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슈퍼밴드 시리즈]][[분류:방영 목록]]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슈퍼밴드2)] [목차] == 개요 == [[슈퍼밴드2]]의 진행과정에 대한 문서. == 방송 전 == * 2021년 1월 4일부터 1월 31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했는데 남성 뮤지션만 지원할 수 있었다. * 2021년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2차 모집을 실시했다. * 2021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3차 모집을 실시했다. 3차 모집부터는 참가자의 성별을 제한하지 않기로 했다. * 2021년 4월 19일부터 5월 9일까지 5차 모집을 실시했다. == 프로듀서 오디션 == 137명이 프로듀서 오디션을 거쳐 53인의 본선진출자가 확정되었다. 53인 본선 진출자 명단은 [[슈퍼밴드2#s-3.2]] 문서의 본선진출자 53인 문단 참조. == 본선 1라운드 : 1대 1 장르전 == 16명(15인은 프로듀서 선정, 1인은 참가자 투표)의 프런트맨(각 팀의 음악적 색채와 방향성을 결정하는 팀의 리더)이 나머지 멤버를 선택하여 16개의 팀으로 나누어 1:1 대결을 한다. 승리한 팀은 모두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고, 패한 팀은 모두가 탈락 후보가 된다. 프런트맨은 순서를 정하여 장르(미국팝, 영국팝, OST, 아이돌, 가요2, 록2, 포크&컨트리, 전자음악2, 디스코, 힙합, R&B, 월드뮤직, 라틴) 중 순서대로 하나를 선택한다. 드래프트 순서는 기탁-이한서-변정호-황현조-발로-빈센트-다비-김예지-박다울-녹두-황린-양장세민-대니구-데미안-이동헌-김슬옹 순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빈센트와 양장세민의 차례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간에 전현무가 4인조는 끝이 났다라는 멘트가 있었던 것으로 보면 빈센트나 양장세민이 마지막 4인조였거나 황린 드래프트 전에 픽이 되었을 것이다.] * {{{#6378FF '''파란색'''}}}은 승리 팀을 의미 || '''{{{#F7F7F7 순서}}}''' || '''{{{#F7F7F7 참가팀}}}''' || '''{{{#F7F7F7 장르}}}''' || '''{{{#F7F7F7 경연곡}}}''' || '''{{{#F7F7F7 득표}}}''' || '''{{{#F7F7F7 네이버TV}}}''' || ||<|2> 1조 || '''{{{#6378FF 기탁 팀}}}''' (기탁, 제이유나, 조기훈, 황인규) || 록 || Champagne Supernova (원곡: Oasis) || '''{{{#6378FF 5}}}''' || [[https://tv.naver.com/v/2127727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변정호 팀 (변정호, 김한겸, 전성배) || 월드뮤직 || Tocar Você (원곡: Duda Beat) || 0 || [[https://tv.naver.com/v/2127761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2조 || 대니구 팀 (대니구, 성혁, 정민혁) || 포크&컨트리 || 두 바퀴로 가는 자동차 (원곡: 김광석) || 0 || [[https://tv.naver.com/v/2141678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황린 팀}}}''' (황린, 김준서, 임윤성) || 미국팝 || Piano Man (원곡: Billy Joel) || '''{{{#6378FF 5}}}''' || [[https://tv.naver.com/v/2141684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3조 || 양장세민 팀 (양장세민, 선재, 유빈, 정석훈) || 힙합 || Sunday Candy (원곡: Chance the Rapper) || 2[* 윤종신, 이상순] || [[https://tv.naver.com/v/2141703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녹두 팀}}}''' (녹두, 김성현, 린지, 윤현상) || 록 || Zombie (원곡: The Cranberries) || '''{{{#6378FF 3}}}''' || [[https://tv.naver.com/v/2141724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4조 || 다비 팀 (다비, 문성혁, 유병욱, 장하은) || R&B || Can’t Feel My Face (원곡: The Weeknd) || 1[* 이상순] || [[https://tv.naver.com/v/2141754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박다울 팀}}}''' (박다울, 김진산, 정나영) || 아이돌 || GOOD BOY (원곡: GD X TAEYANG)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41769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5조 || 김예지 팀 (김예지, 루디, 오은철, 쵸프라까야) || 전자음악 || Closer (원곡: Lemaitre) || 2[* 유희열, 이상순] || [[https://tv.naver.com/v/2141791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빈센트 팀}}}''' (빈센트, 대니리, 싸이언, 윌리K) || 가요 || 난 괜찮아 (원곡: 진주) || '''{{{#6378FF 3}}}''' || [[https://tv.naver.com/v/2141810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6조 || '''{{{#6378FF 황현조 팀}}}''' (황현조, 양서진, 장원영) || 디스코 || 이태원 프리덤 (원곡: UV) || '''{{{#6378FF 5}}}''' || [[https://tv.naver.com/v/2154238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이한서 팀 (이한서, 김다함, 김솔다니엘, 송두용) || 라틴 || Besame Mucho (원곡: Consuelo Velazquez) || 0 || [[https://tv.naver.com/v/2154260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7조 || '''{{{#6378FF 발로 팀}}}''' (발로, 문수진, 은아경) || OST || A Million Dreams (위대한 쇼맨 OST)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54272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데미안 팀 (데미안, 유환주, 조혁진) || 전자음악 || Boom (원곡: X Ambassadors) || 1[* 윤종신] || [[https://tv.naver.com/v/2154292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6> || ||<|2> 8조 || 이동헌 팀 (이동헌, 손진욱) || 영국팝 || Someone Like You (원곡: Adele) || 1[* 유희열] || [[https://tv.naver.com/v/21543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김슬옹 팀}}}''' (김슬옹, 이다온) || 가요 || 담배가게 아가씨 (원곡: 송창식)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54314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탈락 후보가 된 26명 중 5명이 최종 탈락하였다. * 선재: 보컬 (3조 양장세민 팀) * 성혁: 보컬 (2조 대니구 팀) * 김다함: 건반 (6조 이한서 팀) * 송두용: 드럼 (6조 이한서 팀) * 이한서: 보컬 (6조 이한서 팀) 이로써 한다두의 멤버 3명이 전원 탈락하였다. == 본선 2라운드 : 라이벌 지목전 == 14명(8인은 1라운드 승리 팀의 프런트맨, 6인은 프로듀서가 새로 선정)의 프런트맨이 라이벌 프론트 맨을 지목하여 1:1 대결을 펼친다. 승리한 팀은 모두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고, 패한 팀은 모두가 탈락 후보가 된다. 멤버 영입은 1라운드 베스트 프론트 맨으로 선정된 빈센트부터 진행하였다. 드래프트 순서는 빈센트-황린-황현조-발로-박다울-김한겸-김예지-김슬옹-녹두-기탁-린지-이동헌-제이유나-임윤성 순이다. * {{{#6378FF '''파란색'''}}}은 승리 팀을 의미한다. * 각 조 별로 라이벌 지목을 한 프론트 맨이 첫 번째 행에, 지목을 당한 프론트 맨이 두 번째 행에 위치한다. ||
