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rough Seven Seas .jpg|width=100%]]}}} || ||<-2> 이름 || スルーセブンシーズ[br]Through Seven Seas || ||<-2> 출생 || [[2018년]] [[4월 8일]] ([age(2018-01-01)]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드림 저니]] || ||<-2> 어미 || 마이티 슬루(マイティースルー) || ||<-2> 외조부 || [[쿠로후네(말)|쿠로후네]]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 ||<-2> 마주 || [[샤다이 그룹#캐럿 팜|캐럿 팜]] || ||<-2> 모집 정보 및 규모 || 1800만 엔^^(1구 4.5만 엔 × 400구 계좌)^^ || ||<-2> 조교사 || 오세키 토모히토 (미호) || ||<-2> 성적 || 13전 4승 [4-3-2-4][br]12전 4승[*일본][br]1전 0승[*유럽] || ||<-2> 총상금 || 2억 3185만 8700엔[br]1억 9170만 4000엔[*일본][br]285,500유로[*유럽] || || 주요[br]우승 || GIII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 (2023)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8105269/|[[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264847/|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주마. 2021년 클래식 세대로 그저 그런 성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하였으나 중상 첫 제패 직후 개선문상 참가를 선언한 후 타카라즈카 기념 2착, 개선문상 4착으로 선전하며 큰 관심을 모은 말이다. 마명의 의미는 '일곱 바다를 넘어서'. 부마 드림 저니와 반형제마 패싱 스루의 이름에서 연상되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드림 저니]][br]{{{-2 ドリームジャーニー[br]2004}}}||<|2>[[스테이 골드]][br]{{{-2 ステイゴールド[br]1994}}}||[[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 ||골든 새시[br]{{{-2 ゴールデンサッシュ}}}|| ||<|2>오리엔탈 아트[br]{{{-2 オリエンタルアート[br]1997}}}||[[메지로 맥퀸]][br]{{{-2 メジロマックイン}}}|| ||일렉트로 아트[br]{{{-2 エレクトロアート}}}|| ||<|4>마이티 슬루[br]{{{-2 マイティースルー[br]2006}}}||<|2>[[쿠로후네(말)|쿠로후네]][br]{{{-2 クロフネ[br]1998}}}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프렌치 데퓨티[br]{{{-2 French Deputy}}}|| ||블루 애비뉴[br]{{{-2 Blue Avenue}}}|| ||<|2>슬루 올[br]{{{-2 Slew All[br]199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시애틀 슬루]][br]{{{-2 Seattle Slew}}}|| ||오버 올[br]{{{-2 Over All}}}|| ||<-3>* [[노던 테이스트]] 5×4 9.375%|| || 주요 반형제[* 중상마만 서술, 볼드 표시는 '''G1/Jpn1''' 우승마.] |||| 패싱 스루(父 [[룰러쉽]])^^(2016)^^ || 반형제 패싱 스루는 19년 [[시온 스테이크스]] 우승마. 더트에서도 [[엠프레스배]] 3착의 성적을 냈다. == 커리어 == === 2023년(5세) === ==== [[타카라즈카 기념]] ==== || [youtube(87K-XDho7qw)] || || 2023년 [[타카라즈카 기념]] 영상 || 2023년 [[타카라즈카 기념]] 팬 투표에서 2,556표를 받아 60위를 기록했다.[* [[https://jra.jp/news/202306/pdf/060804.pdf|투표결과]]] 레이스 당일은 10번 인기를 받았다. 게이트는 5번. 이전 중상 승리였던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를 비롯하여 선입 위주의 달리기를 보였던 스루 세븐 시즈였지만, 이번에는 선행세가 강하여[* 스루 세븐 시즈는 물론이고, 우승마 이퀴녹스나 원래부터 선행 각질이었던 3착마 저스틴 팰리스 등의 다른 마필들도 비교적 후방에 놓일 정도로 선행 경쟁이 심하였다.] 가장 끝에서 추입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 직선에서 9번 [[저스틴 팰리스]]와 13번 [[지오글리프]]에게 앞이 막혔지만, 속도를 조금 줄인 후 안쪽의 빈틈을 찾아 가속, 무서운 말각으로 2착에 들어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4코너부터, 영상 하단 미니맵의 6번이 스루 세븐 시즈.] 라스트 3펄롱은 34.6을 기록해 우승마 [[이퀴녹스]]보다도 빠른 기록을 남겼다. ==== [[개선문상]] ==== [[https://twitter.com/KfordCailler/status/1702757897606660161]|프랑스 샹티이에 도착한 모습]] [[https://twitter.com/KfordCailler/status/1702760585929077087|마방에서 뒹굴며 쉬는 모습]] 이후 예상대로 개선문상 출주를 선언해 프랑스로 출국했다. 2022년엔 일본마 4마리가 출주한 것과 달리 그 4마리가 모두 참패한 영향인지 그 다음해인 올해는 일본 조교마 중에서는 스루 세븐 시즈만 출주한다.[* 일본 생산마로 따지면 아일랜드 조교의 [[컨티뉴어스]]까지 있다. 이쪽도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뒤 개선문상 연전이라는 가혹한 로테이션에도 불구하고 5착으로 선전했다.] 