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스기우치 토시야/선수 경력/후쿠오카 다이에-소프트뱅크 호크스)]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기우치_2007년_2.jpg|width=100%]]}}} || [[스기우치 토시야]]의 2007년 활약을 서술한 문서. == 시즌 전 == 2006 시즌의 부진 덕에 연봉이 1억 2000만엔으로 소폭 삭감되었다. 데뷔 이후로 짝수해에는 영 힘을 못 쓰는 모습. == 페넌트레이스 == === 3~4월 === ==== 3월 28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blue 승리}}}] ==== 9이닝 무실점 '''완봉승'''을 거두며 시즌을 상쾌하게 시작했다. ==== 4월 4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원정) [{{{#blue 승리}}}] ==== 7이닝 무실점 완벽투를 선보이며 시즌 2승째를 거두었다. ==== 4월 11일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전 (홈) [{{{#green ND}}}] ==== 4이닝 4실점으로 5이닝을 채우지 못하고 내려갔다. 타선이 분전하였지만 팀은 9-5 패배. ==== 4월 18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원정) [{{{#red 패배}}}] ==== 라쿠텐의 신예 [[다나카 마사히로]]와의 첫 맞대결이다. 7이닝 4실점으로 이번 시즌 첫 패전을 떠안았다. 6회 3실점으로 급작스럽게 무너진 것이 뼈아팠다. ==== 4월 25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홈) [{{{#blue 승리}}}] ==== 6이닝 2실점 QS를 거두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팀은 [[와쿠이 히데아키]]를 5회 무너트리며 3-9 승리. 3~4월 종합 성적 5선발 3승 1패 평균자책점 2.73으로 좋은 투구를 보여주었다. === 5월 === ==== 5월 1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blue 승리}}}] ==== 8이닝 2실점 QS+를 거두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4회 페르난데스에게 2점 홈런을 맞긴 했지만 그 뒤로 라쿠텐 타선을 잘 막아내었다. ==== 5월 8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원정) [{{{#blue 승리}}}] ==== 9이닝 '''10탈삼진''' 무실점 '''완봉승'''을 거두었다. 시즌 2번째 완봉승으로, 좋은 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 5월 15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전 (홈) [{{{#blue 승리}}}] ==== 9이닝 1실점 '''완투승'''을 거두었다. 이 경기의 호투에 힘입어 평균자책점 1점대(1.98)에 진입했다. ==== 5월 22일 : [[한신 타이거스|한신]]전 (홈) [{{{#blue 승리}}}] ==== 7.2이닝 무실점 호투를 보이며 승리했다. 상대 1번 타자 [[토리타니 타카시]]를 4타수 무안타 2삼진으로 돌려세운것이 주효했다. ==== 5월 29일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전 (원정) [{{{#blue 승리}}}] ==== 7이닝 '''10탈삼진''' 1실점 호투로 개인 '''6연승'''을 거두는데 성공했다. 5월 종합 성적 5선발 5승 무패 평균자책점 '''0.89'''을 기록하며 5월 월간 MVP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6월 === ==== 6월 3일 :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전 (홈) [{{{#blue 승리}}}] ==== 8이닝 1실점 DS 호투로 승리를 거머쥐며 개인 '''7연승'''을 거두었다. ==== 6월 10일 : [[한신 타이거스|한신]]전 (원정) [{{{#green ND}}}] ==== 9이닝 1실점 DS를 기록했으나 타선이 10회까지 1점에 묶인 끝에 ND. 팀은 연장 10회 린웨이츠에게 끝내기 2점 홈런을 맞아 1-3 패배. ==== 6월 16일 :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전 (홈) [{{{#red 패배}}}] ==== 7회까지 무실점 호투를 펼쳤으나 8회 [[타카하시 요시노부]]에게 3점 홈런을 얻어맞으며 패배. 타선이 8회말 2점을 따라갔으나 결국엔 졌다. 8이닝 3실점 QS+를 거두었으나 패배. 10승 고지를 눈 앞에 두고 2경기 연속으로 불운하게 승리를 놓쳤다. ==== 6월 23일 :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전 (원정) [{{{#green ND}}}] ==== 4이닝 3실점으로 5이닝을 채우지 못 한 채 마운드를 내려 왔다. 8탈삼진을 기록하며 구위는 살아있었지만 7피안타를 맞으며 투구수가 늘어난 것이 아쉬웠다. 