'''{{{#f7f7f7 순서}}}''' || '''{{{#f7f7f7 참가팀}}}''' || '''{{{#f7f7f7 경연곡}}}''' || '''{{{#f7f7f7 득표}}}''' || '''{{{#f7f7f7 네이버TV}}}''' || ||<|2> 1조 || '''{{{#6378FF 녹두 팀}}}''' (녹두, 윤현상, 조혁진) || Forever Young (원곡: BLACKPINK)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54366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기탁 팀 (기탁, 문성혁, 쵸프라까야) || 달팽이 (원곡: 패닉) || 1[* CL] || [[https://tv.naver.com/v/2166350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2> 2조 || '''{{{#6378FF 제이유나 팀}}}'''[* 멤버 영입 당시 남아있는 프런트맨이 임윤성 뿐이라서 자동으로 두 팀간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제이유나, 문수진, 유병욱) || 박하사탕 (원곡: YB)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66358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임윤성 팀 (임윤성, 유환주, 이다온) || Human (원곡: Rag N Bone Man) || 1[* 이상순] || [[https://tv.naver.com/v/2166372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2> 3조 || '''{{{#6378FF 박다울 팀}}}''' (박다울, 김솔다니엘, 다비, 장하은) || 청개구리 (자작곡[* 작사: 다비, 박다울 | 작곡: 다비])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66391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김한겸 팀 (김한겸, 김준서, 양장세민, 유빈) ||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 때 (원곡: 장필순) || 1[* 이상순] || [[https://tv.naver.com/v/2166391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2> 4조 || 빈센트 팀 (빈센트, 대니리, 싸이언, 윌리K) || 달의 몰락 (원곡: 김현철) || 1[* 유희열] || [[https://tv.naver.com/v/2166412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황린 팀}}}''' (황린, 전성배, 황인규) || It's Raining (원곡: 비) || '''{{{#6378FF 4}}}''' || [[https://tv.naver.com/v/2166419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2> 5조 || '''{{{#6378FF 황현조 팀}}}''' (황현조, 양서진, 장원영, 정석훈) || Heartbreaker (원곡: G-DRAGON) || '''{{{#6378FF 5}}}''' || [[https://tv.naver.com/v/2177143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발로 팀 (발로, 데미안, 조기훈, 루디) || Time is running out (원곡: Muse) || 0 || [[https://tv.naver.com/v/2177166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2> 6조 || '''{{{#6378FF 린지 팀}}}''' (린지, 정나영, 은아경) || Don't Look Back (자작곡[* 작사: 린지, 정나영, 은아경 | 작곡: 린지, 정나영]) || '''{{{#6378FF 5}}}''' || [[https://tv.naver.com/v/21772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이동헌 팀 (이동헌, 손진욱, 정민혁) || 여름꽃 (자작곡[* 작사: 이동헌, 손진욱, 정민혁 | 작곡: 이동헌]) || 0 || [[https://tv.naver.com/v/2177216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2> 7조 || '''{{{#6378FF 김예지 팀}}}''' (김예지, 대니구, 오은철, 김진산) || House I Used to Call Home (원곡: Will Jay) || '''{{{#6378FF 5}}}''' || [[https://tv.naver.com/v/2177247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김슬옹 팀 (김슬옹, 변정호, 김성현) || Get Lucky (원곡: Daft Punk) || 0 || [[https://tv.naver.com/v/2177253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탈락 후보가 된 24명 중 4명이 최종 탈락하였다. * 유환주: 보컬 (2조 임윤성 팀) * 손진욱: 보컬 (6조 이동헌 팀) * 루디: DJ프로듀서 (5조 발로 팀) * 이다온: 기타 (2조 임윤성 팀) == 본선 3라운드 : 순위 쟁탈전 == 11명의 프런트맨(2라운드 승리 팀의 프런트맨 7명, 프로듀서가 새로 선정한 4명)이 멤버를 선택해서 11개의 4인조 팀이 구성되었다. 