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순창군)] [include(틀:순창군의 읍면)] || [[파일:attachment/sunchang_map.gif]] || [목차] [clearfix] == 읍 == === 순창읍 === '''淳昌邑''' 읍소재지는 남계리, 군청은 순화리에 있다.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가남리·교성리·남계리·백산리·복실리·순화리·신남리·장덕리] 인구는 '''10,310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순창군의 중심지로 [[순창군청]], [[순창경찰서|경찰서]], [[순창소방서|소방서]], 보건소, 교육청, [[순창공용버스정류장|순창시외버스터미널]], 귀래정, 순창 전통 [[고추장]] 민속마을, [[강천산휴게소]]가 있다. 중앙부를 관통하는 대하천 경천변에 조밀한 시가지가 펼쳐져 있으며 [[광주대구고속도로]] [[순창IC]]가 가남리에 위치한다. 학교는 순창초, 순창중앙초, 옥천초, 순창중, 순창북중, 순창여중, [[순창고등학교|순창고]], [[순창제일고등학교|순창제일고]]가 있다. 전국 최초의 '''지자체 공립 [[학원]]'''인 옥천인재숙이라는 기관이 순창읍에 있다. == 면 == === 구림면 === '''龜林面''' 면소재지는 운남리, 관할 법정리는 14개이다.[* 구곡리·구산리·구암리·금창리·금천리·방화리·성곡리·안정리·운남리·운북리·월정리·율북리·자양리·화암리] 인구는 '''2,245명'''.[*A] 1935년 '구'암면과 무'림'면이 통합되어 한 글자씩 따 명명됐다. 회문산자연휴양림이 있다. 792번 지방도를 통해 [[담양군]] 용면과 접한다. 정치인 [[정동영]]이 이곳 출신이다. 순창의 하위 행정구역 중에서 가장 넓다(83.51㎢). 학교는 구림초, 구림중이 있다. [[2023년]] [[3월 8일]]에 일어난 [[순창 트럭 추돌 사망사고]]가 여기서 일어났다. === 금과면 === '''金果面''' 면소재지는 매우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고례리·남계리·내동리·대성리·매우리·목동리·발산리·방성리·방축리·수양리·장장리·청용리] 인구는 '''1,718명'''.[*A] [[담양군]], [[광주광역시]] 방면 시외버스가 방축리에 중간정차한다. 학교는 금과초가 있다. [[24번 국도]]를 통해 [[담양군]] 금성면과 접한다. === 동계면 === '''東溪面''' 면소재지는 현포리, 관할 법정리는 13개이다.[* 관전리·구미리·내산리·내령리·동심리·서호리·수장리·수정리·신흥리·어치리·이동리·주월리·현포리] 인구는 '''1,921명'''.[*A] 구송정유원지가 있다. 717번 지방도를 통해 [[임실군]] 덕치면, [[13번 국도]]를 통해 [[임실군]] 삼계면과 접한다. [[남원시]] 사매면, 대산면과도 접하지만 산악 지역이라 연결되는 도로가 없다. 순창의 동부권에서는 [[나름]] 중심지 역할을 한다. 학교는 동계초, 동계중, [[동계고등학교|동계고]]가 있다. === 복흥면 === '''福興面''' 면소재지는 정산리, 관할 법정리는 16개이다.[* 금월리·농암리·답동리·대방리·동산리·반월리·봉덕리·산정리·상송리·서마리·석보리·어은리·정산리·주평리·지선리·화양리] 구 복흥현의 중심지이다. 인구는 '''2,057명'''.[*A] 복흥면과 쌍치면은 순창군 서쪽 끄트머리에 [[정읍시]]와 [[담양군]] [[땅거스러미|사이를 비집고 나온 형상]]으로, 지형적으로 여분산-강천산을 잇는 산줄기로 분리되어 있다. 순창읍내보다는 정읍시내, 담양읍내와 좀 더 가까우며, 순창읍내로 최단거리로 가려면 중간에 담양군(용면) 땅을 거쳐 가야 한다. 