팀은 6회 [[카와카미 켄신]] 상대로 [[마쓰다 노부히로]]의 2점 홈런에 힘입어 대거 6득점에 성공하며 승리. 3경기 연속으로 아홉수에 묶였다. ==== 6월 29일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전 (홈) [{{{#blue 승리}}}] ==== 9이닝 무실점 '''완봉승'''을 기록하며 아홉수를 끊고 시즌 '''10승''' 고지에 올랐다. 6월 종합 성적 5선발 2승 1패 평균자책점 1.89를 기록하며 호투를 보였다. === 7월 === ==== 7월 5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green ND}}}] ==== 6이닝 2실점 QS를 기록했으나 ND. 팀은 7회 [[가와사키 무네노리|가와사키]]의 실책에 이은 연속 안타로 스기우치의 승리투수 요건을 날리더니 10회 끝내기 안타를 맞고 3-4 패배. ==== 7월 12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홈) [{{{#blue 승리}}}] ==== 7.2이닝 1실점 QS+ 호투에 힘입어 승리를 거뒀다. 시즌 11승. ==== 7월 18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원정) [{{{#blue 승리}}}] ==== 8이닝 1실점 DS 호투로 12승째를 기록했다. 팀이 1회부터 대거 4득점에 성공하며 편안한 피칭을 이어갈 수 있었다. ||<-11>
'''{{{#ffffff 2007 시즌 전반기 성적}}}''' || || '''{{{#fff 경기(선발)}}}'''|| '''{{{#fff 이닝}}}''' || '''[[평균자책점|{{{#fff ERA}}}]]''' || '''{{{#fff 승}}}''' || '''{{{#fff 패}}}'''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탈삼진}}}''' || '''{{{#fff QS(QS+)}}} ''' || '''{{{#fff 완투(완봉)}}}''' || '''[[WHIP|{{{#fff WHIP}}}]]''' || || 18(18) || 133 ⅓ || 1.76 || 12 || 2 || 0 || 0 || 127 || 15(12) || 4(3) || 0.81 || ==== 7월 29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홈) [{{{#blue 승리}}}] ==== 9이닝 3실점 '''완투승'''을 거두었다. 5회초 3득점을 허용하긴 했으나 팀이 9회 끝내기 3-4 승리를 거두며 상대 선발 [[와쿠이 히데아키]]와의 맞대결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와쿠이는 완투패~~ 7월 종합 성적 4선발 3승 무패 평균자책점 2.05로 여전한 피칭을 보여주었다. === 8월 === ==== 8월 4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전 (원정) [{{{#red 패배}}}] ==== 7.2이닝 3실점 QS+를 기록했으나 타선이 라쿠텐 불펜에 묶이며 결국 8회 결승점을 허용하고 패전. ==== 8월 10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전 (원정) [{{{#green ND}}}] ==== 3.1이닝 4실점으로 털렸으나 팀은 8회 5득점으로 역전에 성공하여 스기우치의 패전을 지워줬다. 허나 연장 11회말 터피 로즈에게 끝내기 2점 홈런을 얻어맞고 5-7 패배. ==== 8월 16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홈) [{{{#red 패배}}}] ==== 일본의 에이스로 각성한 [[다르빗슈 유]]와의 맞대결이다. 4.1이닝 7실점으로 시원하게 털리며 패전을 기록했다. [[이나바 아츠노리|이나바]]에게만 3피안타 3타점을 허용하며 천적 관계[* 이나바와의 07시즌 상대 전적은 15타수 7안타로 '''.467'''. 천적 of 천적 수준이다.][* 이나바를 제외하고 보더라도 07시즌 닛폰햄 상대로 5선발 2승 2패 3.44로 상대한 팀들중 가장 성적이 안 좋았다.]를 증명했다. ==== 8월 22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홈) [{{{#blue 승리}}}] ==== 7이닝 2실점 QS+ 호투로 승리를 가져갔다. 근 한달만의 승리. 타선이 3회까지 5점을 뽑아주며 스기우치의 어깨를 가볍게 했다. 8월 종합 성적은 1승 2패 평균자책점 6.55. 16일 닛폰햄전에서의 투구가 기록에 큰 악영향을 미쳤다. === 9월 === ==== 9월 1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원정) [{{{#green ND}}}] ==== 5.2이닝 2실점으로 무난한 투구를 보였으나 6회 혼다 유이치의 실책 이후 2실점으로 강판. 