추첨을 통해 뽑은 무대 순서가 1~6번인 팀들은 A조, 7~11번인 팀들은 B조로 배정되어 경연을 펼친다. 프로듀서들은 각 팀들의 무대를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그 총점으로 순위가 정해진다. 각 조 1위팀의 멤버들은 모두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며(8명), 그 외 멤버들은 모두 탈락 후보가 된다. * {{{#6378FF '''파란색'''}}}은 1위 팀을 의미한다. * 멤버 영입 순서는 린지-기탁-황린-김예지-윌리K-김준서-녹두-박다울-황현조-제이유나-정석훈 순이었다. ||
'''{{{#f7f7f7 순서}}}''' || '''{{{#f7f7f7 참가팀}}}''' || '''{{{#f7f7f7 경연곡}}}''' || '''{{{#f7f7f7 득표}}}''' || '''{{{#f7f7f7 네이버TV}}}''' || ||<|6> A조 || 정석훈 팀[* 마지막으로 멤버를 영입한 프론트맨. 남아있던 3명과 자동으로 팀이 되었다.] (정석훈, 문수진, 이동헌, 유병욱) || What a Man Gotta Do (원곡: Jonas Brothers) || 475[* 윤상 96점, CL 96점, 윤종신 89점, 유희열 97점, 이상순 97점] || [[https://tv.naver.com/v/22016853/list/733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황현조 팀 (황현조, 발로, 양서진, 은아경) || Y (원곡: 프리스타일) || 448[* 윤상 93점, CL 91점, 윤종신 87점, 유희열 88점, 이상순 89점] || [[https://tv.naver.com/v/22017088/list/733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박다울 팀 (박다울, 김한겸, 양장세민, 유빈) || 동이 튼다 (자작곡) || 462[* 윤상 94점, CL 97점, 윤종신 90점, 유희열 90점, 이상순 91점] || [[https://tv.naver.com/v/22017507/list/733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린지 팀 (린지, 문성혁, 정나영, 쵸프라까야) || U-Go-Girl (원곡: 이효리) || 462[* 윤상 95점, CL 96점, 윤종신 91점, 유희열 87점, 이상순 93점] || [[https://tv.naver.com/v/22017819/list/733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윌리K 팀}}}''' (윌리K, 대니리, 빈센트, 오은철) || Oops!... I Did It Again (원곡: 브리트니 스피어스) || '''{{{#6378FF 489}}}'''[* 윤상 98점, CL 100점, 윤종신 98점, 유희열 98점, 이상순 95점] || [[https://tv.naver.com/v/22018113/list/73303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황린 팀 (황린, 다비, 전성배, 황인규) || Mine (자작곡) || 472[* 윤상 96점, CL 97점, 윤종신 94점, 유희열 92점, 이상순 93점] || [[https://tv.naver.com/v/2201846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5> || ||<|5> B조 || 녹두 팀 (녹두, 김솔다니엘, 대니구, 윤현상) || No Surprises (원곡: Radiohead) || 464[* 윤상 95점, CL 96점, 윤종신 93점, 유희열 90점, 이상순 90점] || [[https://tv.naver.com/v/2214957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김예지 팀 (김예지, 김성현, 싸이언, 장원영) || 셜록 (원곡: 샤이니) || 473[* 윤상 96점, CL 95점, 윤종신 95점, 유희열 92점, 이상순 95점] || [[https://tv.naver.com/v/2214981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제이유나 