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이라크|[[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height=40]]]] [[이라크|{{{#fff '''이라크 국방부 장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사담 후세인|{{{-2 {{{#fff 사담 후세인 정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가지 마샬 아질 알 야워|{{{-2 {{{#fff 가지 마샬 아질 알 야워 정부}}}}}}]]}}} || || 제4대[br][[알리 하산 알 마지드]] || → || '''제5대[br]술탄 하심''' || → || 초대[br][[하심 알 샤랄란]] || ||<-2> '''이라크 국방부 장관[br]{{{+1 술탄 하심 아흐마드 앗타이}}}[br]سلطان هاشم أحمد محمد الطائي'''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72668859.webp|width=100%]]}}} || || '''성명''' ||술탄 하심 아흐마드 앗-타이[br]سلطان هاشم أحمد محمد الطائي[br]Sulṭān Hāshim Aḥmad Muḥammad al-Ṭāʾī || ||<|2> '''출생''' ||[[1944년]] || ||[[이라크 왕국|[[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width=28]] 이라크 왕국]] [[모술]] || ||<|2> '''사망''' ||[[2020년]] [[7월 19일]] (향년 74-75세) || ||[[이라크|[[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8]] 이라크]] [[나시리야]] 중앙 감옥 || || '''사망 원인''' ||[[심장마비]]에 의한 사망 || || '''묘소''' ||[[모술]]의 와디 아카브 묘지 || ||<|4> '''재임 기간''' ||[[니네베|니네베 주지사]] || ||[[1994년]] ~ [[1999년]] || ||[[이라크]] 국방부 장관 || ||[[1995년]] ~ [[2003년]] [[4월 9일]][*폐지]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종교''' ||[[수니파]] [[이슬람]] || || '''직업''' ||[[군인]] || || '''국적''' ||[[이라크|[[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8]] 이라크 공화국]] || || '''정당''' ||[include(틀:바트당)] {{{-2 ([[바트당#s-3|이라크]])}}} || || '''가족 관계''' ||배우자[br]슬하 8남 2녀 || || '''약력''' ||[[이라크]] [[니네베]] 주지사[br]이라크 국방부 장관 || ||<-2>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10px" [[이라크군|[[파일:이라크 국장(1991-2004).svg|width=34]]]]}}}||}}}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2px -8px" [[이라크군|{{{#fff,#000 '''이라크군'''}}}]] {{{#!wiki style="margin: -3px 0px" '''{{{#fff,#000 군사 경력}}}'''}}}}}} ||}}}}}} || || '''임관''' ||이라크 군사학교 || ||<|2> '''복무''' ||[[이라크군|이라크 육군]] || ||[[1960년]][br][[2003년]] [[4월 9일]] || || '''주요 참전''' ||[[이란-이라크 전쟁]][br][[걸프 전쟁]][br][[이라크 전쟁]] ||}}}}}}}}} || [목차] [clearfix] == 개요 == Sulṭān Hāshim Aḥmad Muḥammad al-Ṭāʾī 아랍어 : سلطان هاشم أحمد محمد الطائي [[이라크]]의 군인. [[사담 후세인]] 정권에서 국방부 장관을 재임했다. 이라크에서 가장 유능했던 군 사령관들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인물으로 여단 2대, 사단 3개, 정규군 2명을 지휘했고 [[알리 하산 알 마지드]]의 뒤를 이어 사담 후세인 정권의 마지막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이라크 전쟁]] 이후 전쟁 범죄와 학살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당시 이라크 대통령 [[잘랄 탈라바니]]의 반대로 사형이 집행되지는 않았고 [[2020년]], [[심장마비]]로 쓰러져 74(혹은 75)세의 나이로 감옥에서 사망했다. == 일생 == === 젊은 시절과 군 복무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술탄 하시심.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ltan_hashm01.jpg|width=100%]]}}} || ||<-2> 군 복무 당시의 술탄 하심 || [[1944년]], [[이라크]]의 [[모술]] 시에서 태어났다. 주로 [[1945년]] 출생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1944년]] 출생이라고 한다. [[https://web.archive.org/web/20200619100132/https://www.azzaman.com/%D8%A3%D9%88%D9%84-%D9%85%D9%82%D8%A7%D8%A8%D9%84%D8%A9-%D9%85%D8%B9-%D9%88%D8%B2%D9%8A%D8%B1-%D8%A7%D9%84%D8%AF%D9%81%D8%A7%D8%B9-%D8%A7%D9%84%D8%A3%D8%B3%D8%A8%D9%82-%D9%85%D9%86%D8%B0-%D9%86%D9%8A/|#]] 그의 가문은 [[낙타]]를 방목하던 평범한 가문으로 그의 아버지는 그가 장교로 [[이라크군]]에 입대하고자 하자 군대가 그에게 큰 부담이 되고 그 끝이 좋지 않을 수 있다며 그가 군인이 되려고 하는 것을 만류했다. 