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뛰라이더 카트바디)] {{{}}} [목차] || [[파일:슈퍼소닉V1_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슈퍼소닉V1_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 '''궁극의 초음속 스피드, 슈퍼 소닉 V1''' == 개요 == 5월 12일 소닉 콜라보 패치노트에서 먼저 언급되었고, 이후 5월 19일에 오픈한 소닉 무한부스터 복불복 모드에서 선출시 후, 5월 26일에 정식으로 출시한 V1 엔진 스페셜 카트바디.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슈퍼 소닉 V1 || || '''획득 방법''' ||<(>획득 불가 || 2022년 5월 26일부터 7월 13일까지 소닉 링 조합 이벤트를 통해 획득 가능했다. 현재는 소닉 링 사용기간 만료로 더 이상 획득할 수 없다. === 중국 === || '''카트 명칭''' ||<(>원어 명칭(음차 명칭)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대만 === || '''카트 명칭''' ||<(>원어 명칭(음차 명칭) || || '''획득 방법''' ||<(>획득 방법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 1025 || 성능 || 성능 || || '''가속력''' || 1030 || 성능 || 성능 || || '''코너링''' || 912 || 성능 || 성능 || || '''부스터 시간''' || 910 || 성능 || 성능 || || '''부스터 충전량''' ||<-3> 450 || ||<-4> '''속도''' || || '''직선 속도''' ||<-3> ? || || '''부스터 속도''' ||<-3> 293km/h || || '''출발 부스터''' ||<-3> ? || || '''헤어핀 감속''' ||<-3> 139~143㎞/h || ||<-4> '''익시드 시스템''' || || '''최고 속도''' ||<-3> ? || || '''부스터 속도''' ||<-3> 318km/h || || '''지속 시간''' ||<-3> 1초 (Type S) || || '''쿨타임''' ||<-3> '''557Frame'''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하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하 || || '''무게중심''' ||<-3> 중간 || ||<-4> '''발동 조건''' || || '''자동 변신''' ||<-3> 160km/h || || '''익시드''' ||<-3> 20% || || '''크래시 게이지''' ||<-3> 200km/h || [[소닉 V1]]의 강화형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스텟이 조금 상승한 것 외에 주행 물리는 원본과 거의 똑같다. 날아다니는 특유의 모션이 반영된 탓인지 주행감이 뛰라이더 중에서는 엄청나게 독보적이다. 뛰라이더가 아니라 붓과 같은 호버링 카트라고 봐도 될 정도로 주행 시 안정감이 많이 좋아졌다. 똑같이 공중에 둥둥 떠다니는 [[테일즈 V1]]이 [[너클즈 V1|다른]] [[소닉 V1|콜라보]] [[몰리|뛰라이더]]들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뛰어난 안정성과 접지력을 보여준 것과 비슷하게 슈퍼 소닉 V1 역시 다른 뛰라이더들과는 비교가 불가능한 안정성과 접지력을 자랑한다. 물론 그래봐야 뛰라이더이기 때문에 [[폭스 V1]], [[아이언 솔리드 V1]], [[파이어 마라톤 V1]]과는 절대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다. 또한 [[플라즈마 V1|부스터 사용]] [[로디 크로스 GT|시에 익시드가]] [[카본 비트 V1|10% 가량 더 빨리 찬다.]][* 같은 날 출시된 [[플라즈마 V1]]은 로디 크로스 GT와 카본 비트 V1처럼 10%가 아니라 '''50%''' 더 빨리 차지만 대신에 익시드 가속력이 '''25%'''나 감소한다.] S타입 카트바디 중에서 이 기능을 가진 카트는 슈퍼 소닉 V1이 최초이다. 원체 감속이 좋아 드탈이 높지 않아도 톡톡이 가속이 잘 올라가기에 바퀴 파츠 의존도가 낮은 것도 소소한 장점.[* 레어 파츠라 잘 와닿지 않아서 그렇지 드탈 1025 정도면 사실 엄청나게 높은 거다.] 파츠 수급처에서 가장 안 나오는 바퀴 파츠를 레어 4~6 정도로만 달아주거나 아예 스킵할 수도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후순위로 미룰 수 있다' 정도지 좋은 바퀴 파츠를 달아서 성능이 올라가는 건 슈퍼 소닉 V1 역시도 마찬가지기 때문에 파츠가 충분하거나, 진심으로 이 카트바디를 주력으로 굴릴 마음이 있다면 고파츠 장착을 마다할 이유는 없다.] 반대로 극악한 게이지 충전량 때문에 부스터 파츠 의존도는 매우 높다. 기존부터 소닉류를 좋아하는 유저였다면 슈퍼 소닉 V1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게충이 450으로 여전히 평균 이하긴 하지만 높은 감속으로 체감상 500까지는 올라가는 데다가 익시드 효율도 더 좋아졌기 때문에 불안정한 차체만 잘 컨트롤한다면 우스갯소리로 나오는 1대장 드립도 마냥 틀린 말은 아니게 될 것이다. == 여담 == * 슈퍼 소닉답게 주행 시 [[호버링|두 발이 공중에 뜬다.]] * 부스터 사용 시의 대사가 '''"All right!"'''로 [[테일즈 V1]]과 동일하다.[* 테일즈 V1이 "All~ right~!" 처럼 말한다면, 슈퍼 소닉 V1은 "All right!!" 로 음절을 스타카토로 끊어 읽듯이 빠르게 대사를 쳐버린다.] * 엔진음이 다른 뛰라이더들과 다른 것 역시 [[테일즈 V1]]과 공유하는 특징이다. 로터 돌아가는 소리가 들리는 테일즈 V1과는 달리 미사일이나 소형 비행체가 비행하는 소리가 난다. * [[너클즈 V1]]이 부스터 사용 시에 카트바디 주변에 붉은 기운이 돌았던 것처럼, 슈퍼 소닉 V1은 부스터 사용 시에 노란 기운이 돈다. *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에선 하이브리드 카트로 나왔는데 시대에 한참 뒤처질 정도로 너무 구린 성능을 가지고 나와서 유저들에게 이런게 무슨 33000원짜리 카트냐고 대차게 욕을 먹었다. 하지만 이후 패치로 성능이 조정되었는데 특히 스피드전 성능에서 큰 버프를 먹어서 뛰라이더 중에서 대장급으로 급부상하였다. == 관련 문서 == * [[슈퍼 소닉]] * [[소닉 V1]]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