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시성(산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산시성(산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산서성)|{{{#000,#ddd 산시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朔州, ruby=Shuòzhōu)][ruby(市, ruby=Shì)] | [ruby(朔州, ruby=Sua2zou1)][ruby(市, ruby=Si3)]}}}'''[br]숴저우시 | Shuozhou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朔州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산시성(산서성)|산시성]] 숴저우시 스청구 스푸제3호[br]山西省朔州市朔城区市府街3号 || ||<-2> '''{{{#ffff00 지역}}}''' || [[화베이]] || ||<-2> '''{{{#ffff00 면적}}}''' || 10,662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구 1시 3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593,444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49.4명/km² || ||<-2> '''{{{#ffff00 서기}}}''' || 장쓰칭(姜四清) || ||<-2> '''{{{#ffff00 시장}}}''' || 우슈링(吴秀玲)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172억 4,479만 ^^(2020)^^ || || '''{{{#ffff00 1인당}}}''' || $10,822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접시꽃]] || || '''{{{#ffff00 시목}}}''' || [[당버들]] || ||<-2> '''{{{#ffff00 차량번호}}}''' || '''晋F'''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삭주|'''朔''']]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14'''06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349''' || ||<-2> '''{{{#ffff00 우편번호}}}''' || '''036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X-06''' ||}}}}}}}}} || ||<-3> [[http://www.shuozhou.gov.cn/|홈페이지]] || [[파일:안문관 1.jpg|width=470]] 주요 명소인 옌먼관의 전경 [목차] [clearfix] == 개요 == [[산시성(산서성)|산시성]] 소속의 지급시. 인구는 약 160만명이다. == 역사 == 고대에는 [[북적]]계열 민족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 땅이 중국사에 편입된 때는 [[조나라]] 이후이다. [[진(영성)|진나라]] 때에 건설된 [[만리장성]]의 일부가 숴저우를 지나갔으며, 현재 이 구간은 장성 옌먼관(雁门关)구간이 되어 숴저우의 주요 관광자원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다만 옌먼관 구간의 입장은 숴저우보단 [[신저우]]로 많이 한다.] 현 명칭인 숴저우, 즉 삭주(朔州)가 처음 등장한 시기는 [[남북조시대]] [[북제]]에 의해서였으며 당나라 때에 명칭이 잠깐 마읍(马邑)으로 변경되기도 한다. 이후 [[송나라]] 때에 삭녕부(朔宁府)가 들어섰고 [[원나라]] 때에 다시 명칭이 삭주로 변경된다. 그리고 [[명나라]] 때에 현 숴저우의 일부였던 선양현(鄯阳县)을 편입시켰고 이후 여러번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서 [[1725년]]에 삭평부(朔平府) 소속으로 자리잡는다. 한동안 저 상태이다가 [[1912년]]에 명칭을 숴현(朔县)으로 교체하였고 이후 치하얼성(察哈尔省)에 속하다가 [[1952년]]에 산시성으로 편입, [[1989년]]에 시로 승격되면서 주변의 위안서현(原朔县), 핑루현(平鲁县), 산인현(山阴县)을 편입하고 현재에 이른다. == 경제 == 산시성 도시들이 다 그렇지만 숴저우도 석탄이 만만찮게 난다. 숴저우에 매장된 [[석탄]]의 추정치는 494.1억 톤정도 되며, 산시성의 약 20%를 차지하는 굉장히 거대한 석탄 산지이다. 숴저우시는 이를 이용하여 현재 발전산업을 크게 성장시키고 있는 중이다. 또한 [[석회암]] 및 고점토, [[알루미늄]] 광산 역시 숴저우의 주요 수입원이다. == 관광 == [[파일:옌먼 4.jpg]] [[파일:안문 1.jpg]] [[파일:안문 2.jpg]] [[파일:옌먼 5.jpg]] 옌먼관 (혹은 위먼관) 위에서 설명한 위먼관 장성 외에도 세계 최대의 목탑이 있는 사찰인 [[불궁사]]가 숴저우시 잉현(应县)에 위치 해 있으며, 그래서인지 산시성 벽지에 있는 도시임에도 [[2019년]] 기준 2,200만의 관광객이 방문하였다고 한다. 당연히 해외에서도 많이 방문하며 국내 관광객의 후기도 적잖게 볼 수 있다. == 교통 == 관내에 숴저우 상간허 공항(朔州桑干河机场)이 존재하고 중국 내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철도역으로는 숴저우역(朔州站)과 숴저우 서역(朔州西站)이 존재하며 두 역 모두 베이퉁푸 철도(北同蒲铁路)와 선숴 철도(神朔铁路)가 지나가는 일반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