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Super Series}}}}}}''' || ||<-2><#780088> [[파일:슈퍼 시리즈.jpg|width=100%]] || || '''정식 명칭''' ||'''포스록 슈퍼 시리즈[br](FOSROC Super Series)''' || || '''창설''' ||2019년 || || '''종목''' ||[[럭비 유니언]] || || '''주관'''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 || '''팀 수''' ||6팀 || || '''최근 우승팀''' ||'''[[스털링 울브즈]]''' (2023시즌 / 첫 우승) || || '''최다 우승팀''' ||'''[[왓스니언스]]''' (2회) || || '''웹사이트''' ||[[https://fixtures.scottishrugby.org/fosroc-super-series|SRU]]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코틀랜드의 세미프로 럭비 유니언 리그. 2019년 창설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021-22시즌도 100% 온전히 진행되지는 못했다. 2023시즌에 슈퍼 6에서 슈퍼 시리즈로 이름을 바꿨다. == 상세 == 과거 스코틀랜드는 [[글래스고 워리어스]]와 [[에든버러 럭비]] 단 두팀만이 프로팀이었고 그마저도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과 [[유러피언 럭비 챔피언스 컵|챔피언스 컵]]/[[EPCR 챌린지 컵|챌린지 컵]]에 참가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최상위 국내 리그였던 [[스코티시 프리미어십(럭비)|스코티시 프리미어십]]은 아마추어 리그여서 프로팀과의 격차가 상당히 컸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국내 선수들의 진출과 자국 럭비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클럽마다 125,000파운드[* 6개 구단 총 11억여원] 예산을 들어 6개의 우수한 팀을 프로화해 리그를 새로 창설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각 팀은 35인 스쿼드로 운영되며 타 리그와의 승강제도는 없다. 참가 클럽은 2019년 대회 참가에 대한 5년의 계약을 체결했다. == 대회 진행 == 첫 시즌인 2019-20시즌은 일반적인 대회들처럼 추춘제로 진행되었으나 두번째 시즌인 2021년부터 춘추제로 일정이 조정됐다. 그리고 2022시즌부터 스프린트라는 새로운 시리즈가 추가되었다. * '''슈퍼 시리즈 스프린트''' - 몸풀기 정도의 개념이고 4~5월에 진행되며 싱글 라운드 로빈이다. 추가로 3팀은 [[글래스고 워리어스]] 2군, 나머지 3팀은 [[에든버러 럭비]] 2군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른다. 이들과의 경기는 리그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경험을 쌓으라는 차원에서 편성된 거라고 보면 된다. 플레이오프는 1/2위 결정전, 3/4위 결정전, 5/6위 결정전 3경기만 치러진다. * '''슈퍼 시리즈 챔피언십''' - 본 리그의 핵심으로 2023시즌 기준 7월에 시작해 11월 말까지 17주간 진행되며 정규시즌은 더블 라운드 로빈이다.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팀을 가린다. 대진은 1위vs4위, 2위vs3위로 배정된다. == 참가 클럽 == || '''클럽''' || '''연고지''' || '''경기장 (수용 능력)''' || '''기존 명칭''' || ||[[에어셔 불스]] || 사우스에어셔 || 밀브레 (8,502명) || 에어 RFC || ||[[버로뮈어 베어스]] || [[에든버러]] || 메게틀랜드 스포츠 컴플렉스 (11,789명) || 버로뮈어 RFC || ||[[헤리엇츠 럭비|헤리엇츠]] || [[에든버러]] || 골든에이커 스포츠 그라운드 (10,098명) || 헤리엇츠 럭비 클럽 || ||[[서던 나이츠]] || 스코티시보더스 || 더 그린야즈 (16,024명) || 멜로즈 RFC || ||[[스털링 울브즈]] || 스털링 || 브릿지허프 파크 (10,589명) || 스털링 카운티 RFC || ||[[왓스니언스]] || [[에든버러]] || 마이어사이드 스타디움 (13,799명) || 왓스니언 RFC || 2023년 챔피언십부터 '''FOSROC Future XV'''라는 팀이 참가한다. 