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슈퍼마린 스핏파이어)] [목차] == 개요 == 대중매체에서의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에 대한 문서이다. == 영화 == === THE GERMAN === [youtube(oLTfWeg1NIc)] 단편 [[영화]] THE GERMAN === [[덩케르크(영화)|덩케르크]] === [[파일:dunkirksf.jpg]] [[파일:Dunkirk_Spit-trio.jpg]] 스핏파이어로 이루어진 포티스 편대와 그 파일럿인 파리어와 콜린스의 이야기가 세 개의 큰 줄거리 중 하나로 비중있게 등장한다.[* 비행 장면에서 나오는 사운드트랙의 제목도 [[https://www.youtube.com/watch?v=n1VJ39nVIBk|Supermarine]]이다.] 영화의 진주인공이란 평가를 받을만큼 스핏파이어가 멋지게 등장한다. 특히 후반부를 장식하는 스핏파이어 장면은 밀리터리 매니아라면 반드시 큰 화면으로 봐야 할 웅장한 가치가 있다. 이 때문에 덩케르크를 두고 스핏파이어에 대한 헌정 영화란 평가가 있다. [youtube(vtibK6xBBiE)] ===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 === 이 전투기로 변신하는 루테넌트라는 이름의 늙은 [[오토봇]]이 잠깐 등장한다. 나이가 많아서 그런지 공격 받지도 않았는데 혼자 쓰러진다. == 드라마 == === [[닥터후]] === [[영국 드라마]] [[닥터후]]에 등장하는데, '''1941년'''에 [[달렉]] 우주선의 장치를 파괴하러 '''중력거품'''과 '''레이저 건'''이라는 달렉제 오버 테크놀로지를 장착한 3대가 대기권 너머 '''우주로''' 출격한다(...)--[[라팔|우주 전투기 스핏파이어]]--[[http://s1.postimg.org/nay2cjar3/spacedrwho.jpg|(증거)]]. 장치는 파괴했지만, 두 대는 격추당하고 하나 남은 전투기의 기술도 그 시대에 있을 물건이 아니라 닥터가 폐기한다. 하지만 시즌 6 7화에서 에이미를 구하기 위한 지원군 중 하나로 다시 나타나 대활약하고 돌아간다. 콜싸인은 대니보이(생존), 쥬블리(격추), 플린트락(격추) == 소설 == === [[당신들의 조국]] ===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한 후, 빼앗은 스핏파이어와 [[아브로 랭커스터]]를 녹여 [[영국 본토 항공전]] 승리 기념 동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 [[나니아 연대기]] === 초반부에 잠깐씩 영국 도시 상공을 비행하는 모습으로 잠깐 모습을 보인다. == 만화 및 애니메이션 == === [[더 콕핏]] === 1화 〈성층권 기류〉에서 등장. === [[지팡구(만화)|지팡구]] === 인도 주둔 영국군이 애용하는 기체이다. 설정상 처칠의 압력으로 최신형기를 무리하게 배치했고 순수한 인도인들로 된 조종사들로 구성된[* 작중에서도 일본 조종사가 '''최신기에 인도인이?'''라고 놀라다가 격추 기회를 놓치게 된다] 비행 편대가 있다는 설정. 나중에 아라비아 해에서 인도 공습 작전을 펼치는 일본군을 확실히 발라버리고 역습을 하여 폭격대를 이끌고 일본 항모 전대마저 박살내 류조를 격침시킨다. === Paths of hate === [youtube(AjXr9Nj5ZbI)] 단편 애니메이션 Paths of hate(증오의 길) == 게임 == === [[Mad City]] === spitfire 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시리즈]] === * [[배틀필드 1942]]: 영국군 전투기로 등장한다. * [[배틀필드 V]]: 영국군 전투기로 등장한다. 초창기에는 상당한 공중전 성능을 보였으나 잦은 너프로 인해 아예 다른 전투기가 되었다. === [[문명 시리즈]] === * [[문명 4]]: 전투기의 기본 모델로 등장한다. * [[문명 5|다음 시리즈]]: [[Bf 109]]가 이 자리를 차지한다. * [[문명 6]]: 트레일러에서는 [[숀 빈]]이 목소리를 맡은 나레이터가 탑승하여 공중전을 치르는데, 여기서 숀 빈은 [[Bf 110]]의 방어 기총에 맞아 사망한다. === [[스트라이커즈 1945]] === * [youtube(V_NDwm0J8u8)] [[스트라이커즈 1945]]에는 주익의 끝 부분이 다소 뾰족한 Mk.VI형 동체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전방으로 굵고 거대한 화염 레이저를 발사하는 폭탄을 쓰는 기체로, 기본샷은 확산형이며, 서브샷은 관통 성능이 있는 화염탄. 1945 플러스에서는 모스키토와 똑같은 무장이다. === [[워 썬더]] === [youtube(TJnWrMJPylg)][br][youtube(d8PcdwbtZow)]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mk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 Mk.IIa Venture I.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mkiia.