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천사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슈퍼스타)]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같은 속성 파워 업 몬스터)]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HoshiningenVG-DM2-JP.png]] || 한글판 명칭 ||<-4>'''슈퍼 스타'''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スーパースター'''|| || 영어판 명칭 ||<-4>'''Hoshiningen'''|| ||<-5> 일반 몬스터[br]효과 몬스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이후)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백마족 || 천사족 || 500 || 700 || ||<-5>컬러풀한 꼬리를 끌고 날아오는 유성. 맞으면 아프다.|| ||<-5>아군 자리의 백마족을 파워 업. 흑마족은 파워 다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이후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부터 OCG판과 유사한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북미명은 '별 인간'을 뜻하는 단어를 일본식으로 읽은 것이다. 재미있게도 이렇게 쓰면 'shining'이 중간에 들어가 나름대로 빛 속성과 매치도 된다. === [[유희왕/OCG|OCG]] === [[파일:attachment/같은 속성 파워 업 몬스터/Example.Example.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슈퍼 스타'''|| || 일어판 명칭 ||<-4>'''スーパースター'''|| || 영어판 명칭 ||<-4>'''Hoshininge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 [[천사족]] || 500 || 700 || ||<-5>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모든 빛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포인트 올린다. 어둠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은 400 포인트 내린다.|| 빛 속성 전용 [[같은 속성 파워 업 몬스터]]. 어쩐지 멀쩡히 귀엽던 DM 시리즈의 디자인과는 달리 썩소를 짓는 음흉한 얼굴로 바뀌었다. [[유희왕 VRAINS]] 6화에서는 [[후지키 유사쿠]]의 위장용 덱에 들어가있는 카드 중 하나로 나왔다. 같이 나온 카드인 [[마법 검사 네오]]가 빛속성이라 공격력 상승 효과의 대상이 되므로 마찬가지로 같이 나온 카드인 [[검은 펜던트]], [[지원군(유희왕)|지원군]]등과 함께 써줄수 있...기는 한데(...). == 관련 카드 == === 하이퍼스타 === [[파일:ハイパー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 명칭=하이퍼스타, 일어판 명칭=ハイパースター, 영어판 명칭=Hip Hoshiningen, 레벨=2, 속성=빛, 종족=천사족, 공격력=1400, link1=, link3=, 소재=빛 속성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빛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올리고\, 어둠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400 내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쇼미]] 나간 스타--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에 출시된 슈퍼 스타의 링크 몬스터 버전. 이름이 [[포켓몬스터|모 게임]] 시리즈가 생각나게 슈퍼에서 하이퍼로 바뀌었다. 다른 진화형들처럼 온갖 장식이 덕지덕지 붙었지만, 그 거만한 인상은 그대로라서 원본보다 훨씬 허세가 심해진 느낌이다. 그리고 [[일곡집중]]에서는 진짜로 가수로 데뷔하여 [[더 캘큘레이터]], 더 캘리브레이터를 백댄서로 고용하여 공연을 하고 있다. [[세이크리드]]나 [[테라나이트]], [[라이트로드]] 등의 빛 속성 또는 [[대행자(유희왕)|대행자]], [[홀리 라이트닝]] 같은 천사족 덱이라면 거의 어딜 가든 환영받지만, 무엇보다도 [[텐조 카이토]]의 [[포톤(유희왕)|포톤]], [[갤럭시(유희왕)|갤럭시]], [[사이퍼(유희왕)|사이퍼]] 덱이 가장 큰 혜택을 보았다. 빛 속성의 범용 링크로는 [[LAN 포링쿠스]]가 있긴 했지만 능력치도 낮은 데다 아무 효과도 없기에 링크 전개용 외엔 큰 쓸모가 있지 않았다. 허나 이 카드는 전체적으로 능력치도 올리면서 파괴되면 묘지의 몬스터를 회수할 수 있는 보험효과도 있기에 LAN 포링쿠스보다 훨씬 유능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일단 [[포톤(유희왕)#포톤의 성역|포톤의 성역]] 1장으로도 이 카드를 바로 링크 소환할 수 있으며,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은 예전처럼 추가 엑시즈 몬스터를 전개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었고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드래곤]]도 상대 랭크 8 엑시즈 몬스터를 뺏어오면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이나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으로 엿바꿔먹는 예전의 콤보를 다시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쓰기가 힘들어졌던 더블 사이퍼나 사이퍼 스펙트럼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다만 갤럭시 전용링크인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이 등장하면서 포톤, 갤럭시 덱 내에서는 입지를 빼앗길 것으로 보였지만 전체 타점증가와 파괴후 보험 효과로 갤럭시아이즈 솔플레어 드래곤과 차별화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CYBERNETIC HORIZON]] || CYHO-JP050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Cybernetic Horizon]] || CYHO-EN050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 MP19-EN112 || [[레어]] || 미국 || || || [[사이버네틱 호라이즌|사이버네틱 호라이즌]] || CYHO-KR050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같은 속성 파워 업 몬스터,version=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