이는 현재 참가하고 있는 6개 클럽의 20세 이하 어린 선수들을 선발한 팀으로, 두각을 보이는 자원들은 스코틀랜드 U-20 대표팀으로 차출할 것이라고 한다. 감독을 포함한 코치진은 현직 U-20 대표팀의 인사들로 구성했다. 엄연한 정식 참가여서 순위에 영향도 주고 성적이 좋으면 우승컵도 가져갈 수 있다. 하지만 팀의 성격상 성적은 12전 전패를 기록. == 역대 시즌 요약 == || '''시즌''' || '''결승''' || '''리그 1위''' || ||<#c00><-3> '''슈퍼 6''' || || 2019-20 ||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중단 || 왓스니언스 || || 2021 ||'''에어셔 불스 26''' : 16 서던 나이츠 || 서던 나이츠 || || {{{-2 2022[br]스프린트}}} ||{{{-2 '''왓스니언스 24''' : 21 스털링 울브즈}}} || {{{-2 왓스니언스}}} || || 2022 ||'''왓스니언스 43''' : 24 에어셔 불스 || 왓스니언스 || ||<-3><#cc0000> '''슈퍼 시리즈''' || || {{{-2 2023[br]스프린트}}} ||{{{-2 '''에어셔 불스 19''' : 15 헤리엇츠}}} || {{{-2 에어셔 불스}}} || || 2023 ||에어셔 불스 19 : '''29 스털링 울브즈''' || 헤리엇츠 || 첫 시즌은 매 경기 1000~1500명의 관중 동원력을 보여 나쁘지 않은 출발을 했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초반에 관중 입장이 통제되었고, 이 조치는 2022시즌까지 유효했다. === 클럽별 우승 횟수 === 스프린트 우승은 제외. 2019-20시즌은 포스트시즌이 취소되었기 때문에 리그 1위를 우승으로 친다. || '''클럽''' || '''우승''' (최근) || || [[왓스니언스]] || 2회 (2022) || || [[스털링 울브즈]] || '''1회 (2023)''' || || [[에어셔 불스]] || 1회 (2021) || == 쟁점 == * '''클럽 연고지 문제''' - 6팀 중 절반인 3팀은 수도 [[에든버러]] 출신이다. 스코틀랜드 최대 도시 [[글래스고]]의 팀은 전무하고, 나머지 셋 다 인구가 얼마 되지도 않는 동네 팀이라 상업성이 되겠느냐는 것이다. * '''경제적 실효성''' - 아무리 세미프로 리그라지만 쥐꼬리만한 지원금으로 6개 구단과 210명의 선수 급여를 제대로 지원할 수 있느냐가 문제다. 사실상 아르바이트 벌이보다 못한 금액이고 선수 생활을 지속하려면 각자 투잡을 뛰어야 벌어먹고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것. * '''필요성''' - 아무리 아마추어지만 [[스코티시 프리미어십(럭비)|스코티시 프리미어십]]과 프로 구단의 격차는 생각만큼 엄청나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훌륭한 선수들은 본 리그가 아니어도 프로 진출을 노릴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이 많은데 굳이 적지 않은 예산을 들여 새로운 리그를 창설해야겠냐는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아마추어의 한계는 명확하기 때문에 세미프로 리그 출범으로써 더 많은 인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건 사실이다.] == 기타 == 2021년에 "2022년엔 글래스고 연고지 1팀과 잉글랜드 [[RFU 챔피언십]]의 [[런던 스코티시]]를 참가시키겠다"는 발표를 했으나 2023시즌엔 참가하지 않았다. 의외로 프로 2군 팀들이 지는 경우가 왕왕 있다. [[에든버러 럭비|에든버러]]와 [[글래스고 워리어스]]가 [[유나이티드 럭비 챔피언십]]에서 중위권 이상 한다는 걸 생각하면 의외다. [[분류:슈퍼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