팀 (제이유나, 김진산, 장하은, 정민혁) || Higher Ground (원곡: Stevie Wonder) || 480[* 윤상 98점, CL 98점, 윤종신 97점, 유희열 95점, 이상순 92점] || [[https://tv.naver.com/v/2215023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기탁 팀}}}''' (기탁, 김슬옹, 변정호, 임윤성) || Boomerang (원곡: Imagine Dragons) || '''{{{#6378FF 488}}}'''[* 윤상 97점, CL 98점, 윤종신 98점, 유희열 97점, 이상순 98점] || [[https://tv.naver.com/v/2215064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김준서 팀 (김준서, 데미안, 조기훈, 조혁진) || I Won't Give Up (원곡: Jason Mraz) || 455[* 윤상 94점, CL 91점, 윤종신 89점, 유희열 89점, 이상순 92점] || [[https://tv.naver.com/v/2215096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탈락 후보가 된 36명 중 4명이 최종 탈락하였다. * 양서진: 보컬 (A조 황현조 팀) * 김솔다니엘: 첼로 (B조 녹두 팀) * 데미안: 보컬 (B조 김준서 팀) * 유병욱: 월드타악 (A조 정석훈 팀) == 본선 4라운드 : 자유 조합 == {{{#6378FF '''파란색'''}}}은 1위 팀을 의미한다. 1위 팀 4명은 전원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며, 나머지 36명은 탈락후보가 된다. ||
'''{{{#f7f7f7 참가팀}}}''' || '''{{{#f7f7f7 경연곡}}}''' || '''{{{#f7f7f7 점수}}}''' || '''{{{#f7f7f7 네이버TV}}}''' || || 양장세민 팀 (양장세민, 김한겸, 정석훈, 조기훈) || Digital (원곡: Imagine Dragons) || 479[* 윤상 95점, CL 96점, 윤종신 97점, 유희열 95점, 이상순 96점] || [[https://tv.naver.com/v/2229806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이동헌 팀[* 마지막까지 남은 4명이 자동으로 팀이 되었다.] (이동헌, 문성혁, 정나영, 쵸프라까야) || 곱슬머리[* 작사·작곡: 이동헌, 정나영, 문성혁, 쵸프라까야] (자작곡) || 457[* 윤상 92점, CL 96점, 윤종신 88점, 유희열 92점, 이상순 89점] || [[https://tv.naver.com/v/22298492|[[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녹두 팀 (녹두, 김준서, 장원영, 조혁진) || 그대 나를 보면 (원곡: 이문세) || 456[* 윤상 89점, CL 93점, 윤종신 91점, 유희열 91점, 이상순 92점] || [[https://tv.naver.com/v/2229876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발로 팀 (발로, 문수진, 전성배, 황인규) || 으르렁 (원곡: EXO) || 461[* 윤상 94점, CL 97점, 윤종신 92점, 유희열 88점, 이상순 90점] || [[https://tv.naver.com/v/2229911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제이유나 팀'''}}}[* 앞선 팀이 공연할 때 이미 공연을 마치고 자리에 앉아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자리로 보아 실제로는 3번째 공연한듯.] (제이유나, 김진산, 장하은, 정민혁) || Everybody Wants to Rule the World (원곡: Tears For Fears) || {{{#6378FF '''485'''}}}[* 윤상 94점, CL 96점, 윤종신 98점, 유희열 99점, 이상순 98점] || [[https://tv.naver.com/v/2229943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황현조 팀[* 공연도중 오랙샷의 오은철의 리액션이 나왔다. 