사실 타카라즈카 기념 준우승이 아니었으면 개선문상 출주 자체가 불투명했던 상황이라 기대도 많지 않았던 상황이었다. 현지에서 4번 인기를 받은 본 경주에서는 초반부터 후반까지 마군에 갇혀있는 어려운 경주를 했으나, 인코스를 뚫고 나오는 말각으로 4착을 기록하며 상당히 오랜만에 일본 조교마가 개선문상에서 선전했다. 2013년 오르페브르(2착), 키즈나(4착) 이후 10년만의 입착 기록이며, 개선문상에 도전한 일본마 중 암말로는 최선착 기록이다.[* 이전까지 암말들의 기록은 2014년 [[하프 스타]] 6착, 2020년 [[디어드러]] 8착, 2021년 [[크로노 제네시스]] 7착이다.] 기대가 많지 않던 상황에서 여러 G1마들을 앞선 4착 입선은 놀라운 성적이며 G1마 못지 않은 퍼포먼스를 남기면서 사실상 예비 G1마가 될 준비를 마치면서 또다시 [[스테이 골드]]의 피가 개선문상에서 통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일본 조교마의 개선문 최고 성적인 2착을 기록한 3필의 말 중 [[나카야마 페스타]]와 [[오르페브르]]가 [[스테이 골드]]의 자마다. 2022년의 스테이 풀리쉬도 4두의 일본 출주마 중에서 명백히 최약체였지만 그나마 14착, 일본마 중에서는 2번째로 들어오긴 했었다. 나이가 7세인 것도 있었지만.] 만약 스루세븐시즈도 부진한 성적이었으면 몇년 동안 일본마가 개선문상에 원정 보내질 리는 없었기 때문에 더욱 뜻 깊다. 그린 채널 개선문상 중계에서 [[타케 유타카]]가 특별출연 하여 개선문상에 대한 열정을 또 다시 드러냈다. == 기타 == *2023년 타카라즈카 기념에선 기껏 2착이라는 호성적을 달성했지만 중계 내내 [[벨라 아줄]]로 잘못 불리는 사고가 있었다. 그래놓고 별다른 공지 없이 사후녹음으로 은근슬쩍 바꿔놓는 촌극을 벌인 탓에 칸타레 타카라즈카 기념 영상 댓글이 막히는 등 본토에서 논란이 일어났다. 실황을 담당한 [[오카야스 유즈루]]는 이미 G1도 자주 담당했던 사람인데다가, 두 말이 승부복이 같다고 해도 번호나 모색 등 구분 가능한 서로 다른 점들이 많기 때문에 이건 좀 너무하다는 반응이 나오는 상황. 모자 색은 벨라 아줄이 파란색, 스루 세븐 시즈는 빨간색이며 모색은 벨라 아줄이 아오게 (검은 색), 스루 세븐 시즈는 카게 (갈색) 였기에 충분히 구별할 수 있는 요소들이 있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20년 {{{-1 (2세)}}} || || 9.19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2> 2세 신마 || 잔디 1800m || 3.2 || 1 || '''{{{#red 1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인나리오) || ||<-10> 2021년 {{{-1 (3세)}}} || || 1.5 || 나카야마 ||<-2> 3세 1승 클래스 || 잔디 2000m || 4.1 || 3 || 3착 || [[토사키 케이타]] || 원 데이 모어 || || 3.28 || 나카야마 || 미모사상 || 1승 || 잔디 2000m || 2.5 || 1 || '''{{{#red 1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스위트 블룸) || || 3.22 || [[도쿄 경마장|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GI''' || 잔디 2400m || 38.3 || 9 || 9착 || 토사키 케이타 || [[위버레번]] || || 9.11 || 나카야마 || [[시온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2000m || 10.2 || 4 || 2착 ||<|2> 오노 타쿠야 || 파인 루주 || || 10.17 || [[한신 경마장|한신]] || [[슈카상]] || '''GI''' || 잔디 2000m || 30.2 || 7 || 11착 || [[아카이토리노 무스메]] || ||<-10> 2022년 {{{-1 (4세)}}} || || 3.6 || 나카야마 || 걸프 스테이크스 || 3승 || 잔디 2200m || 4.8 || 2 || 3착 || [[요코야마 타케시]] || 킹 오브 드래곤 || || 6.19 || 한신 || [[머메이드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2000m || 6.7 || 2 || 10착 || [[아키야마 신이치로]] || 윈 마이티 || || 8.20 || [[니가타 경마장|니가타]] || 일본해 스테이크스 || 3승 || 잔디 2200m || 4.8 || 3 || 2착 || 토사키 케이타 || 로버트슨 키 || ||<-10> 2023년 {{{-1 (5세)}}} || || 1.21 || 나카야마 || 하츠후지 스테이크스 || 3승 || 잔디 2000m || 6.2 || 2 || '''{{{#red 1착}}}''' || 테오 바슐로 || (루도비쿠스) || || 3.11 || 나카야마 || [[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 || GIII || 잔디 1800m || 3.7 || 2 || '''{{{#red 1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스토리아) || || 6.25 || 한신 || [[타카라즈카 기념]] || '''GI''' || 잔디 2200m || 55.7 || 10 || 2착 || [[이케조에 켄이치]] || [[이퀴녹스]] || || 10.1 ||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 [[파리 롱샹 경마장|롱샹]]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10/1 || 4 || 4착 || 크리스토프 르메르 || [[에이스 임팩트]] || }}} ---- [include(틀:나카야마 암말 스테이크스,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2018년 출생/경주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스테이 골드계]]