승리투수 요건은 9회 마하라 타카히로의 블론세이브로 날아갔고, 팀은 연장 12회 1득점으로 6-5 승리를 거뒀다. ==== 9월 8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전 (홈) [{{{#blue 승리}}}] ==== 7이닝 무실점 QS+ 완벽투로 시즌 15승째를 거두었다. ==== 9월 15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전 (홈) [{{{#red 패배}}}] ==== 7이닝 3실점 QS+로 호투 했으나 팀 타선의 침체로 7-1 패배, 패전투수를 떠안았다. ==== 9월 21일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전 (원정) [{{{#red 패배}}}] ==== 6.2이닝 3실점 QS를 거뒀으나 타선이 [[키시 타카유키]]에게 8이닝 무득점으로 꽁꽁 묶이며 패전을 기록했다. ==== 9월 28일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전 (홈) [{{{#green ND}}}] ==== 7이닝 1실점 QS+를 거뒀으나 타선이 10안타를 치고도 1득점에 그친 탓에 ND. 팀은 연장 10회초 1점을 내주며 2-1로 패배했다. 9월 종합 성적 5선발 1승 2패 평균자책점 2.43을 기록했다. == 포스트시즌 == === [[2007년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 1 스테이지 === ==== 10월 9일 2차전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전 (원정) [{{{#blue 승리}}}] ==== 7이닝 3실점 QS+ 호투로 승리투수를 거머쥐었다. 팀 타선이 2회 고바야시 히로유키를 두들기며 6점의 리드를 안겨주었고, 스기우치가 7회 [[후쿠우라 카즈야]]에게 2점 홈런을 맞기 전까지 1실점 완벽투로 응답했다. 팀은 8-3으로 승리했으나, 이어지는 3차전 4-0으로 패배하며 '''또''' 포스트시즌에서 탈락했다. == 페넌트레이스 총평 == ||<-11>
'''{{{#ffffff 2007 시즌 최종 성적}}}''' || || '''{{{#fff 경기(선발)}}}'''|| '''{{{#fff 이닝}}}''' || '''[[평균자책점|{{{#fff ERA}}}]]''' || '''{{{#fff 승}}}''' || '''{{{#fff 패}}}'''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탈삼진}}}''' || '''{{{#fff QS(QS+)}}} ''' || '''{{{#fff 완투(완봉)}}}''' || '''[[WHIP|{{{#fff WHIP}}}]]''' || || 28'''{{{#red (28)^^1위^^}}}''' || '''197 ⅔^^3위^^''' || '''2.46^^5위^^''' || '''15^^3위^^''' || 6 || 0 || 0 || 187 || '''{{{#red 22^^1위^^}}}''''''(19)^^3위^^''' || '''5^^5위^^''''''(3)^^2위^^''' || 1.07 || 화려하게 부활하여 부상으로 로테이션을 자주 거른 [[사이토 가즈미|사이토]]의 에이스 자리를 훌륭하게 메꿨다. 전반기에만 12승을 쓸어담으며 잘 하면 25승까지 노려볼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타선의 빈곤한 지원과 퐁당퐁당 기질이 조금씩 발휘되어 후반기엔 3승을 추가하며 15승으로 시즌을 마무리 했다. 2007 시즌 기록한 197 ⅔이닝은 양대리그 4위의 기록[* 양대리그 4위, 퍼시픽 리그 '''3위'''. 이닝 1위는 213이닝을 먹은 [[와쿠이 히데아키]], 2위는 207 ⅔이닝을 기록한 [[다르빗슈 유]].]으로 뛰어난 호투를 펼치면서도 많은 이닝을 먹어주는 스기우치의 꾸준한 피칭이 주목 받기 시작한 해였다. QS(QS+) 횟수는 커리어 하이인 2005 시즌보다도 더 많다. == 포스트시즌 총평 == ||<-11>
'''{{{#ffffff 2007 포스트시즌 최종 성적}}}''' || || '''{{{#fff 경기(선발)}}}'''|| '''{{{#fff 이닝}}}''' || '''[[평균자책점|{{{#fff ERA}}}]]''' || '''{{{#fff 승}}}''' || '''{{{#fff 패}}}''' || '''{{{#fff 세이브}}}''' || '''{{{#fff 홀드}}}''' || '''{{{#fff 탈삼진}}}''' || '''{{{#fff QS(QS+)}}} ''' || '''{{{#fff 완투(완봉)}}}''' || '''[[WHIP|{{{#fff WHIP}}}]]''' || || 1(1) || 7 || 3.86 || 1 || 0 || 0 || 0 || 6 || 1(1) || 0(0) || 1.14 || 클라이맥스 시리즈 2차전에 등판하여 7이닝 3실점 승리투수가 되었다. 등판 기회 자체가 적었고 스기우치가 선발 등판한 경기에서만 팀이 승리를 거두었기에 팀에서 거의 유일하게 까방권을 얻었다. == 시즌 후 == 연봉 인상률 41.7%p를 기록하며 연봉이 1억 7000만엔으로 뛰었다. [[분류:야구선수/커리어]] [[분류:스기우치 토시야/선수 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