오랙샷이 더 먼저 공연했음을 알 수 있다.] (황현조, 김예지, 박다울, 황린) || Legends Never Die (원곡: Against the Current) || 480[* 윤상 96점, CL 98점, 윤종신 99점, 유희열 92점, 이상순 95점] || [[https://tv.naver.com/v/2229964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김성현 팀 (김성현, 대니구, 유빈, 윤현상) || If this is the last time (원곡: LANY) || 452[* 윤상 90점, CL 93점, 윤종신 90점, 유희열 90점, 이상순 89점] || [[https://tv.naver.com/v/2242581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기탁 팀 (기탁, 김슬옹, 변정호, 임윤성) || King and Queens (원곡: 30 Seconds to Mars) || 478[* 윤상 97점, CL 94점, 윤종신 95점, 유희열 94점, 이상순 98점] || [[https://tv.naver.com/v/2242625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윌리K 팀 (윌리K, 대니리, 빈센트, 오은철) || Fire (원곡: 2NE1) || 468[* 윤상 93점, CL 97점, 윤종신 93점, 유희열 93점, 이상순 92점] || [[https://tv.naver.com/v/2242637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다비 팀 (다비, 린지, 싸이언, 은아경) || 다 내 땅이다 (자작곡) || 455[* 윤상 95점, CL 90점, 윤종신 91점, 유희열 90점, 이상순 89점] || [[https://tv.naver.com/v/2242668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결과 === 아래는 각 팀별 다음 라운드 진출자를 배경 색으로 표시한 표이다. ||
'''{{{#f7f7f7 순위}}}''' || '''{{{#f7f7f7 팀명}}}''' || '''{{{#f7f7f7 점수}}}''' ||<-4> '''{{{#f7f7f7 멤버}}}''' || || 1위 || 제이유나 팀 || 485 || 제이유나 || 김진산 || 장하은 || 정민혁 || || 2위 || 황현조 팀 || 480 || 황현조 || 김예지 || 박다울 || 황린 || || 3위 || 양장세민 팀 || 479 || 양장세민 || 김한겸 || 정석훈 || 조기훈 || || 4위 || 기탁 팀 || 478 || 기탁 || 김슬옹 || 변정호 || 임윤성 || || 5위 || 윌리K 팀 || 468 || 윌리K || 대니리 || 빈센트 || 오은철 || || 6위 || 발로 팀 || 461 || 발로 || 문수진 || 전성배 || 황인규 || || 7위 || 이동헌 팀 || 457 || 이동헌 || 문성혁 || 정나영 || 쵸프라까야 || || 8위 || 녹두 팀 || 456 || 녹두 || 김준서 || 장원영 || 조혁진 || || 9위 || 다비 팀 || 455 || 다비 || 린지 || 싸이언 || 은아경 || || 10위 || 김성현 팀 || 452 || 김성현 || 대니구 || 유빈 || 윤현상 || 탈락 후보가 된 36명의 참가자 중 13명이 탈락하였으며, 1위를 한 제이유나 팀 멤버 4명을 포함한 27명의 참가자가 결승 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탈락자 13명의 포지션은 다음과 같다. * 김성현: 일렉기타 (김성현 팀) * 유빈: 드럼 (김성현 팀) * 문수진: 보컬 (발로 팀) * 문성혁: 베이스 (이동헌 팀) * 발로: DJ프로듀서 (발로 팀) * 이동헌: 보컬 (이동헌 팀) * 장원영: 드럼 (녹두 팀) * 윤현상: 비브라폰 (김성현 팀) * 다비: 보컬 (다비 팀) * 쵸프라까야: 드럼 (이동헌 팀) * 대니구: 바이올린 (김성현 팀) * 녹두: 보컬 (녹두 팀) * 조혁진: 일렉기타 (녹두 팀) 이로써 김성현 팀은 4명이 전부 탈락하게 되었다. == 결선 라운드 == 결선 라운드에 진출한 여섯 팀은 아래와 같다. * '''[[POCO(밴드)|POCO]]''' ([[제이유나]], [[김진산]], [[장하은]], [[정민혁(기타리스트)|정민혁]]) 3~4라운드 동안 같은 멤버로 연주한 제이유나팀. 결선 라운드도 기타 4인조의 동일 멤버로 구성되었다. * '''[[크랙실버(CRAXILVER)|CRAXILVER]]''' ([[윌리K]], [[대니 리(드러머)|대니 리]], [[빈센트]], [[싸이언(베이시스트)|싸이언]], [[오은철]]) 1~2라운드의 빈센트 팀([[크랙샷]] 멤버 전원), 3~4라운드의 윌리K 팀(크랙샷 - 싸이언 + 오은철)의 조합으로 사실상 크랙샷 4인조에 피아니스트 오은철을 더한 구성이다. ~~코랙샷~~ * '''[[시네마(밴드)|CNEMA]]''' (기탁, 김슬옹, [[변정호]], [[임윤성]]) 3~4라운드에 동안 같은 멤버 연주한 기탁 팀. 