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Stadlerlogo.jpg|width=300]] [[https://www.stadlerrail.com/|홈페이지]] == 개요 == [[스위스]]의 [[철도차량/제작사|철도차량 제작사]]. 아시아 시장에서는 존재감이 거의 없는 제작사지만, 유럽에서는 높은 신뢰성과 유지보수성을 바탕으로 시장 주류를 차지하는 근교형 [[저상열차]]와 로컬선용 연접 차량 제작에 특화되어 2000년대 중반부터 순식간에 시장을 석권한 기업이다. 1942년 창립 당시에는 주로 산악용 철도차량이나 [[협궤]] 열차, [[배터리]] 구동 열차를 만들던 스위스의 작은 가족 기업이었다. 그러다 2000년 한창 유럽 철도 제작사 인수합병에 열심이던 [[봄바르디어]]가 [[독일]] [[Adtranz]]를 인수하던 과정에서 근교 열차와 [[트램]]을 만드는 [[베를린]] 공장을 분리하여 Adtranz의 합작사였던 슈타들러에 넘기면서 본격적으로 유럽 시장의 메이저 제작사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창립 당시부터 갈고닦은 기술력을 살려 지금도 타 제조사에 비해 배터리 및 수소 열차, 산악 철도, 협궤 로컬선용 차량, 각종 특수 주문 제작 차량 등의 니치 마켓에서도 입지가 상당한 편이다. 유럽 시장 외에는 [[미국]]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마땅한 DMU 제작 업체가 없는 북미 시장에서 GTW와 FLIRT의 디젤 모델이 꽤 많이 도입되고 있다. FRA 규제 완화 이후에는 EMU 시장에서도 [[샌프란시스코]] [[Caltrain]]에 KISS 모델이 도입될 예정이다.] [[인도]]와 [[인도네시아]]에 합작 법인을 설립했다. 2022년 상술한 인도네시아의 국영 철도차량 업체 INKA와의 합작 법인이 [[KRL 자보데타벡]]의 신차를 수주하면서, 아시아 시장도 공략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가 그동안 일본산 중고차량이 주름잡았던 곳이었던 만큼, 슈타들러의 수주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https://toyokeizai.net/articles/-/589479|#]] 이 회사의 차량들은 거의 다 [[ABB]]의 전장품이 조합되어 있다. 최초의 자체 개발 모델인 GTW가 [[동력거점식]]을 채용했고, 이후에 내놓은 열차들도 매우 낮은 MT 비율로 동력거점식과 동력분산식을 혼합한 설계를 가진다. == 차량 플랫폼 라인업 == 여느 유럽 제조사들이 그렇듯 표준화된 차량 플랫폼을 바탕으로 지역 상황에 맞게 커스텀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회사 이미지와 달리 대부분의 차량 명칭을 플러팅에 관련된 [[역 두문자어]]로 짓는다. GTW에 이은 두번째 모델이자 주력 모델인 [[플러팅|플러트]]를 시작으로 [[미소|스마일]], [[키스]], [[윙크]], [[탱고]] 등. 사람 생각하는 건 다 비슷한지 앞의 이름들에서 한발짝 더 나아간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1145073010|섹스]]나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1145076764|난교]](...) 따위의 이름을 단 [[시티즈 스카이라인]] MOD가 존재한다. === 고속철도 === [[파일:01_ec250_smile_cam1_white_3k_srgb.jpg|width=540]] * SMILE * Schneller Mehrsystemfähiger Innovativer Leichter Expresszug (빠르고 유연한 혁신적 경량 고속철도) * 250 km/h 급 [[저상열차|저상]] [[고속열차]]. [[연접대차]] + 저상 갱웨이 차량에 특화된 슈타들러답게 같은 설계로 고속열차를 만들었다. 기존에도 200 km/h 급 FLIRT가 존재했기에 이상할 것도 없다. 최대 275 km/h 을 기록했다. 슈타들러답게 11량짜리 열차에 동력 대차가 4개밖에 없다.[* 2′(Bo)′(Bo)′(2)′(2)′(2)′(2)′(Bo)′(Bo)′(2)′(2)′2′] === 간선 근교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4_kiss200_cam1_grey_1530px_srgb.jpg|width=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5_flirt160_cam1_grey_1530px_srgb.jpg|width=100%]]}}} || || KISS 200 km/h 모델 || FLIRT 160 km/h 모델 || * KISS * Komfortabler Innovativer Spurtstarker S-Bahn-Zug (안락하고 혁신적인 고속 [[S반]] 열차) * 2층 열차 사양. 200 km/h 모델과 160 km/h 모델이 존재하며, 200km/h급 모델은 SMILE을 닮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160km/급은 특유의 [[아이언맨]]을 닮은 전면 마스크가 적용되어있다. 단층형 모델 FLIRT 역시 KISS의 동일 속도 모델과 마스크 디자인을 공유한다. 이름대로 근교형 모델로 개발되었으나, 장거리 특급열차로 사양으로도 주문 제작이 가능하며, FLIRT와 달리 연접대차를 사용하지 않는다. 