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읍성)] [목차][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동·남내동·영동·행동에 있었던 [[조선]]시대 [[읍성]]. 순천부읍성이라고도 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천읍성_1912.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천읍성_1914.jpg|width=100%]]}}}|| || 1912년, 읍성 북서쪽 순천선교부에서 바라본 풍경.[*설명1 왼쪽에 북문, 가운데에 객사, 오른쪽에 관아 건물들이 희미하게 보인다([[#s-2|지도]] 참조). 왼쪽 산은 죽도봉이다.] || 1914년, 연자루와 옥천. || == 구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천읍성_1900.png|width=100%]]}}}|| || 1900년대 순천읍성 추정[*우승완,이석배,2008 우승완, 이석배. (2008). 순천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7(1), pp. 61-72.][*윤현석,2012 윤현석. (2012.11.28). [[http://kwangju.co.kr/article.php?aid=1354028400483209188|日, 1909년 의병 제압 위해 읍성 철거하며 첫 도로 개설]]. 광주일보.] || === 성벽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자루_190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자루_1920.png|width=100%]]}}}|| || 1900년대 연자루. || 1920년대 연자루. 유리창과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http://www.art8013.net/board.php?id=archive&mode=view&no=50&page=1&Search_mode=&Search_text=|#]] || * 연자루(남문): 순천의 상징적인 경관으로 랜드마크 역할을 했다. 1925년 철거되었다. 1976년 죽도봉에 복원되었지만 당대에 촬영된 사진과는 다른 모습이다.[[http://www.grandculture.net/suncheon/index/GC07601080?category=%EC%9D%B8%EB%AA%85&depth=2&name=%EB%B0%94&page=7&search=%EB%B2%BD%EC%98%A5|디지털순천문화대전]][*우승완,2015(1) 우승완. (2015.02.12). [[https://www.agor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3403|순천읍성을 들여다 보다 1]] 순천광장신문.] * 동·서·북문: 남문과 달리 옹성이 있었다.[*우승완,2015(1)] * 해자: 동·서·북문 밖에 해자가 있었다. 남문 쪽은 옥천이 해자 역할을 했다. 중앙동·남내동·영동·행동의 바깥 경계가 해자가 있던 곳을 표시하고 있다. === 성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천장.jpg |width=100%]]}}}|| || 1920년대 초반 시장[*설명2 연자루에서 객사 방향(북쪽)을 바라본 모습이다. 객사가 1920년대 후반 철거되고 도로가 생겼으므로 그 이전 시기에 찍은 사진이다.] || * 도로: 연자루와 객사를 잇는 길이 읍성의 중심 도로였다. 광장, 시장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었다. 이 중심 도로에서 동문으로 이어지는 길, 객사 서쪽 담장을 따라 북문으로 이어지는 길, 관아 구역 북쪽과 남쪽을 따라 서문으로 이어지는 길이 있었다.[*우승완,이석배,2008] * 객사: 중앙동(법정동) 일대, 중앙로가 지나가는 부지가 객사 영역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순천공립보통학교(현 순천남초) 교사로 사용되었다가 1920년대 후반 학교가 저전동으로 이전하면서 철거됐고 도로가 났다.[*우승완,2015(2) 우승완. (2015.05.22). [[https://www.agor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027|순천 최초의 근대 교육기관 ‘순천남초등학교’]] 순천광장신문.] * 관풍루: 객사의 정문이었다. * 내아·관아: 중심 도로 서쪽에 면해 있었다. 현 삼성생명빌딩-청소년수련관 일대이다. * 시장: 연자루(남문)와 객사를 잇는 도로가 5일장의 중심이었다. 1929년 웃장으로 이전했다.[*우승완,2015(3) 우승완. (2015.06.12). [[https://www.agor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4174|조선시대 장터와 순천 ‘웃장’]] 순천광장신문.][clearfix] === 성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선정_1909.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환선정_1920.png|width=100%]]}}}|| || [[남한 대토벌 작전|1909년]] 환선정 || 1920년대 환선정[[http://www.art8013.net/board.php?id=archive&mode=view&no=50&page=1&Search_mode=&Search_text=|#]] || * 환선정(喚仙亭)): 1544년 동천변에 처음 지어졌다. 활터가 있었다. 조선 시대에 여러 번 중수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회의실, 교실, 불교 포교당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해방 후에는 교회당으로도 이용되다가 1962년 대홍수로 유실되어 현판만 남았다. 1988년 죽도봉에 복원되었지만 일제강점기 사진과는 다른 모습이다.[[http://www.grandculture.net/suncheon/toc/GC07601081|디지털순천문화대전]][*김현진,2018 김현진. (2018.10.25). [[https://www.agor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9114|신선을 부르던 순천 환선정(喚仙亭)의 발자취]]. 순천광장신문.] 19세기 지도에는 인근에 하중도가 있는 것으로 나온다. 이후 물길이 바뀌어, 1915년 지적도에는 연못으로 나온다([[#s-2|지도]] 참조). 이 연못은 1930년대에 메워진다. * 우선정(遇仙亭): 1871년 동천의 하중도에 지어졌다. [[분류:조선/성채]][[분류: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