라지고 ‘비둘기’만 남게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비둘기) * 비둘기: 비둘기목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비두리, 비둘기, 비ᄃᆞᆰ이, 비ᄃᆞᆯ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0630|비돌기]], 비들기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0845|비둘기(샘)]] * 사다새: 좁게는 펠리컨을 넓게는 사다샛과를 이르는 말. * 사마귀: 사마귓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사슴: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1352|사ᄉᆞᆷ]], 사슴 《출전》 사ᄉᆞᆷ為鹿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麋 사ᄉᆞᆷ 미 鹿 사ᄉᆞᆷ 록 麀 사ᄉᆞᆷ 우 麛 삿기 미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167|사슴(샘)]] * 살쾡이: 고양잇과의 포유류. *《어원》 삵+괴+-앙이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7323|살쾡이(샘)]] * 삵: 살쾡이.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38308|ᄉᆞᆰ]], ᄉᆞᆰㄱ, ᄉᆞᆯ, ᄉᆞᆷ, 삵 《출전》 狸 ᄉᆞᆰ 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8116|삵(샘)]] * 소: 솟과의 포유류.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56276|쇼]], 소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25875|소(샘)]] * {{{#8b4513,#wheat 소리개}}}: → 솔개. *《옛》 쇠로기, 쇼로기, ᄉᆈ로기, 소로개, 소루개, 소리개 《출전》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01041|솔개(샘)]] * 솔개: 수릿과의 새. *《옛》 쇠로기, 쇼로기, ᄉᆈ로기, 소로개, 소루개, 소리개, 솔개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01041|솔개(샘)]] * 수리: 수릿과의 독수리, 참수리, 흰꼬리수리, 검독수리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수리 《출전》 鷲는 수리오 峯ᄋᆞᆫ 묏부리오 - 월인석보(4)(1459) * 아시: 봉황 * 아롱범: 표범 * 약대: 낙타 * 여우: 갯과의 포유류.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66014|여ᅀᆞ]],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95473|여ᇫㅇ]], 엿ㅇ, 여ᅀᅳ, 여ᄋᆞ, 여으, 여오, 여우 《출전》 여ᇫ의갗為狐皮 - 훈민정음 해례본(종성해)(1446), 狐 여으 호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69296|여우(샘)]] * {{{#8b4513,#wheat 염}}}: 염소의 옛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30371|염]] 《출전》 羔 염 고 羊 염 양 - 광주천자문(1575)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6357|염소(샘)]] * 염소: 솟과의 동물. 산양(山羊).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31107|염쇼]], 염소 《어원》 염+소(쇼) 《출전》 羖 염쇼 고 - 신증유합(상)(157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6357|염소(샘)]] * [[오리]]: 오릿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49348|올히]], 올이, 오리 《출전》 鳧는 올히라 - 월인석보(8)(1459), 鴨 올히 압 鳧 믓올히 부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452|오리(샘)]] * [[올빼미]]: 올빼밋과의 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35495|옫바미]], 옷바미, 옷밤이, 올밤이, 올빰이 《출전》 鵂 옷바미 휴 鶹 옷바미 류 - 신증유합(상)(157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8412|올빼미(샘)]] * 왜가리 * 이리: 갯과의 포유류. 늑대. *《옛》 일히, 일희, 이리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47993|이리(샘)]] * 자라: 자랏과의 하나.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62242|쟈래]], 쟈라, 자라 《출전》 黿 쟈래 원 鼈 쟈래 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59106|자라(샘)]] * 제비: 제빗과의 새. *《옛》 져비, 졔비 《출전》 져비為燕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268109|제비(샘)]] * 쥐: 쥣과의 포유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쥐 * 크낙새 * 털실쥐: 친칠라 * 토끼 * 하루살이: 하루살이목의 굽은꼬리하루살이, 무늬하루살이, 밀알락하루살이, 별꼬리하루살이, 병꼬리하루살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4420|ᄒᆞᄅᆞ사리]] 《출전》 蜉 ᄒᆞᄅᆞ사리 부 蝣 ᄒᆞᄅᆞ사리 유 - 훈몽자회(상)(1527)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517632|하루살이(샘)]] * 해오라기: 왜가릿과의 새. *《옛》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14423|하야로비]],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17471|해야로비]], ᄒᆡ아로비, 하야로비, 해아로비, ᄒᆡ오라비, ᄒᆡ오락이, ᄒᆡ우라비 《참조》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318895|해오라기(샘)]] * 황새: 큰새라는 뜻의 한새에서 변형된 단어이다. * 후투티 * 힝둥새 [[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