전기/디젤 선택 가능. [[오스트리아]]의 [[레일젯]], 비엔나 공항철도가 도입할 예정이다. * FLIRT * Flinker Leichter Intercity- und Regional-Triebzug (날렵하고 가벼운 도시간 및 근교형 열차) * 2004년에 선보인 주력 모델. 200 km/h 모델과 160 km/h 모델이 존재하며, 전면 마스크는 KISS와 마찬가지로, 동일 속도 모델과 공유한다. 2010년대 유럽 근교열차의 표준인 연접대차 + 저상 갱웨이 구조를 따른다. 신뢰성이 높고 운영 비용이 저렴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세계적으로 2500대 넘게 팔린 베스트셀러 모델이다. 전기/디젤/하이브리드/수소 선택 가능. 또한 보통 동력대차가 맨 앞, 뒤칸에만 설치된[* 인버터나 모터 등 전징품들은 운전실과 객실 사이에 있다.] 상태로 출고되지만 쥐트오스트반 편성처럼 중간에 동력대차를 달 수도 있다. === 저수요 근교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8_wink_cam1_grey_web_1530px_srgb.jpg|width=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_gtw_cam1_grey_1530px_srgb.jpg|width=100%]]}}} || || WINK || GTW || * WINK * Wandelbarer Innovativer Nahverkehrs-Kurzzug ((에너지원을) 변환 가능한 혁신적인 로컬 수송용 짧은 열차) * 디젤/전기 + 배터리 열차. [[동력거점식]]이며, [[네덜란드]] 북부의 로컬선에서 사용된다. [[동력거점식]]을 적용한 부분은 GTW와 동일하지만, 이를 제외한 나머지 사양은 FLIRT에 더 가깝다. FLIRT와 달리 160 km/h 모델만 존재한다. * GTW * GelenkTriebWage (연접 차량) * 1995년부터 생산해 온 저수요 로컬선용 [[동력거점식]] 모델. 동력부 양쪽에 FLIRT처럼 [[연접대차]]를 적용하는 WINK와 달리, GTW는 동력부 아래에 대차가 위치해 있다. FLIRT보다 먼저 나온 모델이라 이름에 역 두문자어가 사용되지 않았다. 전기/디젤 선택 가능. === 도시철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ina webseit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_tango_camt1_grey_1530px_srgb.jpg|width=100%]]}}} || || TINA || Tango || * TINA * Total Integrierter Niederflur-Antrieb (완전 통합 저상 차량) * [[트램]], 100% 저상. 2021년에 출시한 자체 설계 모델이다. * Tango * [[트램]], 70% ~ 100% 저상. 자체 설계 모델이다. 네이밍 테마는 다른 모델과 같지만 역 두문자어가 아니다. TINA와 달리 저상 비율을 낮추는 대신 100 km/h 주행이 가능하여 [[스위스]] [[제네바]] 처럼 단순히 도심형 트램으로 사용하는 케이스 뿐만 아니라 [[프랑스]] [[리옹]]의 100 km/h 급 Rhonexpress [[공항철도]]나 고상 차량을 사용하는 [[슈투트가르트]] 슈타트반 등 다양한 고규격 시스템에도 널리 사용된다. * Variobahn * [[트램]], 100% 저상. 1993년 [[ABB]]가 개발하여 [[Adtranz]]에서 생산하던 모델을 슈타들러가 이어받은 모델이다. 말썽 없기로 유명한 슈타들러지만 이 차량은 봄바르디어/Adtranz 생산 시절[* 헬싱키의 경우 생산은 [[탈고]]의 핀란드 자회사인 Transtech에서 위탁 생산했다.] 헬싱키에서 차체 크랙 문제로 조기에 퇴역된 바 있고, 슈타들러에서 생산하기 시작한 이후에도 같은 문제로 뮌헨에서 운행을 몇 년 동안 정지당한 적이 있었다. * Tramlink * [[트램]], 100% 저상. [[독일]] Vossloh의 Tramlink 모델을 2016년 이어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_metelitsa_camt1_grey_1530px_srgb.jpg|width=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_citylink_cam1_grey_1530px_srgb.jpg|width=100%]]}}} || || Metelitsa || Citylink || * Metelitsa * 동유럽 시장용 광궤 [[트램]]. [[냉대 기후]]에 맞춰 영하 40도에서 영상 40도까지의 환경에서 운행이 가능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트램에서 사용된다. * CITYLINK * [[트램]]-트레인용 차량. 원래는 독일 Vossloh의 모델이다. [[알스톰]]의 Citadis Dualis나 RegioCitadis에 대응되는 모델. [[영국]] [[셰필드]] 수퍼트램과 [[독일]] [[카를스루에 S반]], [[스페인]] [[알리칸테]]의 L1/L3 노선에서 사용된다. === 기관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uro9000.jpg|width=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urodual.jpg|width=100%]]}}} || || EURO9000 || EURODUAL || * EURO9000 * [[전기 기관차]]. * EURODUAL * 전기, 디젤 듀얼 모드 기관차. [[분류:스위스의 기업]][[분류:스위스의 철도차량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