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의 후궁]] [[분류:1713년 출생]] [[분류:1760년 사망]] [include(틀:청의 후궁(천명제 ~ 선통제))] ||<-4> {{{#gold '''청나라 건륭제의 후궁'''}}}[br]{{{#gold {{{+1 '''순혜황귀비 | 純惠皇貴妃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순혜황귀비 소씨.jpg|width=100%]]}}} || || '''{{{#gold 생몰년도}}}''' ||<-3>1713년 5월 21일 ~ 1760년 4월 19일(46세) || ||<|2> '''{{{#gold 시호}}}''' ||<-3>순혜황귀비(純惠皇貴妃) || |||| || '''{{{#gold 지위}}}''' ||<-3>격격 ⇒ 순(純)빈 ⇒ 순비 ⇒ 순귀비 ⇒ 순황귀비[* 황후 내정자였던 휘발나랍씨와 계황후 유폐 이후 사실상 황후 자리를 대행했던 효의순황후를 제외하고 건륭제의 황귀비 중 유일하게 생전에 책봉식을 마쳤다.]|| || '''{{{#gold 성}}}''' ||<-3>소씨|| || '''{{{#gold 가계}}}''' ||<-3>부친 소소남(蘇召南) || || '''{{{#gold 부군}}}''' ||<-3>[[건륭제]] || || '''{{{#gold 자녀}}}''' ||<-3>황3자, 황6자, 황4녀|| [목차] [clearfix] == 개요 == 청나라 고종 [[건륭제]]의 후궁이며 화석화가공주(和硕和嘉公主)의 친정어머니이다. == 생애 == 1728년 당시 황태자 신분이었던 건륭제(乾隆帝)의 측실로 간택되었고, 1735년 시아버지 옹정제(雍正帝)의 붕어(崩御)와 아울러 부군 건륭제(乾隆帝)가 보위에 오르는 것을 목도하였으며, 건륭제와의 사이에서 소생 2남 1녀를 두었다. == 자녀들 == *황3자 다라순군왕(多羅循郡王) 애신각라 [[아이신기오로 융장|영장]] (1735년 ~ 1760년) 사후 순군왕으로 추봉되었다. *황6자 화석질친왕(和碩質親王) 애신각라 [[아이신기오로 용이옹|영용]] (1743년 ~ 1790년) 신정군왕(愼靖郡王) 윤희(允禧)의 양손자로 입적되었다. *황4녀 [[화석화가공주]]和碩和嘉公主) 일등충용근각공 (一等忠勇勤恪公) 태자태보 근각공 부찰 복륭안(勤恪公 富察 福隆安)에 하가하였다. == 대중매체 == *[[여의전]] [[소록균]]을 연기한 배우 호가 [[파일:luyun.jpg|width=400]] *[[연희공략]] [[소정호]]를 연기한 배우 왕원가 [[파일:연희공략.소정호.jpg|width=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