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현진건]]의 단편작[* [[1921년]] <개벽>으로 발표]으로,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무기력을 다룬 작품이다. 사회가 [[술]]을 권한다는 제목이 인상적인 작품. [[https://ko.wikisource.org/wiki/%EC%88%A0_%EA%B6%8C%ED%95%98%EB%8A%94_%EC%82%AC%ED%9A%8C|읽어 보기]] == 줄거리 == 아내는 결혼한 지 7~8년째 홀로 [[일본]] [[도쿄]]에 간 남편을 기다린다. 공부라는 것을 돈 나오는 도깨비 방망이라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그러나 돌아온 남편은 생각했던 똑똑한 사람과는 다르다. 매일 술에 만취해 들어오는 것이다. 어느 날 새벽 2시에 만취해 귀가하는 남편에게 아내는 "술 좀 그만 마시라"고 투정한다. 남편은 무엇이 자신에게 술을 먹이는지 아내에게 물어본다. 아내는 "하이칼라와 [[홧병]]"이라고 답하지만, 남편은 "둘 다 답이 아니다"라고 한다. 남편은 "조선 [[사회]]가 나에게 술을 권한다"고 말하지만, 아내는 사회라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society라는 서양의 개념을 일본에서 번역한 것이 '사회(社會)'인데, 아내의 이 반응에서 당시 '사회'라는 단어 자체가 [[신조어]]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저 [[요릿집]] 정도로만 생각한다. 남편은 "아아! 답답해!" 하면서 집을 나서고, 아내는 "그 몹쓸 사회가, 왜 술을 권하는고!"라며 절망한다. >여기 회(會)를 하나 꾸민다 합시다. 거기 모이는 사람놈 치고 처음은 민족을 위하느니, 사회를 위하느니 그러는데, 제 목숨을 바쳐도 아깝지 않느니 아니하는 놈이 하나도 없어. 하다가 단 이틀이 못되어, 단 이틀이 못되어… 되지 못한 명예 싸움, 쓸데없는 지위 다툼질, 내가 옳으니 네가 그르니, 내 권리가 많으니 네 권리 적으니… 밤낮으로 서로 찢고 뜯고 하지, 그러니 무슨 일이 되겠소. 회(會)뿐이 아니라, 회사이고 조합이고… 우리 조선놈들이 조직한 사회는 다 그 조각이지. 이런 사회에서 무슨 일을 한단 말이요. 하려는 놈이 어리석은 놈이야. 적이[* 꽤 어지간한 정도로] 정신이 바루 박힌 놈은 피를 토하고 죽을 수밖에 없지. 그렇지 않으면 [[술]]밖에 먹을 게 도무지 없지. 나도 전자에는 무엇을 좀 해보겠다고 애도 써보았어. 그것이 모다 수포야. 내가 어리석은 놈이었지. >- 작중 인용 좋은 일을 해보려고 해도, 서로 [[서열]]과 [[권위주의]] 때문에 찢고 뜯고 하다가 망하는 꼴을 여러 차례 보면서 생긴 절망 때문에 술을 마시는 것이다. 작가 현진건의 다른 작품인 [[운수 좋은 날]]과 마찬가지로, 언론에서 의외로 '~~ 권하는 사회' 형식으로 [[패러디]]가 자주 되어 등장하는 제목이다. 드라마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신마적]]의 모티브로 작중 주인공의 남편의 속성을 따온 게 아닌가 싶다. 그런데 제목대로 술 권하는 사회가 나타났다. 그것도 [[현진건]]이 살던 시대에 조선을 식민지배했던 일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XfmonAd_C-M|출처]] [[분류:1921년 소설]][[분류:한국 소설]][[분류:현진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