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mkii.png|width=100%]]}}} || || 스핏파이어 Mk Ia || 스핏파이어 Mk.IIa 벤처 I || 스핏파이어 Mk IIa || 스핏파이어 Mk IIb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 Mk Vb.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mk5b.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 Mk.Vb- trop.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mk5c_notrop.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mk5c.png|width=100%]]}}} || || 스핏파이어 Mk Vb || 스핏파이어 Mk Vb (사막형) I || ☩스핏파이어 Mk Vb 사막 작전형 || 스핏파이어 Mk Vc || 스핏파이어 Mk Vc (사막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ix_early.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mk9c_4cannons.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ix.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ix_plagis.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ix_usa.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ix_ussr.png|width=100%]]}}} || || 스핏파이어 F. Mk IX || 스핏파이어 F Mk IXc || 스핏파이어 LF. Mk IX || 스핏파이어 LF. Mk IX 플래지스 탑승기 || ✪스핏파이어 LF Mk IXc || ★스핏파이어 Mk.IX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fire_xvi.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mk14c.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fr_mk14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eafire_mk17.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eafire_fr47.png|width=100%]]}}} || || 스핏파이어 F. Mk XVI || 스핏파이어 F. Mk XIVc || 스핏파이어 FR Mk XIVe 프렌더개스트 탑승기 || 시파이어 Mk XVII || 시파이어 FR Mk 4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mk14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mk18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f2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spitfire_f24.png|width=100%]]}}} || || 스핏파이어 F Mk XIVe || 스핏파이어F Mk XVIIIe || 스핏파이어 F. Mk 22 || 스핏파이어 F. Mk 24 || [[워 썬더]]에서는 멀린 엔진을 장착한 1랭크 Mk. I부터 그리폰 엔진을 장착한 4랭크 Mk. 24까지, 다양한 스핏파이어 기체가 등장한다. 아케이드 전투에서는 '승률을 정하는 것은 상대와 아군 중에 스핏파이어 기체를 보유한 영국 유저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갈린다'라고 할 정도였지만, 여러 패치로 평범한 선회전 전투기가 되었다. 아케이드 특유의 성격과 맞물려 정말 휙휙 돌아가는데, 이보다 더 잘 돌아가는 전투기는 [[A6M]]이나 [[Ki-43 하야부사]] 뿐이다. 리얼리스틱 전투에서는 동급 전투기보다 더 강력한 상승력 때문에 Spacefire 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 [[월드 오브 워플레인]] === Mk.I~Mk.XIV까지 영국 전투기 트리 5~8티어를 차지하고 무지하게 우려먹는다(...) 성능은 밸런스형답게 적절한 수준이라고. 또한 독일 6티어 프리미엄 전투기로 노획기 사양도 있으며, <덩케르크> 컬래버레이션으로 5티어 프리미엄 전투기인 Mk.Ia가, [[아이언 메이든(밴드)|아이언 메이든]]과의 컬래버레이션으로 6티어 프리미엄 전투기인 Mk.Vb가 있으며, 그 외에도 7티어 프리미엄 전투기로 Mk.XVI 사양이 있다. 2.0 업데이트 이후로는 Mk.IX가 10탑방의 방공 전투기로 등장하기도 한다. [[월드 오브 워쉽]]에서는 영국 항모 정규 트리 8티어인 임플래커블의 공격기와 전투기로 시파이어 버전이 등장한다. === [[전함소녀]] === 영국의 함상전투기인 시파이어가 항모 장비로 등장한다. 