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jpg]] [목차] == 개요 == 順天 梅谷洞 石塔 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三尊坐像. [[조선]] [[세조(조선)|세조]] 14년인 1468년에 만들어진 청동불감 및 금동삼존불좌상.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의 보물|대한민국 보물]] 제1874호이다. == 내용 == 조선 세조 때 국가의 지원으로 [[전라도]]에서 만들어진 금동아미타불·관음보살·지장보살 삼존 좌상이다. 조선 세조가 1458년 4월에 직접 창건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792&cid=40942&categoryId=33081|수종사]]의 금동 불감(보물 제1788호)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원래 순천 매곡동의 폐석탑 안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2003년에 [[도굴]]당했고, 이후 골동품 시장에서 불법으로 유통되다가 2015년에 문화재청 단속반이 발견해 회수한 것이다. 정교한 제작 기법으로 조성된 예술품이며, 이 문화재가 만들어진 조선 세조 시기의 불교문화를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는다.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EC%88%9C%EC%B2%9C_%EB%A7%A4%EA%B3%A1%EB%8F%99_%EC%84%9D%ED%83%91_%EC%B2%AD%EB%8F%99%EB%B6%88%EA%B0%90_%EB%B0%8F_%EA%B8%88%EB%8F%99%EC%95%84%EB%AF%B8%ED%83%80%EC%97%AC%EB%9E%98%EC%82%BC%EC%A1%B4%EC%A2%8C%EC%83%81|한국어 위키백과 :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60304&cid=46659&categoryId=4665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 보물 제1874호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8740000,24|문화재청 홈페이지 : 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順天 梅谷洞 石塔 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三尊坐像)]] >금동아미타삼존상은 관음과 지장으로 이루어진 아미타삼존불의 형식이라든지 각이 진 지장보살상의 두건 표현 등 조선전기 15세기적 특징을 드러내며 이는 1468년이라는 제작시기와도 부합된다. 반면 불감은 탑에서 유출되면서 임의로 수리되어 완전한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불감 안에 불상을 안치했을 경우 그 규격이 잘 맞고 전각형 불감이라는 형식적인 특징에서 1468년이라는 불상의 제작시기와 부합되며, 지붕의 곡선과 구조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작품이다. 따라서 순천 매곡동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과 금동불감은 발원문을 통해 정확한 제작연대가 밝혀졌고 15세기 불상과 불감의 특징을 잘 보여 주는 귀중한 작품이며, 그 예가 없는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불감의 형식 등에서 가치가 크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금동 불상]][[분류:좌불상]][[분류:국립광주박물관 소장품]][[분류:순천시의 문화재]][[분류:광주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