담양이 가장 가깝긴 하지만 생활권은 정읍과 더 밀접하며 이 때문에 1995년 [[도농복합시|도농통합]] [[행정구역 개편]] 직전인 [[1994년]]에 복흥면 주민들이 [[정읍시]](당시 [[정주시(전라북도)|정주시]]) 편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867559|#]] [[내장산]]국립공원이 있다. 전라북도 산림박물관, 추령장승촌도 이곳에 있다. 학교는 동산초, 복흥초, 복흥중이 있다. [[담양군]], [[장성군]], [[정읍시]]와 접한다. [[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이 정계은퇴 당시 이곳에서 칩거했다. === 쌍치면 === '''雙置面''' 면소재지는 쌍계리, 관할 법정리는 18개이다.[* 금성리·금평리·도고리·둔전리·방산리·시산리·신성리·쌍계리·양신리·오봉리·옥산리·용전리·전암리·종곡리·종암리·중안리·탕곡리·학선리] 인구는 '''1,896명'''.[*A] 이웃한 복흥면과 마찬가지로 정읍 생활권인 동네다. 순창읍과 별개로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행 [[시외버스]]가 별도로 운행한다. 전봉준장군피체지가 있다. 학교는 시산초, 쌍치초, 쌍치중이 있다. [[55번 지방도]]를 통해 [[정읍시]] 산내면, [[29번 국도]]를 통해 [[정읍시]] 내장상동과 접한다. [[생수]] [[아이시스]]의 수원지이다. === 유등면 === '''柳等面''' 면소재지는 외이리, 관할 법정리는 6개이다.[* 건곡리·무수리·오교리·외이리·유촌리·창신리] 인구는 '''1,043명'''.[*A] [[섬진강]]이 면의 가운데를 남북으로 흐른다. 동쪽으로 [[남원시]] 대강면과 접한다. 가뜩이나 인구가 적은 순창군에서도 가장 인구가 적어 1000명 선이 위태로운 면이다. 학교는 유등초 하나 있다. === 인계면 === '''仁溪面''' 면소재지는 도룡리, 관할 법정리는 11개이다.[* 가성리·갑동리·노동리·도룡리·마흘리·세룡리·심초리·쌍암리·중산리·지산리·탑리] 인구는 '''1,442명'''.[*A] [[27번 국도]]를 통해 [[임실군]] 덕치면과 접한다. 순창에서 전주로 가는 길목이다. 학교는 인계초 하나 있다. === 적성면 === '''赤城面''' 면소재지는 고원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고원리·괴정리·내월리·대산리·석산리·운림리·지북리·평남리] 인구는 '''1,218명'''.[*A] [[남원시]] 방면 시외버스가 중간정차하며 동쪽으로 [[남원시]] 대강면과 접한다. 2000년대 초반 [[섬진강]]을 막아 적성댐을 만들려 하였다가 반발을 빚었다. [[채계산 출렁다리|국내 최장 구름다리]]도 있다. 학교는 적성초가 있다. 마계마을이 있다. === 팔덕면 === '''八德面''' 면소재지는 용산리, 관할 법정리는 8개이다.[* 광암리·구룡리·산동리·용산리·월곡리·장안리·창덕리·청계리] 인구는 '''1,368명'''.[*A] 나름 지역 내 명소로 광주시민들이 종종 찾는 강천산군립공원, 강천사, 창덕리 남근석이 있다. 강천로변에 메타세콰이아길이 조성되어 있다. 구룡리에 있는 강천레미콘 건너편에 차를 세우고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담양군]]에 있는 그곳과는 달리 입장료 따위는 없다. 학교는 팔덕초가 있다. === 풍산면 === '''豊山面''' 면소재지는 반월리, 관할 법정리는 12개이다.[* 금곡리·대가리·두승리·반월리·삼촌리·상촌리·용내리·우곡리·유정리·죽곡리·죽전리·한내리] 인구는 '''1,631명'''.[*A] 대풍교를 건너면 [[남원시]] 대강면, [[27번 국도]]를 통해서는 [[곡성군]] 옥과면과 접한다. 특색있는 지명으로 유명한 [[대가리]]가 이곳에 소재해 있다. 학교는 풍산초가 있다. [[분류:순창군]][[분류:순창군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