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몰다비아 공)] [include(틀:TVR 선정 위대한 루마니아인)] [[파일:0130028_stefan-cel-mare-stephen-the-great.jpg]] [[루마니아어]]: Ștefan cel Mare 생몰년: 1433(?) ~ 1504 통치기: 1457 ~ 1504 [목차] [clearfix] == 개요 == [[몰다비아 공국]]의 [[프린스|보이보드]]. 별칭은 '''슈테판 대공'''(Stefan cel Mare).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두 번 막아냈고, [[명군|내정면에서도 많은 업적을 남긴 위대한 군주]]. [[왈라키아 공국]]의 [[블라드 가시공]]과 마찬가지로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맞서 싸운 영웅. 현대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으며 [[루마니아 정교회]]에서 [[시성]]된 [[성인]]이기도 하다. [[몰도바]]의 통화 [[몰도바 레우]]의 지폐의 전권종 앞면에 그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으며, [[루마니아]]의 국가, [[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에도 등장한다. == 상세 == 치세중 많은 업적을 이루어 대공(cel Mare)이라고 불리며, 루마니아의 다른 지역으로 크게 세력을 확장했다. 초기에는 [[헝가리 왕국]]을 다스리는 명군 [[마차시 1세]]와 갈등을 빚어 전쟁을 벌인 끝에 바이아 전투를 통해 패배시켰으며 이후 [[제노바 공화국]]이 [[몰다비아]] 북쪽의 [[크림 타타르]]족을 사주하는 등 주변 기독교 국가들과도 여러번 마찰을 겪었다. 1475년에는 바스루이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퇴시키는 데에 성공하면서, [[교황]] 식스토 4세로부터 "기독교 신앙의 수호자"라는 칭호를 받았다. 하지만 그 후, 1476년에 [[메흐메트 2세]]가 직접 지휘한 전투에서 패하였다. 다만 [[오스만 제국군]]은 전염병으로 후퇴하였다. 그 후로도 메흐메트 2세의 오스만 군대는 지속적으로 몰다비아, 특히 해안[* 속국인 [[크림 칸국]]과의 육로 연결을 꾀하였다.]을 노렸다. 메흐메트 2세의 야망은 그가 죽은 후인 1484년 아들 [[바예지트 2세]] 대에 가서야 이루어졌고 1494년부터 몰다비아 공국은 오스만 제국에게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 다만 [[왈라키아 공국]]보다는 자유로워서 파병의 의무는 없었다. 옆 공국인 왈라키아 공국의 군주, 그 유명한 [[블라드 가시공]]의 사촌이기도 해서, 1447년 1차 집권 직후, [[헝가리 왕국]]에게 쫒겨나 몰다비아 공국으로 도망쳤을 때 받아주며 이후 굳건한 동맹을 유지했다. 이후에 집권한 [[블라드 가시공]]의 배다른 형인, [[블라드 수도공]]과의 관계도 돈독했으며, 이 영향으로 바람잘날 없던 왈라키아 공국의 역사에 모처럼 13년이나 되는 긴 기간 + [[블라드 수도공]]의 자식의 13년, 도합 26년 동안의 긴 치세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1497년 [[폴란드 왕국]]의 국왕 [[얀 1세 올브라흐트]]를 격파하여 [[지그문트 1세|동생]]을 몰다비아 공으로 앉히려던 시도를 좌절시켰다. 내적으로는 [[몰다비아]] 지역에 세워진 여러 교회당과 수도원을 봉헌했다. 1504년 7월 2일 [[수체아바]]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푸트나(Putna) 수도원에 안치되었다. == 대중문화에서의 모습 == === 영화 === * 슈테판 첼 마레(STEFAN CEL MARE, 1975): [[https://www.youtube.com/watch?v=-LASM5rfUTs]] 감독은 Mircea Dragan. === 만화 === * [[소녀전쟁]] 외전 || 불을 잇는 자들 - 블라드 3세와 함께 후녀디를 찾아간다. [각주] [[분류:1433년 출생]][[분류:1504년 사망]][[분류:바커우 주 출신 인물]][[분류:몰다비아 공]][[분류:정교회 성인]][[분류:시성된 정교도 군주]][[분류:화폐의 인물]][[분류:루마니아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