하지만 그는 아버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모술 중앙 학교에서 증명서를 받자마자 군대에 입대를 신청해 [[1963년]]에 졸업했고 [[1966년]] [[중장]]으로 입대했다.[* 체포된 후 아버지의 조언을 무시한 것이 자신의 인생 중 가장 큰 실수였다고 언급했다.] [[1970년]], 그는 가문의 전통대로 자신의 [[사촌]]과 결혼해 8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낳았다. 그 중 장남은 1975년 태어난 '아마드'이고, 막내는 1995년생이다. 그는 [[이라크군]] 소속으로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 전쟁]]에 참전했고, 그 과정에서 큰 활약을 해 많은 훈장들과 메달들을 받았다. 다만 그는 이라크 북부에서 일어난 안팔 학살의 책임자이기도 했다. 2차 걸프 전쟁 당시에는 작전 담당 부국장을 맡아 1993년까지 재직했다. [[1991년]] 휴전 협상에 이라크 대표단으로 참석해 연합군과 휴전 협상을 진행했다. 1994년부터는 [[니네베]]의 주지사로 재임하기도 했다. ==== 주요 경력 ==== 소대장, 중대장, 부연대장을 거친후 1995년에 군사대학에서 교수로 지냈다. 이후 제5여단 / 4사단 아메르푸주에 배치되어 [[여단장]]직을 맡았고, [[사단장]]을 거쳐 [[1985년]] [[군단장]]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5년 동안 지휘를 맡다가 제6군단과 제1군단을 각각 이끄는 군단은 곧 알미라 사무부 차관으로 옮겨졌고, 그 후 그는 1995년부터 육군 참모총장직을 맡았고, 그 후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 이라크 국방부 장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سلطان-هاشم-أحمد.jpg|width=100%]]}}} || ||<-2> 이라크 국방부 장관 재임 모습 || [[1996년]]부터 [[알리 하산 알 마지드]]의 뒤를 이어 사담 후세인 정권의 5번째이자 마지막 국방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는 대통령 [[사담 후세인]]과 매주 만나며 안보 문제를 의논했는데 그는 반역죄 등으로 몰려 개인적인 평판이 손상될 수 있어 조심했다고 한다. [[2003년]] [[2월 17일]], [[가택연금]]에 처해졌다. [[https://web.archive.org/web/20130826224655/http://www.theguardian.com/world/2003/feb/18/iraq.lukeharding|#]] 같은 해 [[3월 20일]], 미국 행정부는 술탄 하심을 비롯한 이라크의 주요 관료들을 현상 수배함과 동시에 이라크를 침공했고 결국 몇 주만에 이라크의 수도인 [[바그다드]]가 함락당하고 말았다. === 최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안팔 학살/재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addam_Hussein's_former_Defense_Minister,_Sultan_Hashim_Ahmad,_in_Baghdad,_Iraq.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343.jpg|width=100%]]}}} || ||<-2> 체포되어 재판을 받는 술탄 하심 || [[2003년]] [[9월 19일]], 거의 일주일간의 협상 끝에, 그는 [[모술]]에서 제101공수사단에게 자수했다.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소장에게 항복을 주선한 다우드 바기스타니는 "아흐마드는 매우 존경스럽게" 인도됐으며 당시 가족과 함께 있었다고 말했다. 바기스타니는 미군이 아흐마드의 이름을 지명 수배자 55명 명단에서 삭제하기로 약속했다고 말했으며 이는 아흐마드가 무기한 구금 및 기소될 가능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얼마 뒤 안팔에서의 학살과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고 [[사형]] 선고를 받았다. 그러나 당시 [[이라크]]의 대통령 [[잘랄 탈라바니]]의 반대로 사형이 실제로 집행되지는 않았다. [[2018년]] 이라크 하원의장 살림 알 자부리은 술탄 하심의 건강 문제를 우려해 사면을 촉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https://www.kurdistan24.net/en/news/e3a15126-8cc8-4ee5-8d2f-8bdac85ec090|#]] 이후 그는 [[바그다드]]의 감옥에서 나시리야의 감옥으로 이송되었다. [[2020년]] [[7월 19일]], 나시리야의 감옥에서 [[심장마비]]로 쓰러졌고 결국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74 / 75세. == 여담 == 체포된 이후 "내 군대 생활은 다른 사람들에게 이익이 없었습니다. 이라크-이란 전쟁 기간 동안 나는 수십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제6군단의 지휘관에서 제1군단의 지휘로 옮겨진 날 전쟁이 끝나기 몇 달 전인 1988년 중반에 제1군단의 중위, 사령관이 아닌 장교들은 군대에서 탈출 한 것으로 기록되어 법원에 회부되어 사형을 선고받은 후 판결을 이행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습니다."라는 발언을 하였다. 생전 [[마라톤]]을 취미로 즐겼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Iraq Most wanted playing cards)] [각주] [[분류:이라크의 군인]][[분류:이라크의 무슬림]][[분류:1944년 출생]][[분류:2020년 사망]][[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분류:옥사한 인물]][[분류:이라크 바트당 소속]][[분류:모술 출신 인물]][[분류:탈파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