결선 라운드도 4인조의 동일 멤버로 구성되었다. * '''[[The Whales]]''' ([[양장세민]], [[김준서(피아니스트)|김준서]], [[김한겸]], [[정석훈]], [[조기훈]]) 4라운드의 양장세민 팀에 김준서가 합류하였다. * '''[[THE FIX]]''' ([[린지]], [[은아경]], 정나영, [[황현조]]) 2라운드 린지 팀[* 린나경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있다.]이었던 린지, 은아경, 정나영에 황현조가 가세하면서 여성 4인조 팀으로 구성되었다. * '''[[KARDI]]''' ([[황린]], [[김예지(가수)|김예지]], [[박다울]], [[전성배]], [[황인규]]) 4라운드의 황현조 팀(황현조, 김예지, 박다울, 황린)에서 DJ/프로듀서 황현조 대신 2~3라운드 황린 팀이었던 드럼의 전성배와 베이스의 황인규가 합류해 구성되었다. === 1차전 === 결선 1차전은 200여명의 언택트 판정단이 스크린으로 함께하였다. 4인의 프로듀서[* CL 프로듀서는 프로듀서로 섭외되기 전 이미 잡혀 있던 해외 일정([[멧 갈라]] 참석으로 추정됨) 때문에 결선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각 팀의 무대를 1000점 만점으로 평가하고, 언택트 판정단은 마음에 드는 무대에 투표한다. 언택트 판정단의 투표 결과를 2000점 만점으로 환산한 후 프로듀서 4인의 판정 결과와 합산하여 총점 6000점 만점으로 팀 별 순위가 정해진다. The Whales 팀의 드러머 조기훈이 팔 부상으로 인해 결선 1차전 현장에 참석하지 못했다. 연습과정 중에 녹음한 조기훈의 드럼을 최대한 MTR로 살려 공연하였고 최대한 조기훈과 함께 공연하는 느낌을 주기 위해 무대에 빈 드럼 세트를 설치하였다. {{{#6378FF '''파란색'''}}}은 1차전 1위 팀을 의미한다. ||
'''{{{#f7f7f7 참가팀}}}''' || '''{{{#f7f7f7 경연곡}}}''' || '''{{{#f7f7f7 프로듀서 합산점수}}}''' || '''{{{#f7f7f7 언택트 판정단 환산점수}}}''' || '''{{{#f7f7f7 총점}}}''' || '''{{{#f7f7f7 네이버TV}}}''' || || KARDI (황린, 김예지, 박다울, 전성배, 황인규) || 7000RPM[* 작사·작곡: 황린, 김예지, 박다울, 전성배, 황인규] (자작곡) || 3845[* 윤상: 925, 윤종신: 980, 유희열: 960, 이상순: 980] || 1586 || 5431 || [[https://tv.naver.com/v/22647107|[[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The Whales (양장세민, 김준서, 김한겸, 정석훈, 조기훈) || Break it[* 작사·작곡: 양장세민, 김준서, 김한겸, 정석훈, 조기훈] (자작곡) || 3690[* 윤상: 930, 윤종신: 910, 유희열: 920, 이상순: 930] || 1190 || 4880 || [[https://tv.naver.com/v/2264753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CNEMA (기탁, 김슬옹, 변정호, 임윤성) || RUN[* 작사: 기탁, 김슬옹, 변정호, 임윤성 | 작곡: 기탁, 김슬옹] (자작곡) || 3670[* 윤상: 920, 윤종신: 910, 유희열: 930, 이상순: 910] || 1596 || 5266 || [[https://tv.naver.com/v/2264803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THE FIX (린지, 은아경, 정나영, 황현조) || Do or die[* 작사·작곡: 린지, 황현조, 은아경, 정나영] (자작곡) || 3785[* 윤상: 935, 윤종신: 970, 유희열: 950, 이상순: 930] || 1608 || 5393 || [[https://tv.naver.com/v/22648394|[[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POCO a POCO (제이유나, 김진산, 장하은, 정민혁) || Daddy (원곡: Coldplay) || 3750[* 윤상: 930, 윤종신: 930, 유희열: 940, 이상순: 950] || 1438 || 5188 || [[https://tv.naver.com/v/22648693|[[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CRAXILVER'''}}} (윌리K, 대니리, 빈센트, 싸이언, 오은철) || Home Sweet Home (원곡: Mötley Crüe) || 3795[* 윤상: 940, 윤종신: 940, 유희열: 935, 이상순: 990] || 1754 || {{{#6378FF '''5549'''}}} || [[https://tv.naver.com/v/22649132|[[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1차전 