그리고 사상 최대의 작전 이벤트 보상으로 스핏파이어 P.9374[* 다이나모 작전때 됭케르크에 추락한 기체로 조종사인 피터 카체노프는 독일군 포로로 잡혔다. 이후 발견된 기체는 복원과정을 거쳐 다시 하늘을 날 수 있게 되었다.] 3기를 줬다. 뜬금없이 스핏파이어를 3기나 준 것을 두고 영화 덩케르크에서 스핏파이어가 3기 등장한 것에 대한 오마쥬가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 === [[SD 세계대전]] === 연합군 1티어 공중 유닛으로 등장한다. 특수능력으로 채프를 쓸 수 있는데, 프로토스 커세어의 디스럽션 웹과 유사하다. === [[함대 컬렉션]] === 육상 전투기로 Mk. I, Mk. V, Mk. IX이, 함재 전투기로 시파이어 Mk. III가 등장한다. [[함대 컬렉션/이벤트/2017#s-1.3|2017년 여름 이벤트]] 보상으로 등장했는데, 도버 해협과 [[아크로열(함대 컬렉션)|영국 항공모함]]이 등장해서 스핏파이어가 나오는 것이겠지만, 영화 덩케르크의 한일 상영 기간이 이벤트 기간과 겹치는데다, 스핏파이어 Mk. I이 나오면서 노린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다. === [[Bomber Crew]] === 레이더 관제사의 상위 스킬로 일정시간 동안 데리고 다닐 수 있는 호위기로 등장한다. === [[Burnin' Rubber 4]] === [[파일:Screenshot_20190225-035313_Gallery.jpg]] [[Burnin' Rubber 4]]에서 Mk.XVI이 특수미션 기체로 등장한다. === [[강철의 왈츠]] === [[강철의 왈츠/항공소녀/전투기|전투기]]와 [[강철의 왈츠/항공소녀/요격기|요격기]]로 등장하는데 [[아비게일 맥린|동일 인물]]이다. === [[도미네이션즈]] === 글로벌 시대의 전투기인 전투기 Mk 1, 2, 3로 등장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투기(도미네이션즈))] 전투기 엔진이 전설 유물로 등장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설 유물/슈퍼마린 스피트파이어 엔진)] === [[Gunship Sequel WW2]] === 전투기로 등장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 MK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 MK2.jpg|width=100%]]}}} || || '''영국군 1티어 전투기 스핏파이어 Mk.Ia''' || '''영국군 2티어 전투기 스핏파이어 Mk.II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 MK5B.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IT MK5C.jpg|width=100%]]}}} || || '''영국군 3티어 전투기 스핏파이어 Mk.Vb''' || '''영국군 프리미엄 전투기 스핏파이어 Mk.Vc'''[* 영국군, 미군, 호주 공군의 도장 중 선택 가능하다. 사진은 미군 도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V SPIT MK5C.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 SPIT.jpg|width=100%]]}}} || || '''소련군에 랜드리스된 프리미엄 전투기 스핏파이어 Mk.Vc''' || '''미군 프리미엄 전투기 스핏파이어 Mk.Vc'''[* 미군이지만 영국 스핏Vc와는 달리 호주 공군의 도장만 선택 가능하다.] || === [[IL-2 Sturmovik]] 시리즈 === * [[IL-2 Sturmovik: Great Battles]][br][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L-2 Sturmovik: Great Battles/Spitfire)] == 기타 == * 영국을 대표하는 헤비메탈 그룹인 [[아이언 메이든]]의 대표곡 [[Aces High]]도 스핏파이어에 올라타 출격하는 영국 파일럿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탑기어 UK 11시즌 6 에피소드에서 영국 탑기어 진행자들이 독일의 TV모터쇼 진행자들과 경쟁을 벌이게 된다.[* 독일팀에는 뉘르부르크링의 여왕인 '사빈 슈미트'도 포함되어 있었다] 대결을 진행하기 전에, 탑기어 PD가 진행자들에게 2차 대전 이야기는 삼가 달라고 각별히 부탁했지만... 대결 장소에 멋진 독일 메이커 차량을 타고 독일인답게 정시에 도착해 있는 가운데 탑기어 UK팀은 스핏파이어를 타고 약속장소에 도착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 GO2의 스핏파이어라는 동명의 노래도 존재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슈퍼마린 스핏파이어, version= 420)] [[분류:전투기/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