순위는 다음과 같다. * 1위: CRAXILVER (총점: 5549) * 2위: KARDI (총점: 5431) * 3위: THE FIX (총점: 5393) * 4위: CNEMA (총점: 5266) * 5위: POCO a POCO (총점: 5188) * 6위: The Whales (총점: 4880) === 2차전 생방송 파이널 === 결선 2차전은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1차전 점수(30%), 2차전 생방송 파이널 점수(60%), 온라인 사전 투표 점수(10%)를 합산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
'''{{{#f7f7f7 참가팀}}}''' || '''{{{#f7f7f7 경연곡}}}''' || '''{{{#f7f7f7 1차전 점수}}}''' || '''{{{#f7f7f7 온라인 사전 투표 점수}}}''' || '''{{{#f7f7f7 2차전 생방송 파이널 점수}}}''' || '''{{{#f7f7f7 총점}}}''' || '''{{{#f7f7f7 네이버TV}}}''' || || KARDI || Ready to Fly[* 작사·작곡: 황린, 김예지, 박다울, 전성배, 황인규] (자작곡) || 5,431 || 1,929[* 20,042표] || 10,032[* 61,564표] || 17,392 || [[https://tv.naver.com/v/2278246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POCO a POCO || Met You[* 작사·작곡: 제이유나, 정민혁, 장하은, 김진산] (자작곡) || 5,188 || 862[* 8,954표] || 7,646[* 46,924표] || 13,696 || [[https://tv.naver.com/v/2278280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THE FIX || We On Top[* 작사·작곡: 린지, 황현조, 은아경, 정나영] (자작곡) || 5,393 || 1,418[* 14,735표] || 8,864[* 54,395표] || 15,675 || [[https://tv.naver.com/v/2278287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The Whales || Imagine (원곡: 존 레논) || 4,880 || 1,046[* 10,868표] || 5,764[* 35,370표] || 11,690 || [[https://tv.naver.com/v/2278305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6378FF '''CRAXILVER'''}}} || Time to Rise[* 작사·작곡: 빈센트] (자작곡) || 5,549 || 2,662[* 27,649표] || 17,893[* 109,806표] || {{{#6378FF '''26,104'''}}} || [[https://tv.naver.com/v/22783276/list/742892|[[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CNEMA || 항해 (Far away)[* 작사: 기탁, 김슬옹, 변정호, 임윤성 | 작곡: 기탁, 김슬옹] (자작곡) || 5,266 || 2,652[* 27,546표] || 13,215[* 81,101표] || 21,133 || [[https://tv.naver.com/v/2264803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모든 참가팀의 경연이 끝난 후 [[슈퍼밴드(JTBC)|슈퍼밴드 시즌 1]]의 준우승팀 [[루시(밴드)|루시]]와 우승팀 [[호피폴라]]의 축하공연이 이어졌다. 루시는 데뷔곡 [[https://tv.naver.com/v/22783655|개화]]를, 호피폴라는 최근에 발매한 [[https://tv.naver.com/v/22783673|너의 바다]] 무대를 선보였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 1위: 크랙실버 CRAXILVER (총점: 26,104) * 2위: 시네마 CNEMA (총점: 21,133) * 3위: 카디 KARDI (총점: 17,392) * 4위: 더 픽스 THE FIX (총점: 15,675) * 5위: 포코 아 포코 POCO A POCO (총점: 13,696) * 6위: 더 웨일즈 THE WHALES (총점: 11,690)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슈퍼밴드2, version=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